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신체 및 인지기능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31 no.1, 2024년, pp.98 - 109  

김혜은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조기훈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ependence in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Design: Retrospective study. Method: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study analyzing medical records. T...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김동훈. 열자극을 병행한 가상현실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위팔 능동가동범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3;30(1):62-71. 

  2. 공명자. (2014).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하부 항목별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공성아, 한상완. (2008). 탄력 밴드 트레이닝이 뇌졸중 편마비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절 ROM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8;16(1):117-134. 

  4. 김원호, 황명옥, 박은영. (2007). 발병 후 3 개월이 경과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7;14(1):74-81. 

  5. 김지영, 임애진, 김성례, 한윤희, 한승협, 박용광, & 감경윤. (2010).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상지 수행능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독립성 정도: MAL 과 MBI 상관관계 연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2010;4(2):11-18. 

  6. 김지은. (2019).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영향 요인.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노효련, 김찬우. (2019). 인지능력과 상지기능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9;14(4):115-123. 

  8. 안승헌, 박창식. (2007).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과 일상생활동작, 근긴장도, 그리고 기능증진과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7;14(1):64-73. 

  9. 원종임, 이미영. (2010).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예측모델.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0;17(3):59-67. 

  10. 오은영, 김민숙, 소희영, & 정미숙. (2013).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질병의 심각도 및 장애 정도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013;16(2):90-99. 

  11. 유영열, 안창식. (2009). 뇌졸중 환자가 인지하는 재활동기와 삶의 질 관계의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9;17(2):1-16. 

  12. 유요한, 한진태. 뇌졸중 환자의 탄력-비탄력 발목 테이핑 적용이 자세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일시적 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3;30(1):52-61. 

  13. 윤은영, 전세일, 오희철, 전중선. (1996). 뇌졸중 환자의 인지지각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96;5(1):8-19. 

  14. 이상헌. (2009). 뇌졸중 환자에서 알렌인지수준과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및 상지기능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9):287-294. 

  15. 이성란, 권혁철. (2003).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이 일생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3):41-51. 

  16. 이연섭, 전현주. 경 두개 직류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시간적, 공간적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3):75-84. 

  17. 이지영. (2021).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예측.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인태성. 테이핑을 병행한 어깨뼈 설정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 및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3;30(2):43-51. 

  19. 인태성, 정경심. 가벼운 터치 자극을 이용한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동요와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2):20-27. 

  20. 정경만, 정유진. 휠체어 몸통 훈련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 낙상 위험도,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예비 연구.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3):1-11. 

  21. 정상미, 정병록, & 양승훈. (2013).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3;7(3):223-228. 

  22. 정미숙, 오은영, & 차경인. (2022).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비교. 디지털융복합연구, 20(3), 517-527. 

  23. Benaim, C., Prennou, D. A., Villy, J., Rousseaux, M., & Pelissier, J. Y. (1999).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1999;30(9):1862-1868. 

  24. Carr, J. H., Shepherd, R. B., Nordholm, L., & Lynne, D. (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1985;65(2):175-180. 

  25. Cooper, J. E., Shwedyk, E., Quanbury, A. O., Miller, J., & Hildebrand, D. (1993). Elbow joint restriction: effect on functional upper limb motion during performance of three feeding activ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3;74(8):805-809. 

  26. Eich, H., Mach, H., Werner, C., & Hesse, S. (2004). Aerobic treadmill plus Bobath walking training improves walk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04;18(6):640-651. 

  27. Ezema, C. I., Akusoba, P. C., Nweke, M. C., Uchewoke, C. U., Agono, J., & Usoro, G. (2019). Influence of Post-Stroke Depression on Functional In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Ethiopian journal of health sciences, 29(1), 841-846. 

  28. Hsu, W. L., Feng, C. T., & Tzeng, I. (2022). The Influence of Upper Limb Motor Function on the Activity of Life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 Practice and Science. 2022;50(1):39-45. 

  29. Luke, C., Dodd, K. J., & Brock, K. (2004). Out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4;18(8):888-98. 

  30. McDowd, J. M., Filion, D. L., Pohl, P. S., Richards, L. G., & Stiers, W. (2003). Attentional abilities and functional outcomes following strok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3;58(1):P45-P53. 

  31. Mesure, M. (1993). Manual for Functional Training, ed 3, Palmer ML, Toms JE, Philadelphia, PA, FA Davis Co, 1992, paperback, 351 pp, i/lus, $25.95. Journal of Physical Therapy Education, 1993;7(2):80. 

  32. Michaelsen, S. M., Dannenbaum, R., & Levin, M. F. (2006). Task-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 on arm recovery in stroke: randomized control trial. Stroke. 2006;37(1):186-192. 

  33. Pai, H. C., Lai, M. Y., Chen, A. C., & Lin, P. S. (2018). Chan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year following a stroke: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Nursing research. 2018;67(4):286-293. 

  34. Radomski, M. V., & Latham, C. A. T. (2008).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5. Shumway-Cook, A., & Woollacott, M. H. (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6. Sims, N. R., & Muyderman, H. (2010). Mitochondria, oxidative metabolism and cell death in stroke.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Molecular Basis of Disease. 1802;(1):80-91. 

  37. Weerdesteijn, V., Niet, M. d., Van Duijnhoven, H., & Geurts, A. C. (2008). Falls in individuals with strok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