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지력에 관한 암묵적 신념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mplicit Beliefs of Willpower on Mathematics Learning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40 no.4, 2024년, pp.375 - 389  

허난 (Kyongg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mplicit beliefs of willpower on the mathematics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investigation, 392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self-regulation, implicit beliefs of willpower,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math le...

Keyword

표/그림 (4)

참고문헌 (29)

  1. 강옥기, 허난, 조현공, 박경은, 이환철. 수학교육학정론. 서울: 경문사. (2011). 

  2. 김명섭, 황혜영, 장유진. 학업 상황에서의 의지력에 대한 암묵적 신념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34(3), 581-601. (2020). 

  3. 김부미.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2012). 

  4. 김은지, 김지영, 김정섭. 대학생의 학업적 의지전략과 학업 지연 행동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319-338. (2018). 

  5. 김종운, 양민정.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의 학업 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1(2), 247-265. (2013). 

  6. 서은희, 박승호. 의지통제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 한국교육심리연구, 21(2), 423-436. (2007). 

  7. 성지영, 임은미. 완벽주의와 학업 지연 행동의 관계에서 의지통제의 매개효과. 교육연구문제, 18(1), 51-69. (2012). 

  8. 신명희, 박승호, 서은희, 자기조절학습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3(4), 277-292 (2005). 

  9. 위고운, 온라인을 이용한 초등학생 학업적 꾸물거림 개선프록램의 개발과 효과성,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10. 이선영, 봉미미, 김성일. 교실목표구조와 학업 지연 행동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의 매개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2(3), 31-66. (2016). 

  11. 전보라, 김정섭, 대학생용 학업 지연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21(3), 53-83 (2015). 

  12. 최윤정, 초등학생을 위한 학업적 꾸물거림 극복 프로그램, 상담과 지도, 44, 389-403 (2009). 

  13. 하아영, 조한익.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의지력에 관한 암묵적 신념, 학업적 꾸물거림,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7(2), 1-17. (2019). 

  14. 하창순, 김지현, 최희철, 유현실.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 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7(1), 181-200. (2006). 

  15. 허난. 중학생의 수학 학업 상황에서의 학업적 자기조절 및 자기효능감이 학업 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 East Asian Math J ournal, 38(4), 533-547, (2022) 

  16.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 1986, 23-28 (1986). 

  17. Baumeister, R. F., Vohs, K. D., & Tice, D. M.. The strength model of?self-control.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6), 351-355. (2007). 

  18. Baumeister, R. F., & Tierney, J.. Willpower: Rediscovering the greatest?human strength. New York: Penguin Press. (2011). 

  19. Bernecker, K., & Job, V.. Beliefs about willpower are related to therapy?adherenc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patients with type two?diabetes.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37(3), 188-195. (2015). 

  20. Beswick, K.. Teachers' beliefs about school mathematics and?mathematicians' mathema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practice. Educ Stud Math, 79, 127-147. (2011). 

  21. Francis, Z., & Job, V.. Lay theories of willpower. Social and Personality?Psychology Compass, 12(4), 1-13. (2018). 

  22. Hannula, M..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Emotions, expectations and?valu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9, 25-46. (2002). 

  23. Howell, A. J., & Buro, K.. Implicit beliefs, achievement goals, and?procrastination: A mediational analysis. Learning and Individual?Differences, 19(1), 151-154. (2009). 

  24. Hong, Y. Y., Chan, G., Chiu, C. Y., Wong, R. Y., Hansen, I. G., Lee, S.?L., & Fu, H. Y.. How are social identities linked to self-conception and?intergroup orient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implicit theories. Journal?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6), 1147-1160. (2003). 

  25. Inzlicht, M., & Schmeichel, B. J.. Beyond limited resources: Self-control?failure as the product of shifting priorities. In K. D. Vohs, & R. F.?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165-181), New York, NY: Guilford. (2016). 

  26. Job, V., Dweck, C. S., & Walton, G. M.. Ego Depletion-Is It All in Your?Head? Psychological Science, 21(11), 1686-1693. (2010). 

  27. Miller, E. M., Walton, G. M., Dweck, C. S., Job, V., Trzesniewski, K. H., & McClure, S. M.. Theories of willpower affect sustained learning. PloSONE, 7(6), 1-3. (2012). 

  28. Wolters, C. A., Understanding procrastination from selr-regulated learning?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2003). 

  29. Zimmerman, B. J.,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Which are the key?sub-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4), 307-313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