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의 모델 탐색: 조직형태 및 과제
Exploring the Model of Social Enterprise in Sport: Focused on Organization Form(Type) and Task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2 no.2, 2024년, pp.73 - 83  

박상현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  박주영 (상명대학교 미래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조직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필요한 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는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의 주요 현황 및 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배경 및 기원, 법제 및 정책, 조직목표, 조직구조 및 절차, 조직특성 등의 측면을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였다.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은 초기단계로서 정부의 사회적기업 정책목표는 재정투입을 통해 단기간 내 사회적기업의 수를 늘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개별 기업들의 수익창출 여력이 미흡하여 정부의 보조금 지원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의 기능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상황적 요인인 조직의 가치와 이념, 기술, 역사 등을 검토한 결과,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받아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우 정치적 통제는 어느 정도 강하고 시장에 노출 정도는 심하지 않은 '관청형' 조직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에서는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에 적정한 조직의 형태를 갖추기 위한 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스포츠 분야 사회적 기업 생태계가 어느 정도 정착된 이후에는 현재의 '관청형' 조직에서 '국민기업' 조직으로 점차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는 정부의 제한된 재정 수준을 감안해서도 그러하며, 단기적인 생존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스포츠 분야 사회적기업이라는 조직이 살아남을 수 있기 위해서도 그러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various problems arising around social enterprises in the sport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and derive necessary tasks and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the ...

주제어

참고문헌 (22)

  1. M. Auteri. (2004). The Enterpreneurial Establishment of a Nonprofit Organization. Public?Organization Review, 3(2), 171-189.? 

  2. S. Campbell. (1998). Social Entrepreneurship:?How to Develop New Social Purpose Business?Ventures. Health Care Strategic Management,?16(5), 17-8.? 

  3. D. U. Kim. (2022). A Study on the Exceptional?Understanding of Academics and Field in the?Defini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Type?Social Enterprises. Journal of Social Value and?Enterprise, 15(3), 3-24.?DOI : 10.32675/ses.2022.15.3.001? 

  4. S. G. Kim, J. W. Han & I. Y. Lee. (2021). The?Effect of Types of Corporate Philanthropy in?Sports Companies on Corporate Image, Corporate?Trust and Purchase Intention: A Moderating?Role of Authenticity. The Korean Journal of?Physical Education, 60(2), 99-117.?DOI : 10.23949/kjpe.2021.3.60.2.8? 

  5.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Enforcement?August 2, 2012 Act No. 11275, February 1, 2012,?partially amended) https://www.l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C%82%AC%ED%9A%8C%EC%A0%81%EA%B8%B0%EC%97%85+%EC%9C%A1%EC%84%B1%EB%B2%95#undefined.? 

  6.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2023). List of Certified Social Enterprises.?Gyeonggi: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7. Y. C. Kim. (2022). The Theory of Public?Administration. Seoul: Pakyoungsa.? 

  8. N. H. Han. (2018). Methods for Maximizing the?Economic and Social Value of Sports through?Athletic Job Creation. The Korean Journal of?Sport, 16(3), 301-313.? 

  9. Y. H. Chun. (2015). Organizational Autonomy:?Theory and Public Policy. July 2017 Summer?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Public Administration. Seoul: The Korean?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10. R. A. Dahl & C. E. Lindblom. (1953). Politics,?Economics, and Welfare. IL: The University of?Chicago Press.? 

  11. J. W. Creswell & D. L. Miller. (2000).?Determining validity in qualitative inquiry.?Theory Into Practice, 39(3), 124-130.? 

  12. M. Kim & J. J. Nam. (2022). A Study on Social?Entrepreneurship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Non-Profit Sports Organizations.?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20(4), 15-38.? 

  13. H. S. Um(2005). Concept and Implications of?Social Enterprise in the European Sense. Cities?and Poverty, 76, 78-117.? 

  14. K. H. Kim & J. H. Ban. (2006). An Exploratory?Study on the Concepts and Types of Social?Enterprise in Korea. Quarterly Journal of Labor?Policy, 6(4), 31-54.? 

  15. E. G. Choi & E. H. Choi. (2021). Testing Effects?of Co-operatives on Locations of Social?Enterprises in Korea Using Generalized Linear?Models. Social Economy & Policy Studies, 11(3),?69-98. DOI : 10.22340/seps.2021.08.11.3.69? 

  1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A?plan to promote social enterprise revitalization.?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7. S. J. Han. (2005). Beyond Markets and Countries.?Ulsan: Ulsan University Press.? 

  18. S. Y. Kim, H. Y. Kwon & Y. O. Han. (2010). The?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Corporate?Associated Social Enterprise. Korean NPO?Review, 8(3), 133-166.? 

  19. M. Aiken. (2006). British Social Enterprises.?International Labor Brief, 4(6), 22-30.? 

  20. J. A. Kerlin. (2006). Social Enterprise in the?United States and Europe: Understanding and?Learning from the Differences.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Organizations, 17, 246-262.? 

  21. H. Y. Ryu, J. H. Lee & S. C. Lee. (2020). A Study?on the Effects of Social Enterprise Government?Subsidies for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1),?149-157. DOI : 10.14400/JDC.2020.18.11.149? 

  22. J. Y. Hwang, H. J. Cho & B. K. Kim. (2021). The?Role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repreneur through Social Problem Mapping.?Journal of Public Policy Studies, 38(3), 323-354.?DOI : 10.33471/ILA.38.3.12?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