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마약류 중독 치료를 위한 디지털치료제 예술치료 적용을 위한 문헌연구
Literature Review on Applying Digital Therapeutic Art Therapy for Adolescent Substance Addiction Treatment 원문보기

Trans- = 트랜스-, v.16, 2024년, pp.1 - 31  

김지원 (성균관대학교 실감미디어공학과) ,  변혁 (성균관대학교 실감미디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청소년들이 마약류 구매 환경에 쉽게 접근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한 마약류 구매 및 복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들은 마약류 중독으로 인한 신경학적 및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있으며, 이는 범죄에 노출될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의 관리와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약에 노출된 청소년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대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재발 위험이 높은 마약류 중독 치료를 위해선 비용이 효율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치료 환경을 조성하고, 예술을 활용한 치료적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한다. 청소년 약물 중독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 현황을 검토하고, 마약류 중독이 청소년의 뇌 활동 및 인지 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독된 뇌 기능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관한 방안을 선행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해 모색한다. 또한, 디지털 치료적 접근법과 예술치료의 통합이 치료 과정에 어떠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 연극 치료, 음악 치료, 미술치료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치료적 효과의 증대 가능성을 제안한다. 예술 치료 요법의 적용은 도구의 확장, 표현의 다양화, 데이터의 확보, 동기 부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청소년 마약류 중독 치료의 효과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청소년 마약류 중독에 대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 경제적이며 지속 가능한 치료 방안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vent of digital media has facilitated easy access for adolescents to environments conducive to the purchase of narcotics. In particular, there's an increasing trend in th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narcotics mediat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messenger services. Adolescents,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42)

  1. 정승욱, 한정환, 「AI-메타버스 융합의 기회」, 쇼팽의서재, 2023 979-11-981869-2-8 

  2. 김진희, 「약물남용청소년을 위한 부모개입프로그램연구」, 「청소년대화의광장」, 1998 

  3.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NIDA의 약물, 뇌, 그리고 행동 - 중독학II」, 「한국중독학회보」, 2015 

  4. 손재희, 「디지털치료제의 이해와 활용」, 「한국보험연구원」, 2023 

  5. 전영실, 「신종마약류 범죄 발생실태와 통제정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7 

  6. 김학신, 「마약류 관리법상 청소년 마약범죄 실태와 이에 대한 대처 방안」,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10.17252/dlr.2012.36.1.018 

  7. 박선영, 「청소년 마약비행 대응을 위한 제언」, 「아시아교정포럼학술지」, 2023 

  8. 최재윤, 「청소년의 합법적 약물의 남용실태와 사회의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병원약사지회」, 2011 10.32429/jkshp.2011.28.1.004 

  9. 홍서아, 「청소년의 약물중독 실태 및 심리지원 방안」, 「한국중독학회보」, 2018,10.26606/kaac.2018.8.2.5 

  10. 이무송, 「청소년의 신종마약류중독 실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중독학회보」, 2022 

  11. 김소연, 「약물 오남용의 신경생물학적 기전과 약동학 및 약력학」, 「대한의사협회지」, 2013 

  12. 이상원, 「디지털치료제의 미래」, 「한국병원약사회」, 2023 

  13. 황매향,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상담학연구」, 2020 10.15703/kjc.21.4.202008.219 

  14. 황세연, 「공감 및 구체적 설명 생성 우울증 챗봇 구현을 위한 모델 기초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23 

  15. 김한섭,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가상 치료 및 상담에디지털 휴먼을 활용한 연구 사례 조사」, 「정보처리학회지」, 2021 

  16. 차경렬, 「가상현실기술의 정신의학적 이용」, 「생물정신의학」, 2007 

  17. 이동연, 「디지털치료제(DTx)기반 가상현실치료(VRT) 유형 및 특성 연구 - VR 콘텐츠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지」, 2022 10.35216/kisd.2022.17.4.183 

  18. 김승현, 「VR을 활용한 명상콘텐츠가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대학원 신문방송학과」, 2021 

  19. 김교헌,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건강심리학회지」, 2006 

  20. 박미리, 「거울전이를 적용한 연극치료 기법 고찰 -우울증 여성을 위한 단기연극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연극예술치료연구」, 2012 

  21. 김경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청소년을 위한 실감콘텐츠 '확장현실 심리치료(XR Therapy)' 활용 연구 캐릭터 엘사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2020 

  22. 박상인, 「XR 음향 콘텐츠 활용을 위한 감성-뇌연결성 분석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2022 10.5909/JBE.2022.27.5.738 

  23. 임성윤, 「가상현실 미술치료 (VRAT) 콘텐츠의 치료적 요인 특성에 대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10.5392/JKCA.2022.22.04.001 

  24. 류창현, 「청소년 ADHD와 CD를 위한 가상현실(VR) 활용 심리치료 효과의 함의」, 「한국중독범죄학회지」, 2022 

  25. 양희진, 「마음 치료를 위한 음악 경험의 시각화 문제」, 「현대유럽철학연구」, 2023 10.20974/dasein.2023..71.309 

  26. 여정윤, 「음악치료활동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012, 10.21330/kjmt.2012.14.1.21 

  27. 이상희, 「디지털 미술치료에 가능성과 발전방안」, 「HCI2009」, 2009 

  28. 김선현,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임상미술치료의 역할」, 「임상미술치료학 연구」, 2013 

  29. 한주연, 「예술의 유희적 특성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예술치료적 활용의 가능성」, 「한국영상학회」, 2015 

  30. Annabel Boys, Marsden & Strang, 「Understanding reasons for drug use amongst young people: functional perspective」, 「Health and Education research」 2001, https://doi.org/10.1093/her/16.4.457 

  31. Fulton F.Velez et al., 「Reduced Healthcare Resource Utilization in Patients with Opioid Use Disorder in the 12 Months After Initiation of a Prescription Digital Therapeutic」, 「Adv Ther」, 2022 https://doi.org/10.1007/s12325-022-02217-y 

  32. Valorie N Salimpoor, 「Anatomically distinct dopamine release during anticipation and experience of peak emotion to music」, 「Nature Neuroscience」, 2011 https://doi.org/10.1038/nn.2726 

  33. Iballa Buranat,「The reliability of continuous brain responses during naturalistic listening to music」,「Elsevier-NeuroImage」, 2016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15.09.005 

  34. Archi Banerjee,「Study on Brain Dynamics by Non Linear Analysis of Music Induced EEG Signals」, 「Elsevier-PysicaA」, 2015 https://doi.org/10.1016/j.physa.2015.10.030 

  35. 박하정, https://buly.kr/9XIM91l, 2023 

  36. 이우진, https://buly.kr/1rJ5wW, 2023 

  37. 김홍진, https://buly.kr/6XjLO9h, 2023 

  38. KBS 추적60분, , 2023 

  39. Philippa Roxby, , https://www.bbc.com/news/health-42097781, 2017 

  40. Metthew Finnegan, ,https://buly.kr/uR69gc, 2023 

  41. 조코딩, , https://www.youtube.com/watch?veHH2ajTtbsY, 2023 

  42. MEDrythms, , https://medrhythms.com/,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