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기반 지속가능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ject-based Sustainability Education Program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1, 2024년, pp.108 - 121  

강석진 (전주교육대학교) ,  김진현 (대서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전략을 사용한 지속가능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육대학교의 4학년 학생 2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사전 검사로 환경 관련 행동 및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지속가능성 교육 프로그램을 5주에 걸쳐 실시하였고, 학생들은 전기 절약 프로젝트를 각자 수행하였다.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와 같은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아홉 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하였다. 면담 내용과 포트폴리오 및 결과 보고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지속가능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원인에 관련된 하위 개념을 도출한 뒤 유목화하여 하위 범주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하위 범주 사이의 관계 중 반복해서 나타나는 관계를 추출하여 잠정적인 설명 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젝트 기반 지속가능성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친환경적 행동과 가치 및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학생들의 친환경적 행동에 뚜렷하게 영향을 미친 원인은 '성공으로 얻은 성취감'이었다. 그리고 일부 원인은 가치 및 태도 측면을 매개로 학생들의 친환경적 행동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ustainability education program employing a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y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investigated its effectiveness. A total of 23 senior students from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vestigation involved a pretest on thei...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40)

  1. 박영주, 박진희(2023).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교양 교육 연구, 17(1), 227-243. 

  2. 백성희, 김찬종(2019).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와 관련된 변인 탐색. 환경교육, 32(3), 348-360. 

  3. 백성희, 김찬종, 주은정(2021).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대응행동과 관련 변인의 인과적 관계. 환경교육, 34(3),?306-318. 

  4. 백종송, 김찬국(2019). 초등교사의 학습 경험과 환경교육?실천. 환경교육, 32(2), 160-173. 

  5. 성정희, 정수현(2017). 그린캠퍼스 활동에 나타난 내면화?수준 분석과 대학환경교육의 과제. 환경교육, 30(1),?103-120. 

  6. 신태현, 정광순(2016). 킬패트릭의 Project Method로 본 학교수업의 모습 성찰. 통합교육과정연구, 10(3), 119-139. 

  7. 오형나, 엄영숙, 전성현(2019). 환경교육의 파급효과: 체험중심 환경교육의 영역내?영역간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7(1), 19-55. 

  8. 유지원(2020). 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20(21), 281-305. 

  9. 유지원(2022).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인식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수준에 따라 팀 상호작용, 태만,?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4), 61-76. 

  10. 이영미(2013).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351-375. 

  11. 이화진(2021). 환경행동이론(TPB, NAM, VBN)에 기반한?환경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환경교육, 34(1), 81-99. 

  12. 이혜정, 임상훈, 강수민(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 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5(2), 59-84. 

  13. 이윤선, 고명희, 김재선, 김수영(2019). 팀 프로젝트 기반?환경주제 사회문제해결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들의 환경 인식 변화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3(4), 361-375. 

  14. 임희준, 노석구, 송현순, 장인실, 최일선(202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 259-270. 

  15. 장선영(2014).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문제해결 단계별 스캐폴딩 유형의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30(2), 193-220. 

  16. 주은정, 이정아, 장신호(2013). 초등교사의 환경 및 환경교육적 신념과 이에 영향을 준 경험 탐색. 환경교육, 26(4), 490-504. 

  17. 최지선, 윤순진(2022). '최소의 삶' 실천의 환경교육적 의미: 전환학습과 무형식학습의 관점에서. 환경교육, 35(4), 320-340. 

  18. 최혜숙, 심규철, 소금현, 여성희(2010). 초등 예비교사들의?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의지에 대한?조사 연구. 환경교육, 23(2), 129-144. 

  19. 황윤성, 조성진(2019). 환경교육이 대학생의 이타적 가치,?결과지각 및 책임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3(2), 241-258. 

  20. Brundiers, K., & Wiek, A . (2013). Do we teach what we?preac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roblem- and?project-based learning courses in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5(4), 1725-1746. 

  21. Carrapatoso, A. (2021).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ction-oriented learning at higher education?institutions: Reflections on a trans-disciplinary teaching?project.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Education, 17(S1),?12-22. 

  22. Chen, C. H., & Yang, Y. C. (2019). Revisiting the effects?of project-based learning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sis investigating moderator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6, 71-81. 

  23. Ferreira, J., Ryan, L., Davis, J., Cavanagh, M., & Thomas,?J. (2009). Mainstreaming sustainability into pre-service?teacher education in Australia. Canberra, Australia:?Australian Research Institute in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24. Frash, R. E., Kline, S., & Stahura, J. M. (2004). Mitigating?social loafing in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Teaching in Travel & Tourism, 3(4), 57-77. 

  25. Gould, R. K., Ardoin, N. M., Thomsen, J. M., & Roth, N.?W. (2019).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environmental learning and behavior through four everydaylife case studie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25(3), 314-340. 

  26. Hattie, J., & Timperley, H. (2007). The power of feedback.?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1), 81-112. 

  27. Holmes, L. M. (2012). The effects of project based learning on 21st century skills and no child left behind accountability standar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University of Florida, USA. 

  28. Krajcik, J. S., & Shin, N. (2014). Project-based Learning.?In R. K. Sawyer (Ed.), The Cambridge Handbook of?the Learning Sciences (pp. 275-2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Krauss, J., & Boss, S. (2013). Thinking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Guiding Deeper Inquiry. Thousand?Oaks: Corwin. 

  30. Marcell, K., Agyeman, J., & Rappaport, A. (2004). Cooling the campus: Experiences from a pilot study to reduce electricity use at Tufts university, USA, using social marketing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5(2), 169-189. 

  31. Larmer, J., Mergendoller, J., & Boss, S. (2015). Setting?the Standard for Project based Learning. Alexandria:?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2. Lee, J. S., Blackwell, S., Drake, J., & Moran, K. A.?(2014). Taking a leap of faith: Redefining teaching and?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rough project-based?learning.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Learning, 8(2), 1-17. 

  33. Lenz, B., Wells, J., & Kingston, S. (2015). Transforming?schools: Using project-based learn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common core standards. San Francisco:?Jossey-Bass. 

  34. Mumford, M. D., Feldman, J. M., Hein, M. B., & Nagao,?D. J. (2001). Tradeoffs between ideas and structure:?Individual versus group performance in creative problem?solving.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5(1), 1-23. 

  35. Reid, A., Dillon, J., Ardoin, N., & Ferreira, J.-A. (2021).?Scientists' warnings and the need to reimagine, recreate,?and restore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Education Research, 27(6), 783-795. 

  36. Stables, A., & Scott, W. (2002). The quest for holism in?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Education Research, 8(1), 53-61. 

  37. Stern, M. J., Powell, R. B., & Hill, D. (2014).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in the new millennium: What do we measure and what have we learned??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0(5), 581-611. 

  38.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2nd?ed.). Thousand Oaks: Sage. 

  39. Summers, M., Corney, G., & Childs, A. (2004). Student?teachers' concep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starting-points of geographers and scientists. Educational Research, 46(2), 163-182. 

  40. Whatley, J. (2012). Evaluation of a team project-based?learning module for developing employ ability skills.?Issues in Informing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9, 75-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