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급식시설 종사자의 주관적 소음 인지 정도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Insomnia by Degree of Subjective Noise Perception in School Meal Facility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33 no.2, 2024년, pp.47 - 54  

정윤주 (한국철도공사) ,  박희주 (강북구 보건소) ,  이윤정 (대한산업보건협회) ,  백은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subjective noise perception among School Meal Facility Worker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ise perception and insomnia,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insomnia. Methods: School meal facility workers were surveyed from November...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의 주관적 인지 정도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소음으로 인한 수면장애 및 건강 장해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결과가 있으나, 최근 급식시설 종사자의 산업재해 등에 비추어 소음작업환경에 노출된 학교 급식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소음인지 정도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며, 조리시설 종사자들의 환경소음으로부터 불면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의 마련과 건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성 조리시설 종사자 중심으로 주관적 소음인지 정도가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교 급식시설 종사자의 주관적 소음인지 정도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교 급식시설 종사자의 불면증 및 조리시설 종사자의 작업환경 소음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과 건강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및 주관적 소음인지 정도와 불면증과의 교차분석에서 주관적 건강 인지, 업무 스트레스, 우울 등 정신장애, 위장장애, 주관적 소음인지 정도 등 5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H., & Lee, E. (2019).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self-rated health, binge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36(2), 11-21.? 

  2. Cho, Y. W., Song, M. L., & Morin, C. M. (2014). Validation of a?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10(3), 210-215.? 

  3. Choe, S. C. (1987). Think about noise pollution. Bulletin of Korea?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9(2), 4-7.? 

  4. Choe, B. R. (2014). The impact of working mother's work-family?spillover and depression on parenting. Korean Journal of Social?Welfare Education, 25, 99-121.? 

  5. Coren, S. (2009). Sleep health and its assessment and management?in physical therapy practice the evidence. Physiotherapy theory?and Practice, 25(5-6), 442-452.? 

  6. Edell-Gustafsson, U. M., Kritz, E. I., & Bogren, I. K. (2002).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Sciences, 16(2), 179-187? 

  7. Health, G. B., & Executive, S. (2019). Tackling work-related stress using the management standards approach: A step-by-step workbook.?Stationery Office.? 

  8. Ju, G. W.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suicidal?idea through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25(2), 193-199.? 

  9. Kim, C. B., Jung, T. Y., & Han, S. M. (2015). Association night-shift?and long working-hours effects on subjective insomnia in?Korean workers: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41-55.? 

  10. Kim, J. M. (2006). The effects of noise on health: Focusing on idustrial sites. Journal of KSNVE, 16(5), 6-13.? 

  11. Kim, K. H., & Hwang, E. H. (2018). Correlation among insomnia,?sleep quality, depression, and circadian rhythm in nursing?baccalaure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32(2), 263-274.? 

  12. Kim, K. H., Jeon, J. Y., & Yano, T. (2003). A Study on the Subjective?Response of Traffic Noise Using Standard Noise Evaluation?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605-610.? 

  13. Kim, K. J., & Cha, C. W. (199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ound intensity and frequency of noise exposure at occupational si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2), 181-191.? 

  14. Kim, S. R. (1997). Noise and worker health care. Journal of the Korea?Industrial Nursing Association, 4(4), 35-41.? 

  15. Lee, J. H., Lee, J. M., Shim, C. S., Bang, S. Y., Jeong, K. S., Seong, J.?H. et al. (2012). The health effects of the noise. National Academy?of Environmental Sciences. Incheon: Ministry of Environment.? 

  16. Lim, M. H., Kang, J. K., Kim, H. W., Paik, K. C., Kim, H. J., Rho, S.?C., et al. (2009). Depression, anxiety, stress sensitivity and sleep?changes following chronic aircraft noise exposure.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of Stress, 17(1), 1-10.? 

  17.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KDCA). (2023, July 26). Noise?in Life, from?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gnrlzHealthInfoView.do? 

  18.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leep measurement instruments. Journal of Korean?Academy of Nursing, 28(3), 563-572.? 

  19. Rul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202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 Seo, B. G. (2017). A spatial analysis study of school meal facilities:?Focusing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eoul?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Facilities?Association, 23(5), 3-10.? 

  21. Shin, S. J. (2017). A study on the status and perception of safety accidents and prevention education of school meal cooks in Dae-gu.?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Daegu.? 

  22. Yang, E. O., Choi, I. R., & Kim, S. M. (2017). Effect of sleep disturbance and job stress of shift work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25(4), 255-264.? 

  23. Yun, J. C. (2006). The effect of environmental noise on sleep. Journal of KSNVE, 16(5), 37-45.? 

  24. Zaman, M., Muslim, M., & Jehangir, A. (2022). Environmental?noiseinduced cardiovascular, metabolic and mental health?disorders: A brief review.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Research, 29(51), 76485-765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