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된장에서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가진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Probiotic Activities from Doenja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4 no.12, 2024년, pp.853 - 859  

오예은 (한동대학교 생명과학과) ,  옥찬수 (한동대학교 생명과학과) ,  도형기 (한동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생산된 된장에서 분리한 두 가지 균주 Weissella cibaria D1 (D1)과 Weissella confusa D2 (D2)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했다. 분리한 유산균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exopolysaccharide (EPS) 생성, 산 및 담즙 내성, 항균 활성, 항산화 효과, 효소 생성 등 5가지 기능성 시험을 시행했다. 모든 균주는 gelatinase 효소 및 용혈 시험 결과 안전한 균으로 확인되었다. D1과 D2는 바이오필름을 만들 수 있는 특정 물질인 EPS의 분비, 산과 담즙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proteaseamylase 생산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D1과 D2는 프로바이오틱스 시장과 발효 식품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solated beneficial lactic acid bacteria from doenjang, traditionally produced at home. Two strains, Weissella cibaria D1(D1) and Weissella confusa D2(D2),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ing. To determine the probiotic effect of the isolates, five functional tests ...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데이터처리

  • 각 항목에 따른 실험 결과는 평균값과 표준오차는 3회 이상 반복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로, GraphPad Prism 프로그램 버전 8.0.2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했다.

이론/모형

  • 효소 활성(amylase, protease)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배지를 만들고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Protease 측정용 배지로써 skim milk (LPS solution)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guirre, M. and Collins, M. D.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clinical infection. J. Appl. Bacteriol. 75, 95-107. 

  2. Allameh, S. K., Noaman, V. and Nahavandi, R. 2017. Effects of probiotic bacteria on fish performance. Adv. Tech. Clin. Microbiol. 1, 11. 

  3. Angmo, K., Kumari, A. and Bhalla, T. C. 2016.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and beverage of Ladakh. Lebensm. Wiss. Technol. 66, 428-435. 

  4. Bermudez-Brito, M., Plaza-Diaz, J., Munoz-Quezada, S., Gomez-Llorente, C. and Gil, A. 2012. Probiotic mechanisms of action. Ann. Nutr. Metab. 61, 160-174. 

  5. Chalas, R., Janczarek, M., Bachanek, T., Mazur, E., Cieszko-Buk, M. and Szymanska, J. 2016. Characteristics of oral probiotics-A review. Curr. Issues. Pharm. Med. Sci. 29, 8-10. 

  6. Jung, S. E. and Kim, S. H. 2015.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4-50. 

  7. Kang, H. J., Baick, S. C. and Yu, J. H. 2005.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he stirred yogurt manufactured by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od Sci. Anim. Resour. 25, 84-91. 

  8. Kim, D. J. and Lee, S. Y. 2001. Isolation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KSBB J. 16, 370-375. 

  9. Kim, H. J. and Chang, H. C.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10. Kim, J. W., Doo, H. S., Kwon, T. H., Kim, Y. S. and Shin, D. 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eju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ecies and Bacillus subtili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397-406. 

  11. Kim, Y. and Kim, S. H. 2009. Released exopolysaccharide (r-EPS) produced from probiotic bacteria reduce biofilm forma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Biochem. Biophys. Res. Commun. 379, 324-329. 

  12. Klaenhammer, T. R. 1988.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ie. 70, 337-349. 

  13. Lee, G. D., Chang, H. G. and Kim, H. 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14. Mardani, T., Khiabani, M. S., Mokarram, R. R. and Hamishehkar, H. 2018. Immobilization of α-amylase on chitosan 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beads. Int. J. Biol. Macromol. 120, 354-360. 

  15. Moon, C. Y. and Heo, M. S. 2021.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synbiotics. Microbiol. Biotechnol. Lett. 49, 552-558. 

  16. Naidu, K. S. 2011.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protease enzyme. J. Appl. Pharm. Sci. 1, 107-112. 

  17. Oerlemans, M. M., Akkerman, R., Ferrari, M., Walvoort, M. T. and de Vos, P. 2021. Benefits of bacteria-derived exopolysaccharides on gastrointestinal microbiota, immunity and health. J. Funct. Foods. 76, 104289. 

  18. Otero, M. C., Ocana, V. S. and Nader-Macias, M. E. 2004. Bacterial surface characteristics applied to select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Methods Mol. Biol. 268, 435-440. 

  19. Park, S. Y., Hwang, U. S., You, C. B., Lee, E. S. and Park, H. 202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yogurt produced with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Curr. Top. Lact. Acid Bact. Probiotics. 7, 67-76. 

  20. Seon, Y.K., Park, J. S. and Yang, E. J. 2021. Isolation of microorganism with high protease activity from Doen-jang and production of Doenjang with isolated stra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50, 79-87. 

  21. Shin, D. H. 2010. Globalization trends and prospect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Sci. Ind. 43, 69-82. 

  22. Sutherland, I. W. 1998. Novel and established applications of microbial polysaccharides. Trends Biotechnol. 16, 41-46. 

  23. Suzer, C., Coban, D., Kamaci, H. O., Saka, ?., Firat, K., Otgucuo?lu, O. and Kucuksari, H. 2008. Lactobacillus spp. bacteria as probiotics in gilthead sea bream (Sparus aurata, L.) larva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Aquac. 280, 140-145. 

  24. Tokatlı, M., Gulgor, G., Ba?der Elmacı, S., ??leyen, N. and Ozcelik, F. 2015. In vitro properties of potential probiotic indigenous lactic acid bacteria originating from traditional pickles. Biomed. Res. Int. 2015, 315819. 

  25. Veron, H. E., Di Risio, H. D., Isla, M. I. and Torres, S. 2017. Isolation and selection of potential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rom Opuntia ficus-indica fruits that grow in Northwest Argentina. LWT. 84, 231-240. 

  26. Wang, X., Shao, C., Liu, L., Guo, X., Xu, Y. and Lu, X. 2017. Optimization,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n exopolysaccharide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X041. Int. J. Biol. Macromol. 103, 1173-118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