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 50주년, 현재 및 과제
The 50th Anniversary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present status and challenge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2, 2023년, pp.264 - 279  

이현경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  유희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국제학과) ,  남수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화유산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2년은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5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 논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 탄생 이후, 지난 50년 간 세계유산 제도의 변화와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 세계유산의 현재와 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1972년 협약이 체결된 이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도는 무력충돌/전쟁 및 자연재해로 인해 위험에 처한 각국의 유산을 보호하여 미래 세대에 인류의 자산을 전달하는 것을 우선시했다. 그리고 보호된 세계유산은 인류의 문화와 특정 시기를 대표하는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전 세계에 알리는 문화외교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류 공유유산(shared heritage)인 세계유산은 각국의 다양한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 소통의 통로가 되었고,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세계유산 협약은 유네스코 평화구축(peace-building) 정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하지만 협약 50주년을 기념하는 현재, 세계유산 보호를 둘러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환경은 변화하여, 세계유산은 무력전쟁으로 인한 물리적 파괴의 위험에서 문화전쟁, 기억전쟁, 역사전쟁과 연관하여 다양한 이해 당사자 간의 유산 해석 관련한 분쟁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이 논문은 세계유산 협약 체결 이후 50년 간 세계유산을 둘러싼 주요 논의 변화와 확장을 세계유산 이행지침(operational guidelines) 및 전문가 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시기별 5단계로 나누고 새로운 쟁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유네스코 관련 모든 출판물을 제공하는 유네스독(UNESDOC) 플랫폼을 통하여 세계유산 관련 학술회의 자료 등을 주제어로 분류하는 방법을 통해 50년 간 세계유산을 둘러싼 주요 주제어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유산 등재의 초점 변화, 세계유산 보호 관점 변화 및 이해당사자에 대한 관점 변화에 따른 세계유산의 새로운 화두(세계유산의 해석 및 윤리, 기후변화, 인권)를 정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50th anniversary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was in 2022. In order to reflect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meaning of World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system. After promulgating the convention in 1972, the UNESCO World H...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6)

  1. 강동진, 2015, 「산업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경향과 논점 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50(2),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 강동진, 2022, 「세계유산: 왜, 그리고 무엇을 위한 것인가」, 「동북아 역사 포커스」 창간호, 동북아역사재단. 

  3. 김숙진, 2021, 「세계유산의 계보학과 지리학적 함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4(1), 한국도시지리학회. 

  4. 유네스코 디지털 라이브러리(UNESCDOC), https://unesdoc.unesco.org/(최종접속일: 2022.03.31.) 

  5.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네스코와 유산, https://heritage.unesco.or.kr/누비아-유적-아부-심벨에서-필레까지(최종접속일: 2022.12.23.). 

  6. 이영진, 2020,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에 관한 일고찰」, 「아세아연구」 63(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7. 이현경, 2021, 「과정 (process)'으로서의 유산과 그 유산의 해석」, 「미술이론과 현장」 28, 한국미술이론학회. 

  8. 이현경, 2022, 「국제적 갈등의 중심에 선 세계유산, 해법은?」, 「동북아 역사 포커스」 창간호, 동북아역사재단 . 

  9. 이혜은, 2011, 「지리학자의 관점에서 본 세계유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한국사진지리학회. 

  10. 전종한, 2013,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본 국가 유산의 가치 평가와 범주화 연구: 문화재청 지정 국가 '명승'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6), 대한지리학회. 

  11. 최재헌, 2022, 「한국의 세계유산과 지역성」, 트래블 그라픽스, 서울. 

  12. 최재헌.남영우, 2014, 「용산 미군기지의 문화유산 가치와 도시발전 방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한국도시지리학회. 

  13. 최재헌.이혜은, 2013, 「세계유산적 가치의 관점에서 본 산성도시 남한산성의 경관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한국도시지리학회. 

  14. 황선익, 2016, 「일본의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와 동북아 역사갈등」, 「일본공간」 19,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5. Albert, Marie-Theres and Ringbeck, Birgitta, 2015, '40 Years World Heritage Convention', 40 Years World Heritage Convention, De Gruyter, Berlin, Munchen, Boston. 

  16. Cameron, Christina, 2013, 'Keynote Speech: Forty years from the birth of the Convention', in Vesna Vujicic-Lugassy(ed.), Celebrating 40 year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Conference Volume, UNESCO, Paris. 

  17. Extended 44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https://whc.unesco.org/en/sessions/44COM/records/?day2021-07-31(최종접속일: 2022.02.18.) 

  18. ICOMOS, 2018, ICOMOS Discussion Paper: Evaluation of World Heritage Nominations related to Sites Associated with Memories of Recent Conflicts, 이코모스 문서, http://whc.unesco.org/document/167810. 

  19. Labadi, Sophia, 2014,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1972)', in C. Smith(ed.), Encyclopedia of Global Archae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Nueva York. 

  20. Nakano, Ryoko, and Yujie Zhu, 2020, 'Heritage as soft power: Japan and China in international poli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26(7). 

  21. UNESCO, 2011,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including a glossary of definitions, 유네스코 문서, activity-638-98. 

  22. UNESCO, 2015, Policy for the integ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s into the proces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세계유산위원회 문서, WHC-15/20.GA/INF.13. 

  23.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2011, Heritage Impact Assessments at World Heritage Properties: Database and Guidance Tools, https://whc.unesco.org/en/activities/907(최종접속일: 2023.01.30.). 

  24.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3, Report of the 40th Anniversary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 Worldwide Celebration, UNESCO, Paris. 

  25.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2, 50 Minds for The Next 50: Dialogue Series, https://whc.unesco.org/en/50-minds/(최종접속일: 2023. 1. 28.). 

  26. Von Droste, Bernd, 2013, 'Main World Heritage challenges of the last 40 years', in Vesna Vujicic-Lugassy(ed.), Celebrating 40 year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Conference Volume, UNESCO, Pari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