$\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의 표면특성 분석과 비파괴 정밀진단을 통한 제작기술 해석
Interpretation of Making Techniques through Surface Characteristic Analysis and Non-destructive Diagnosis for the Gilt-bronze Seated Buddha in Dangjin Sinamsa Temple, Korea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1, 2023년, pp.100 - 116  

최일규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양혜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한두루 ((주)세계유산연구원)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진 신암사는 고려 후기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내의 극락전에는 금동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의 개금층은 박락과 광택이 저하되는 등 여러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재료학적 분석과 비파괴 진단을 통해 불상의 내부와 외부에 대한 보존상태를 정밀 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제작기법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개금층은 순금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안료에서 흑색은 먹, 녹색은 석록과 염화동 및 동록 등으로, 적색은 연단 또는 진사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손상도 평가 결과, 개금층의 벗겨짐, 균열, 탈락 및 박리 등이 확인되나 보존상태는 비교적 건전하다. 그러나 개금층의 광택은 유지부에 비해 저하부가 더 넓게 산출된다. 이 불상에 대한 초음파 속도측정 결과 1,230~3,987(평균 2,608)m/s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적외선 열화상으로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고 특별한 접합흔도 발견되지 않는다. 내시경 검사에서는 내부 소지금속의 부식과 생물학적 피해가 다소 관찰되었으며, 봉안된 복장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제작기법을 검토한 결과, 이 금동여래좌상은 통주조로 제작하였으며 주형을 거꾸로 뒤집어 용탕을 주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namsa Temple was built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a gilt-bronze seated Buddha is enshrined in Geungnakjeon hall in the precinct. Various damages occurred in the gilt layer of the Buddha, such as peeling of the gilt layer and deteriorating gloss. In the study, the conservation conditions of...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12)

  1. 김동하, 2012, 「영주 숙수사지 출토 금동불상군의 제작기법 고찰」, 「신라문화」 40, pp.75~106. 

  2. 문명대, 1983, 「고려후기 단아양식(신고전적양식)불상의 성립과 전개 -좌상을 중심으로」, 「고문화」 22, pp.33~71. 

  3. 문명대, 2003, 「고신라의 황금불상고」, 「미술자료」 69, pp.5~21. 

  4. 민병찬, 2016, 「금동반가사유상의 제작 방법 연구 - 국보 78,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미술자료」 89, pp.191~213. 

  5. 배고운.이상옥.범대건.정광용, 2018,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 산지연구」, 「보존과학회지」 34(1), pp.59~67. 

  6. 배정하, 202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관음보살좌상의 시대 융합적 표현방식 -티베트 불교조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동양예술」 48, pp.83~102. 

  7. 양혜리.최일규.이찬희, 2022, 「개금층 접착재료로서 옻과 캐슈의 과학적 특성 분석 및 보존관리방안 검토: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보존과학회지」 38(6), pp.736~752. 

  8. 이찬희.전유근.조영훈.서만철, 2012,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2), pp.153~164. 

  9. 이찬희.조영훈.전병규, 2015,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 금동보탑의 재질특성과 조성시기 해석」, 「백제문화」 52, pp.47~69. 

  10. 전유근.이찬희, 2009, 「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존과학회지」 27(3), pp.269~276. 

  11. 조영훈.이찬희, 2011,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지도 제작방법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 「보존과학회지」 27(3), pp.251~260. 

  12. 한민수.홍종욱, 2003,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 - 쌍계사 탱화 안료를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4, pp.131~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