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P/CNF 복합체의 물리적 성질 및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마스터배치와 상용화제의 영향
Effect of Master Batch and Compatibilizer on the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P/CNF Composit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5 no.5, 2024년, pp.418 - 422  

강산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  이유진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  김연철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가 3, 7, 10 phr 함유된 폴리프로필렌(PP)/CNF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CNF는 분말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EA)에 마스터배치(MB) 형태로 투입되었으며, 상용화제로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PP (PP-g-MAH)를 사용하였다. 인장강도와 굴곡강도를 측정한 결과 상용화제가 적용된 PP/CNF 복합체의 기계적특성 개선 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PP와 CNF 사이의 상용성 증가에 의한 것임이 SEM의 형태학 분석 결과 확인되었다. 순수 PP 대비 PP/CNF 복합체의 저 주파수 영역에서의 복소점도는 증가하지만 면찰담화(shear thinning) 현상의 증가로 가공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propylene (PP)/CNF composites containing 3, 7, and 10 phr of cellulose nanofibers (CNF) were manufactured using a twin-screw extruder. CNF was introduced in the form of powder or master batch (MB) into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EEA), and maleic anhydride grafted PP (PP-g-MAH) was used as ...

Keyword

표/그림 (8)

참고문헌 (15)

  1. Y. N. Lee, S. S. Park, and K. R. Ha, Preparation and properties?of eco-friendly polyurethane nanocomposites using cellulose nanocrystals with amino group as fillers, Polymer, 44, 397-407 (2020).? 

  2. R. Arun, R. Shruthy, R. Preetha, and V. Sreejit, Biodegradable?nano composite reinforced with cellulose nano fiber from coconut?industry waste for replacing synthetic plastic food packaging,?Chemosphere, 291, 132786 (2022)? 

  3. T. Chen, H. Wang, J. Wang, Q. Fu, and Y. Tang, Preparation and?characterization of lignin containing cellulose nanofiber from moso?bamboo via acidified choline chloride/ethylene glycol pretreatment?combined with homogenization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Ind.?Crops Prod., 202, 117115 (2023).? 

  4. M. K. Thakur, R. K. Gupta, and V. K. Thakur, Surface modification of cellulose using silane coupling agent, Carbohydr.?Polym., 111, 849-855 (2014).? 

  5. S. Goo, H. Park, S. Yook, S. Y. Park, and H. J. Youn, Preparation?of hydrophobized cellulose nanofibril film with high strength using?AKD, J. Korea TAPPI, 50, 34-41 (2018).? 

  6. J. Lee, J. Choi, and K. Koo, Development of retort packaging material using cellulose nano fiber, Text. Coloration Finish., 33,?40-47 (2021).? 

  7. H. J. Yoon, B. M. Gil, J. H. Lee, J. E. Park, J. Lim, M. J. Jo,?K. Jung, and J. J. Wi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cellulose nanofiber composites, Polym. Korea, 44,?255-263 (2020).? 

  8. K. H. Kim, Types and development trend of lightweight metal materials for automobiles, Trends Metals Mater. Eng., 27, 4-9 (2014).? 

  9. H. D. Rozman, S. H. Shannon-Ong, A. B. Azizah, and G. S. Tay,?Preliminary study of non-woven composite: Effect of needle?punching and kenaf fiber loadings on non-woven thermoplastic?composites prepared from kenaf and polypropylene fiber, J. Polym.?Environ., 21, 1032-1039 (2013).? 

  10. L. Wang, K. Okada, Y. Hikima, M. Ohshima, T. Sekiguchi, and?H, Yano, Effect of cellulose nanofiber (CNF) surface treatment on?cellular 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CNF?nanocomposite foams via core-back foam injection molding,?Polymers, 11, 249-267 (2019).? 

  11. J. M. Park, S. T. Quang, B. S. Hwang, and K. L. DeVries,?Interfacial evaluation of modified Jute and Hemp fibers/polypropylene-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copolymers composites?using 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nondestructive acoustic emission, Compos. Sci. Technol., 66, 2686-2699 (2006).? 

  12. H. S. Kim, B. H. Lee, S. W. Choi, S. M. Kim, and H. J. Kim,?The effect of types of maleic anhydride-grafted polypropylene on?the interfacial adhesion properties of bio-flour-filled polypropylene?composites, Composites A, 38, 1473-1482 (2007).? 

  13. V. Abhijit, T. Johannes, K. Sahlin-Sjovold, R. Mikael, and A.?Boldizar, Melt processing of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composites reinforced with nanocellulose, Polym. Eng. Sci., 60, 956-967 (2020).? 

  14. J. S. Kim and Y. C. Kim, Effect of polypropylene branching and?maleic anhydride graft on CNF dispersity of polypropylene?(PP)/cellulose nanofiber (CNF) composite, Polym. Korea, 44, 861-867 (2020).? 

  15. F. H. Su and H. X. Huang, Influence of polyfunctional monomer?on melt strength and rheology of long-chain branched polypropylene by reactive extrusion, J. Appl. Polym. Sci., 116, 2557-256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