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제강점기 덕수궁(德壽宮) 공원화에 따른 정원의 개조와 훼손
Remodeling and Damage of the Garden According to the Park Project in Deoksugung Pa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3, 2023년, pp.234 - 252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일제강점기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자행된 주요 정원의 변형 양상을 살펴보았다. 황궁으로 운용된 궁궐을 대중의 행락공간으로 개방하기 위해 1932년부터 1933년까지 공원의 면모를 갖추기 위한 조경공사가 곳곳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석조전 전정(殿庭), 함녕전 일곽 후원(後園), 즉조당 일곽 후원을 위시한 주요 정원 역시 대대적으로 변형되어 당초와 상이한 모습으로 탈바꿈되었다. 1932년 시행된 제1기 공사 중 석조전 정원에는 수반(水盤)이 설치되어 최초의 수공간(水空間)이 탄생하였다. 석조전 정원에 도입된 수반은 본래 창덕궁 인정전 전정에 소재한 구조물이었다. 1909년 무렵 인정전 전정을 훼손하며 설치된 수반이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에 석조전 정원으로 이설되었다. 인정전 구역에서 이설된 수반은 석조전 정원의 중심구역을 수공간으로 변형시킨 요인이었으며, 이후 수반을 대신하여 설치된 분수대가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함녕전 일곽의 후원 역시 제1기 공사 중에 새로운 모습으로 개조되었다. 본래 함유재와 함녕전 후원에는 화계(花階)로 불리는 계단식 화단이 존재했으며, 덕수궁 대화재 이후 시행된 중건공사에서 다시 정비되었다.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정관헌 전면 공간에는 함유재와 함녕전 후원의 화계를 개조한 3단 축대가 신설되었다. 당시 조성된 축대는 덕수궁 개방 후 관람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모란원(牧丹園)'으로 활용되었고, 오늘날 '정관헌 화계'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즉조당 일곽의 후원은 1933년 제2기 공사에서 훼손된 사례이다. 함녕전 일곽의 후원처럼 당초 화계가 도입되었던 즉조당 일곽의 후원은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일본식 정원으로 개조되었다. 화계가 철거된 자리는 별도의 지형 조작과 식재 공사가 병행되면서 축산(築山), 소로(小路), 경석(景石) 중심의 일본식 정원으로 치장되었다. 해방 이후 소소한 변화가 있었지만, 즉조당 일곽 후원의 현재 모습은 여전히 덕수궁 공원화 준비 중 조성된 일본식 정원에 근간을 두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at the modification of major gardens while making Deoksugung Palace (德壽宮) a park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is because landscaping work was carried out in various places from 1932 to 1933 to open Deoksugung Palace, which used to be an imperial palace, as a public recreation...

Keyword

표/그림 (29)

참고문헌 (36)

  1. 「덕수궁 개방 준비에 관한 건」, 국가기록원 소장, 관리번호 CJA0002443. 

  2. 「덕수궁각건물배치도(德壽宮各建物配置圖)」,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3. 「덕수궁평면도(德壽宮平面圖)」,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4. 「종묘동신문전정설계도(宗廟東神門前庭設計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5.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6. 「희정당내정원설계도(熙政堂內庭園設計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7.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8. 「장역기철(匠役記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9. 「진연의궤(進宴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0. 「창덕궁창경원사진첩」,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덕수궁미술관설계도」. 

  12. 문화재청, 2004a, 「덕수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pp.75, 272, 275. 

  13. 문화재청, 2004b, 「덕수궁 정관헌 기록화 조사 보고서」. 

  14. 문화재청, 2011, 「덕수궁 석조전 본관 복원공사 자료집」. 

  15. 문화재청, 2016, 「덕수궁 조경정비 기본계획」, p.63. 

  16. 半島新聞社出版部, 1920, 「李王家記念寫眞帖」, 半島新聞社出版部. 

  17. 朝鮮寫眞通信社, 1916, 「朝鮮師團創設記念號」, 朝鮮寫眞通信社. 

  18. 中村耕造, 1924, 「宮廷御??帖」, 積文館. 

  19. Bank of Chosen, 1919, 「Pictorial Chosen And Manchuria」, Bank of Chosen. 

  20. 기세황, 2014, 「20세기 초 창덕궁의 변형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석사학위논문, p.30. 

  21. 김종헌, 2014, 「덕수궁미술관 도면의 가치와 의미: 치수로 조율된 정교한 시스템」, 「덕수궁미술관설계도」, 국립문화재연구소, pp.353~356. 

  22. 김해경 외, 2015, 「덕수궁 석조전 정원의 조성과 변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3), 한국전통조경학회, p.34. 

  23. 이규철, 2015, 「1907~1910년 창덕궁 중심 공간의 재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1(6), 대한건축학회, p.157. 

  24. 국립민속박물관 

  25. 국립중앙박물관 

  26. 국사편찬위원회 

  27. 국토지리정보원 

  28. 부산광역시립미술관 

  29. 서울역사박물관 

  30. ?際日本文化硏究センタ? 

  31. 學習院大學 東洋文化硏究所 

  32. Newcastle University Library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