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교통건축 중 조선시대 역사에 대한 연구로서, 우리나라 교통발달과정과 이에 따른 교통건축의 종류 및 특성을 파악하고, 역사건축의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삼국시대에 교통이 단순히 군사.행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주거에 교통시설물이 설치되고, 시전을 통해 교역 을 한 것으로 미루어 일상적인 생활에 교통이 활발하게 이용되었다. 조선시대 교통건축은 역, 참, 진.도가 주 로 교통을 지원하는 행정체계이고 관과 원은 주로 숙박을 위한 공간이라고 한다면, 주점과 주막은 음식을 제 공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고 숙박이 부수적인 역할이라고 하겠다. 이들은 신분차, 기온차 및 남녀구별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었다. 또 역사를 중심으로 계획적인 관설취락인 역촌을 구성하여 교통기능을 수행하였는데, 역 사는 아사인 동헌과 내아(내동헌)를 비롯하여 작청, 형사청, 장적청, 통인청, 사령청, 관노청, 누정, 양마청(마 랑, 마당), 마단 등과 각종 창고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건물의 배치는 누정과 내삼문과 동헌이 일직선상의 축을 형성하면서 사무공간이 전면에 배치되고 동헌과 내아각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주거건축의 특성과 관아건축의 특성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