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예방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자원연계 사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돌봄대상자
Community Resource Linkage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Seniors: Persons Receiving Care from Living Support Workers in the Elderly Customized Care Project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9 no.1, 2024년, pp.66 - 74  

김선정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장현진 (대구광역시 북구보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frailty prevention services by living support workers through a case of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centered on living support workers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elderly people. Methods: This is a research s...

Keyword

표/그림 (4)

참고문헌 (17)

  1. 통계청. 2023 고령자 통계. 2024. 

  2.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서제희, 정연, 송은솔 등.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 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협동보고서 2017-01. 

  3. 보건복지부. 2024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 방문건강관리. 2023. 

  4. 배현지, 김진현.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위한 간호사?인력의 적정 수요 추정.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2015;12(1):23-32.?https://doi.org/10.16952/pns.2015.12.1.23 

  5. 보건복지부. 2024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2024. 

  6. Cesari M, Demougeot L, Boccalon H, Vellas B. Prevalence of Frailty and Mobility Limitation in a Rural Setting in France. Journal of Frailty Aging. 2012;1(4):169-173. 

  7. 선우덕, 송현종, 김동진, 이윤환. 허약노인대상의 보건의료서비스 개발 및 효율적 운영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04-02. 

  8.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Biological Sciences. 2001;56(3):M146-M156.?https://doi.org/10.1093/gerona/56.3.m146 

  9. 김기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정책의 효과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2024. 

  10. 전용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의 의미와 과제. 한국노년학회. 2020;40(4):599-616.?https://doi.org/10.31888/JKGS.2020.40.4.599 

  11. 황경란, 최성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운영에 관한 경기도?현황분석. 경기복지재단. 2021;04 

  12. 김영지, 장숙랑.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취약계층 노인의?허약과 우울의 개선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2016;20(2):85-93.?https://doi.org/10.4235/jkgs.2016.20.2.85 

  13. 이인숙, 고영, 이광옥, 임은실. 전.후기 허약 고위험 노인을?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중심의 다요인적 허약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2;23(2):201-210. 

  14. 박정숙, 오윤정. 건강지도자 활용 건강증진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과 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8;29(3):335-348.?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3.335 

  15. 구미옥, 은영, 김은심, 안황란, 권인수, 오현숙 등. 노인 건강지도자 양성 전략을 적용한 경로당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검증. 대한간호학회지. 2012;42(1):125-135.?https://doi.org/10.4040/jkan.2012.42.1.125 

  16. 권상미, 박정숙. 거주유형별 노인의 허약정도, 건강증진?행위 및 주관적 건강상태 비교. 농촌의학.지역보건. 2010;35(1):1-12. 

  17. 임남훈, 김예성. 12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전.후기 노인의 체구성과 SFT 요인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사이언스.?2019;37(1):229-238.?https://doi.org/10.46394/ISS.37.1.22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