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 방안 연구
Approaches to Creating a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2, 2023년, pp.28 - 45  

이초롱 (국립문화재연구원 고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했지만 문화유적 조사 결과 생산되는 수많은 고고 디지털 원천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관리·통합·서비스할 수 있는 활용체계, 즉 고고학술정보의 지능형 통합관리·서비스 플랫폼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웹에서 PDF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는 한국고고학사전의 단순 전산화(Digitization) 문제와 한국고고학사전 발간 및 활용 현황 등을 통해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료 접근의 한계와 어려움에 따른 고고학술 데이터 접근성 제고와 고품질의 지식정보 제공을 중심으로 한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2001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한국고고학사전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유럽, 미국, 일본 등 국외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빙 플랫폼과 국내 전문사전과 관련한 플랫폼 구축 사례를 검토하여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을 위한 실행 과제로서 전산화된 기록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설계와 생산된 메타데이터 간의 관계 정보를 부여하고 보여주는 시맨틱(semantic, 의미 기반) 데이터로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고고학술정보의 지능형 통합관리·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이에 따른 한국고고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이해를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we have entere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is currently no system that efficiently collects, manages, integrates, and services a large number of archaeological digital source materials produced as a result of cultural relics research, i.e., an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주제어

표/그림 (20)

참고문헌 (33)

  1. 강경표, 2020, 「온.오프라인 통합형 백과사전 구축 사례 연구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38, p.86. 

  2. 강동석, 2022, 「한국고고학사전의 대전환, GIS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구축」,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p.172~173.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韓國考古學事典」, p.ii. 

  4.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p.194. 

  5.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 연구, p.200. 

  6. 김현.강혜원, 2022, 「고고학술정보 데이터 아카이빙 전략과 구현 방안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제안-」,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p.126~133. 

  7. 서해숙, 2010, 「符籍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체계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13(2), p.506. 

  8. 아나벨 리 엔리케즈(Annabel Lee Enriquez), 2022, 「Arches의 고고학술정보」,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56. 

  9. 이초롱, 2022, 「고고 학술정보 구축의 어제와 오늘 -한국고고학사전 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8. 

  10. 이혜림, 2018,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pp.9~10. 

  11. 최인화, 2022, 「디지털고고학 활성화 방안 연구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8. 

  12. 타카타 유이치(高田祐一).호 소연(扈 素姸), 2022, 「일본 전국의 유적을 검색하다」,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p.33~34. 

  13. 홍승모, 2022, 「고고학술연구정보 활용플랫폼 구축 방안」,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150. 

  14.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지식e음, https://portal.nrich.go.kr(접속일: 2023.01.20.). 

  1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접속일: 2023.01.20.). 

  1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ry.go.kr(접속일: 2023.01.20.). 

  17. 奈良文化財硏究所 全?遺跡報告??, https://sitereports.nabunken.go.jp(접속일: 2023.01.20.). 

  1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https://search.i815.or.kr/dictionary/main.do(접속일: 2023.01.20.). 

  19. 두피디아 백과사전, https://www.doopedia.co.kr(접속일: 2023.01.20.). 

  20. My Water 물정보포털, https://www.water.or.kr/encyclopedia/encyclopedia/waterEncyclopedia_list.do(접속일: 2023.01.20.). 

  2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main/?v1675045030420(접속일: 2023.01.20.). 

  22. ARIADNE PORTAL, https://portal.ariadne-infrastructure.eu(접속일: 2023.01.20.). 

  23. ads, https://archaeologydataservice.ac.uk(접속일: 2023.01.20.). 

  24. tDAR, https://core.tdar.org(접속일: 2023.01.20.). 

  25. arches, https://www.archesproject.org(접속일: 2023.01.20.). 

  26. 특허청 한국전통지식포탈, https://www.koreantk.com/ktkp2014(접속일: 2023.01.20.). 

  27.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용어 시소러스, http://thesaurus.itkc.or.kr(접속일: 2023.01.20.). 

  28. 한국 기록유산 Encyves,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B%8C%80%EB%AC%B8(접속일: 2023.01.20.). 

  29. 한국문화정보원 예술지식백과,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List.do(접속일: 2023.01.20.). 

  30.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https://www.gokams.or.kr:442/visual-art/art-terms/glossary/art_view.asp?idx192(접속일: 2023.01.20.). 

  31.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rshIDAKS-2007-AEZ-3101(접속일: 2023.01.20.). 

  3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접속일: 2023.01.20.). 

  3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접속일: 2023.01.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