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NIST 7 Tenets 기반 제로 트러스트 표준 모델 점검 항목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誌 = KIISC review, v.34 no.3, 2024년, pp.5 - 12  

최여정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정윤정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만희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보안 패러다임은 경계 기반 보안 체계에서 제로 트러스트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NIST는 NIST SP 800-207(Zero Trust Architecture)을 발간하며 제로 트러스트 기본 원칙인 7 Tenets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7 Tenets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 및 검증 방안이 부재하여, 제로 트러스트 기술 적용 범위를 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로 트러스트 제품이 제로 트러스트 표준 모델에 부합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NIST 7 Tenets 기반 점검 항목을 제안한다. 점검항목은 총 59개의 문항으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기능 28개와 선택적으로 요구되는 선택 기능 31개로구성된다. 수립한 내용에 근거하여 5개의 기업 제품을 검증한 결과, 필수 기능을 모두 만족하는 제품은 없었으며 적용된 제로 트러스트 원칙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점검 항목을 통한 제품의 표준 모델 부합성 검증이 가능함을 보여주며, 향후 국가·공공기관에서의 제로 트러스트 사용 및 유연한 국외 제품 도입 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NIST가 제시한 7 Tenets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로 트러스트가 적용된 제품의 주요 기능 및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점검 항목을 도출하였다. 점검 항목은 총 59개의 문항으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기능 28개와 선택적으로 요구되는 선택 기능 31개로 구성된다.
  • 본 논문은 제로 트러스트가 적용된 제품의 제로 트러스트 표준 모델 부합성 검증을 위한 점검 항목을 제안하였다. 기존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광범위한 작업 공간으로 자원의 접근 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등장하고 있지만, 제로 트러스트는 비신뢰를 기반으로 공격 표면을 축소시켜 네트워크 및 기업 자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가설 설정

  • [표 2]는 제품별 검증 결과로, 결과표의 카테고리는 기업별 제품명을 의미하며 각 문항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낸다. 본 검증은 수집한 기업의 제품 기능 및 작동 방식이 정확하다는 가정하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ETVOIP, "What is VoIP VPN? Benefits, Top?Providers, and More," Aug. 2021, https://getvoip.com/blog/voip-vpn/. 

  2. Vasu Jakkal, "Zero Trust Adoption Report,"?Microsoft Security, Jul. 2021. 

  3. jumpcloud, "What Role Does Multi-Factor?Authentication Play in a Zero Trust Security?Model?," Oct. 2021, https://jumpcloud.com/blog/mfa-role-zero-trust-security-model. 

  4. Delinea, "What is Zero Trust and Zero Trust?Extended (ZTX)?," https://delinea.com/what-is/zero-trust-and-zero-trust-extended. 

  5. John Kindervag, "No More Chewy Centers: The?Zero Trust Model Of Information Security,"?Forrester, Mar. 2016. 

  6. 강은수,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국회입법조사처, Apr.?2024. 

  7. Akamai, "What is Zero Trust?," https://www.akamai.com/our-thinking/zero-trust/zero-trust-securit?y-model. 

  8. SAMSUNG SDS, "다시 주목 받고 있는 기업 보안의 패러다임, 제로 트러스트," Jun. 2021,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zero_trust.html. 

  9.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Zero Trust Architecture," NIST SP 800-207,?Aug. 2020. 

  10. Genians, "제로트러스트(Zero Trust)의 올바른 이해," https://www.genians.co.kr/blog/zt. 

  11. Ekran, "Zero Trust Architecture: Key Principles,?Components, Pros, and Cons,", Jul. 2024,?https://www.ekransystem.com/en/blog/zero-trust-security-model. 

  12. Songpon Teerakanok, Tetsutaro Uehara, Atsuo?Inomata, "Migrating to Zero Trust Architecture:?Reviews and Challenges," Hindawi, May. 2021. 

  13. White House, "Executive Order on Improving the?Nation's Cybersecurity," May. 2021. 

  14.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Implementing a Zero Trust Architecture," NIST?SP 1800-35, Dec. 2022. 

  15.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Federal Zero Trust Strategy," M-22-09, Jan.?2022. 

  16. 전자신문, "[K-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은 제로 트러스트 도입 안내서"", Mar. 2024,?https://www.etnews.com/20240314000045 

  17. 디지털데일리,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 밑그림 나왔다..." 도입 방법론제시, Apr. 2024,?https://m.ddaily.co.kr/page/view/2024042416540862821 

  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 Jun. 2023. 

  19. 전자신문, "과기정통부, 'K-제로트러스트모델' 발표...보안성 41%↑", Dec. 2023, https://www.etnews.com/20231211000208 

  20.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NIST SP 800-207, Jul.?202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