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시기 위성자료 기반 낙동강 하구 지역 갯벌 면적 분석을 통한 블루카본 저장량 변화 평가
Evaluating Changes in Blue Carbon Storage by Analyzing Tidal Flat Areas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 Kore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40 no.2, 2024년, pp.191 - 202  

김민주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박정우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현창욱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를 유발하고 생태계와 인류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각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시도하고 있으며, 해안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블루카본(blue carbon)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블루카본은 그린카본(green carbon) 대비 탄소흡수 속도가 최대 50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후 변화 대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대한민국의 갯벌은 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고 뛰어난 탄소흡수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블루카본 관련 기존 연구에서는 갯벌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탄소 흡수량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갯벌의 면적 변화를 탐지하고 이를 탄소 저장량과 연계한 사례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기 고해상도 위성자료인 PlanetScope 및 RapidEye 자료에 Direct Difference Water Index를 적용하여 연구지역인 낙동강 하구 갯벌의 면적 및 변화를 2013년부터 2023년 사이의 6개 시기에 대해 장기적으로 분석하고 시기별 탄소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 내 갯벌 면적은 조위 기준이 상이한 2013년 시기를 제외하였을 때 최소 약 9.38 km2 (2022년), 최대 약 9.89 km2 (2021년)로 연간 최대 약 5.4%가 변화하였으며 탄소 저장량은 최소 약 30,230.0 Mg C, 최대 31,893.7 Mg C로 산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warming is causing abnormal climates worldwide due to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negatively affecting ecosystems and humanity. In response, various countries are attempting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numerous ways, and interest in blue carbon,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갯벌의 유기 탄소량 및 연간 탄소 흡수량에 초점을 맞추었고,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갯벌의 면적 변화를 탐지한 경우 이를 블루카본 저장량과 연계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기 고해상도 위성자료인 PlanetScope 및 RapidEye 자료를 활용하여 낙동강 하구 지역에서 갯벌 면적을 직접 추출하고, 해당 면적을 기반으로 블루카본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특히 간조와 만조 시간대에 가장 근접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Landsat 및 Sentinel과 같은 위성자료보다 시간 해상도가 더 높은 군집위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 특히 간조와 만조 시간대에 가장 근접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Landsat 및 Sentinel과 같은 위성자료보다 시간 해상도가 더 높은 군집위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2013년부터 2023년 사이의 6개 시기에 대해 갯벌의 면적 및 변화를 장기적으로 분석하고 탄소 저장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자료 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국토지리정보원(https://www.ngii.go.kr/)에서 제공하는 연구지역의 수치지형도(1:5,000)를 활용하여 내륙 토지, 교량, 건물 등과 같이 갯벌과 유사한 분광값을 가져 오분류 될 가능성이 있는 대상들을 사전에 제외시키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위성자료와 수치지형도 사이에 존재하는 위치오차 및 교량에 의한 그림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퍼 영역을 20 m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delhady, H. U., Troy,C. D., Habib,A., and Manish, R., 2022.Asimple,?fully automated shoreline detection algorithm for high-resolution?multi-spectral imagery. Remote Sensing, 14(3), 557. https://doi.org/10.3390/rs14030557 

  2. Chang, M., Li, P., Li, Z., and Wang, H., 2022. Mapping tidal flats of the?Bohai and Yellow Seas using time series Sentinel-2 images and?Google Earth Engine. Remote Sensing, 14(8), 1789. https://doi.org/10.3390/rs14081789 

  3. Chen, Z. L., and Lee, S. Y., 2022. Tidal flats as a significant carbon?reservoir in global coastal ecosystems. Frontiers in Marine?Science, 9, 900896. https://doi.org/10.3389/fmars.2022.900896 

  4. Choung, Y. J., and Jo, M. H., 2016. Shoreline change assessment for?various types of coasts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ry?of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Remote Sensing Letters, 7(1),?91-100. https://doi.org/10.1080/2150704X.2015.1109157 

  5. Duarte, C. M., Losada, I. J., Hendriks, I. E., Mazarrasa, I., and Marba,?N., 2013. The role of coastal plant communities for climate?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Nature Climate Change, 3(11),?961-968. https://doi.org/10.1038/nclimate1970 

  6. Gettelman, A., and Rood, R. B., 2016. Climate change and global?warming. In: Demystifying climate models: A users guide to?Earth system models, Springer, pp. 23-35. https://doi.org/10.1007/978-3-662-48959-8_3 

  7. Ghorai, D., and Mahapatra, M., 2020. Extracting shoreline from satellite?imagery for GIS analysis. Remote Sensing in Earth Systems?Sciences, 3, 13-22. https://doi.org/10.1007/s41976-019-00030-w 

  8. Howard, J., Hoyt, S., Isensee, K., Telszewski, M., and Pidgeon, E., 2014. Coastal blue carbon: Methods for assessing carbon stocks?and emissions factors in mangroves, tidal salt marshes, and?seagrass meadows. Conservation International, Intergovernmental?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International Union?for Conservation of Nature. https://www.cifor.org/publications/pdf_files/Books/BMurdiyarso1401.pdf 

  9. Jeong, Y., Lee, K. J., Chae, T. B., and Yu, J., 2020. Analysis of tidal channel?variations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multispectral satellite?image in Sihwa reclaimed land,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Remote Sensing, 36(6-2), 1605-1613. https://doi.org/10.7780/kjrs.2020.36.6.2.10 

  10. Jung, J. A., Kwon, B. O., Hong, H. J., Ahn, J. H., and Lee, M. J., 2023.?Comparative analysis of blue carbon stock spatial data in the?estuaries and coastal areas of the Geum and Nakdong Rivers.?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9(6-1), 1505-1515. https://doi.org/10.7780/kjrs.2023.39.6.1.28 

  11. Kim, S. H., 2005.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barrag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4),?416-427. 

  12. Lee, J., Kim, B., Noh, J., Lee, C., Kwon, I., Kwon, B. O. et al., 2021. The?first national scale evaluation of organic carbon stocks and?sequestration rates of coastal sediments along the West Sea,?South Sea, and East Sea of South Korea. Science of the Total?Environment, 793, 148568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21.148568 

  13. Macreadie, P.I., Anton, A., Raven, J. A., Beaumont, N., Connolly, R. M.,?Friess, D. A. et al., 2019.The future of Blue Carbon science. Nature?Communications, 10, 3998. https://doi.org/10.1038/s41467-019-11693-w 

  14. Mcleod, E., Chmura, G. L., Bouillon, S., Salm, R., Bjork, M., Duarte, C.?M. et al., 2011.Ablueprint for blue carbon: toward an improved?understanding of the role of vegetated coastal habitats in?sequestering CO 2 .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9(10), 552-560. https://doi.org/10.1890/110004 

  15. Murray, N. J., Phinn, S. R., DeWitt, M., Ferrari, R., Johnston, R., Lyons,?M. B. et al., 2019. The global distribution and trajectory of tidal flats. Nature, 565, 222-225. https://doi.org/10.1038/s41586-018-0805-8 

  16. Murray, N. J., Stuart, R. P., Robert, S. C., Chris. M. R., and Richard, A.?F., 2012. Continental scale mapping of tidal flats across East Asia?using the Landsat archive. Remote Sensing, 4(11), 3417-3426.?https://doi.org/10.3390/rs4113417 

  17. Park, J., Khim, B. K., Lee, H. J., and Lee, S. R., 2014. Recent?morphological changes off the shoreface of Jinwoodo and?Sinja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2007-2012. Ocean & Polar?Research, 36(2), 87-101. https://doi.org/10.4217/OPR.2014.36.2.087 

  18. Sandilyan, S., and Kathiresan, K., 2012. Mangrove conservation: A?global perspective.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21, 3523-3542.?https://doi.org/10.1007/s10531-012-0388-x 

  19. Sondak,C. F., andChung,I.K., 2015. Potential blue carbon from coastal?ecosystems in the Republic of Korea. Ocean Science Journal, 50,?1-8. https://doi.org/10.1007/s12601-015-0001-9 

  20. Sunwoo, W., Kim, D., Kang, S., and Choi, M., 2016. Application of?KOMSAT-2 imageries for change detection of land use and land?cover in the West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of Remote Sensing, 32(2), 141-153. https://doi.org/10.7780/KJRS.2016.32.2.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