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허 분석을 통한 해양공간 정책 시뮬레이터 기술개발 동향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 of Marine Spatial Policy Simulator Technology through Patent Analysi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30 no.1, 2024년, pp.32 - 42  

이준희 (더브릿지전략컨설팅(주)) ,  이정은 (더브릿지전략컨설팅(주)) ,  김대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정민의 (더브릿지전략컨설팅(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양공간 통합관리 수단의 지원책으로 활용되는 해양공간 정책 시뮬레이터 기술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유럽 등 주요 5개국에 대한 정량분석을 위한 유효특허 1,474건을 도출하고, 연도별,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 및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국내 기술 경쟁력 및 국내·외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공간 정책 시뮬레이터 기술의 경우 중국(1,254건, 85.1%) 주도의 특허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부 기술별로는 어업환경 변화예측 및 활용 시뮬레이터(AC)가 392건(26.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핵심 키워드 변화를 통해 최근에는 다중 데이터의 수집과 데이터의 탐지, 예측, 평가 등으로 기술 트렌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중국 주도의 시장 독과점 및 선점에 대비하기 위해 주변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 고려 및 표준화 선점 등의 연계 전략을 통한 대비와 정부 차원의 해양공간 정책 시뮬레이터 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진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1,474 effective patents were deriv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five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for marine space policy simulator technology used as a support for integrated marine space management means, and domestic technology com...

주제어

참고문헌 (13)

  1. Cho, S. J., H. J. Choi, J. S. Yim, H. Y. Lee, and S. M.?Kim(202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gent-Based?Simulation in Marine Spatial Planning - Focused on Analysis?of Policy Issues and Technical Demands. Ocean Policy?Research, Vol. 38, No. 1, pp. 153-179. 

  2. Harris, L. R., S. D. Holness, S. P. Kirkman, K. J. Sink, P.?Majiedt, and A. Driver(2022), A robust, systematic approach?for developing the biodiversity sector's input for multi-sector?Marine Spatial Planning.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230, 106368. 

  3. Holness, S. D., L. R. Harris, R. Chalmers, D. De Vos, V.?Goodall, H. Truter, A. Oosthuizen, A. T. F. Bernard, P. D.?Cowley, C. da Silva, M. Dicken, L. Edwards, G. Marchand,?P. Martin, T. S. Murray, M. C. Parkinson, P. Pattrick, L.?Pichegru, P. Pistorius, W. H. H. Sauer, M. Smale, A.?Thiebault, and A. T. Lombard(2022), Using systematic?conservation planning to align priority areas for biodiversity?and nature-based activities in marine spatial planning: A?real-world application in contested marine space, Biological?Conservation, vol. 271, 109574. 

  4. Hwang, K. W., A. R. Jang, and M. S. Lee(2021), A Study on?the Trends in the Studies on Marine Spatial Planning:?Focusing on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27, No. 7, pp.?954-966. 

  5. Jin, Y. H. and H. C. Yang(2020a), Legal Research on Marine?Spatial Management Based on Ecosystem of China, Public?Law Journal, Vol. 21, No. 3, pp. 387-414. 

  6. Jin, Y. H. and H. C. Yang(2020b), Sea area use permission?system in Chinese marine spatial planning, Public Law?Journal, Vol. 21, No. 2, pp. 395-421. 

  7.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2016), Development of?Integrated Environmental Health Evaluation and Adaptation?Technology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2021), Development of?integrated decision support model for environmental impact?assessment. 

  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2012),?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Real?Estate Policy and Establishment of Rep-DSS(II). 

  10. Lee, J. E. and M. E. Jeong(2022), A Case Study on the Need?for Diagnosis of Current Issues and Policy Support in Marine?Space: Focusing on the Specialized Marine Industry in?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Environment and Safety, Vol. 28, No. 7, pp. 1158-1168. 

  1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23), Integrated Marine?Spa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ww.msp.go.kr. 

  12. Roy, S., M. S. Hossain, M. K. Badhon, S. U. Chowdhury, N.?Sumaiya, and D. Depellegrin(2022), Development and analysis?of a geospatial database for maritime spatial planning in?Bangladesh.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317, 115495. 

  13. Vermeulen-Miltz, E., J. K. Clifford-Holmes, U. M. Scharler,?and A. T. Lombard(2023), A system dynamics model to?support marine spatial planning in Algoa Bay, South Africa,?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160, 1056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