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평군 공공도서관 공간 운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Space Operation Plan for Yangpyeong-gun Public Librar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5 no.1, 2024년, pp.301 - 324  

장인호 (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곽우정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평군의 신규 건립 도서관이 지역민을 위한 문화 향유 공간, 창의성 함양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공간별 운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될 공간에 대한 운영 계획(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타 도서관의 유사 공간별 명칭, 운영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고, 도서관 사례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운영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자료실 등은 유아·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초기 독서습관 향상, 발달 기여, 다양한 감각 발달 등에 기여하는 공간 활용이 중요하며, 소극장은 규모가 큰 공연을 중심으로 기획해야 한다. 벽면서가&북스테어 옆 독서 및 휴식을 위한 가구와 공간 마련하고 일정 이하 잡담이 가능한 소통공간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목적실은 체험형 창작 활동, 창작 공연 등을 활성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아리실은 주기적인 소통 및 의견 공유를 통해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은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을, 일반자료실은 전 주제의 자료를 제공하는 장소로써 이용자들과 주기적으로 소통하여 의견을 반영하여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족실은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차도 마시면서 북카페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pose operational directions for each space in order to transform the newly built library in Yangpyeong-gun into a space for cultural enjoy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for local residents. To this end,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space composition status of Y...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27)

  1. Chang, Seoee, Kim, Yongsun, & Kim, Uk (2016).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features of specialized library.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11(4), 77-87.?http://dx.doi.org/10.35216/kisd.2016.11.4.77 

  2. Daehwa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goyanglib.or.kr/MJ 

  3. Daejeon Metropolitan City Library (2023.07.27). Available:?https://www.daejeon.go.kr/hanbatlibrary 

  4. Deokjeong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libyj.go.kr/djlib 

  5. DGIST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library.dgist.ac.kr/ 

  6. Eunpyeong Newtown Public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enlib.or.kr 

  7. Hyoyang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icheonlib.go.kr 

  8. Kim, Eunja & Minami, Toshiro (2009). Library's space organization improvement based on?patrons' behavioral research: at Gwacheon public library in Korea and Kyushu university?library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3),?395-415. http://dx.doi.org/10.3743/KOSIM.2009.26.3.395 

  9. Kim, Tae-Seung & Kim, Eun-Ja (2008). A study on the space design of public library based?on user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2(4), 311-328. 

  10. Ko, Jae-Min, Cho, Hyun-Yang, & Ko, Hung-Kwon (2015). A study on space program based?on the library facility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6(3), 349-379. http://dx.doi.org/10.16981/kliss.46.3.201509.349 

  11. Kwak, Seung-Jin, Noh, Younghee, & Shin, Jae-Min (2017).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tu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28(3), 7-25.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3.007 

  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2). 2022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for Public Library. 

  13.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3. 5. 11.). Opening an era in which local areas are easier?to live in, everywhere, with easy-to-handle local extinction measures. Available:?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0346 

  14. Moon, Eun Mi (2010). A study on space design and space uses of community based small?public libraries: focused on the cases of Ann Arbor district library in the United States.?Journal of the Korean Institue of Interior Design, 19(5), 217-225. 

  15. Namdong-Gu Public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namdonglib.go.kr 

  16. National Assembly Busan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busan.nanet.go.kr 

  17.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2023.07.27). Available:?https://www.nlcy.go.kr/NLCY 

  18. Noeulbit-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hscitylib.or.kr/neblib 

  19. Noh, Younghee (2023. 4. 25.). There is an urgent need to build a representative library in?Chungcheongbuk-do. Chungbuk-Ilbo, Available:?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761966 

  20. Paju Garam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lib.paju.go.kr/grlib 

  21. Seongnam Central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snlib.go.kr/ct 

  22. Seonyu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ydplib.or.kr/sylib 

  23. Seoul Metropolitan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lib.seoul.go.kr 

  24. Shin, Youngji & Noh, Younghee (2020). A study on the program structure and activation plan?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54(1), 89-114. http://dx.doi.org/10.4275/KSLIS.2020.54.1.089 

  25. Suncheon City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library.suncheon.go.kr 

  26. The Uijeongbu Music Library (2023.07.27). Available: https://www.uilib.go.kr/music 

  27. Yangpyeong Gun (2023). Yangpyeong Gun website. https://www.yp21.go.kr/www/index.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