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心)'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인간의 유한성으로부터 해탈하는 것은 불교의 궁극적 목표였다. 마음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시대와 학파에 따라 달라진다 하더라도 그 목표는 항상 불교철학의 핵심적 주제였다. 특히 부파불교의 아비다르마(Ahbidharma) 철학과 대승불교의 유식(唯識vijñaptimātratā) 철학은 마음의 구조와 작용의 원리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체계화함으로써 마음에서 발생하는 번뇌로부터의 심적 해탈이라는 실천적 목표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원효(元曉, 617~686)는 비록 신라에서만 활동하였으나 그의 저술들은 중국과 일본에 전해져 이 시기 동아시아 불교 사상계에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그는 중국의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 등 구(舊)유식학파의 이론적 전통에 서서 현장에 의해 새로이 인도에서 수입된 호법(護法)계통의 신유식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동시에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중심으로 한 여래장(如來藏) 사상을 종합하여 독자적인 유식의 이론 체계를 형성하였다. 현존하는 원효의 저술 가운데 마음의 철학, 곧 심식론(心識論)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서술은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효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이론 체계에 근거하여 심생멸의 원리를 『릉가경(楞伽經)』의 심식설과 유가유식(瑜伽唯識)학파의 팔식설(八識說)에 근거하여 해석한다. 심생멸은 그 원리가 작용하는 각 단계와 차원에 따라 ①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사상(四相), ② 삼세육추(三細六麁), ③오의(五意) 및 의식(意識), ④ 육염심(六染心)의 네 가지 범주로 전변되는데, 원효는 이 네 범주에 팔식(八識)의 분위를 배대하여 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사상과 삼세육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마음(心)'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인간의 유한성으로부터 해탈하는 것은 불교의 궁극적 목표였다. 마음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시대와 학파에 따라 달라진다 하더라도 그 목표는 항상 불교철학의 핵심적 주제였다. 특히 부파불교의 아비다르마(Ahbidharma) 철학과 대승불교의 유식(唯識vijñaptimātratā) 철학은 마음의 구조와 작용의 원리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체계화함으로써 마음에서 발생하는 번뇌로부터의 심적 해탈이라는 실천적 목표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원효(元曉, 617~686)는 비록 신라에서만 활동하였으나 그의 저술들은 중국과 일본에 전해져 이 시기 동아시아 불교 사상계에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그는 중국의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 등 구(舊)유식학파의 이론적 전통에 서서 현장에 의해 새로이 인도에서 수입된 호법(護法)계통의 신유식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동시에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중심으로 한 여래장(如來藏) 사상을 종합하여 독자적인 유식의 이론 체계를 형성하였다. 현존하는 원효의 저술 가운데 마음의 철학, 곧 심식론(心識論)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서술은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효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이론 체계에 근거하여 심생멸의 원리를 『릉가경(楞伽經)』의 심식설과 유가유식(瑜伽唯識)학파의 팔식설(八識說)에 근거하여 해석한다. 심생멸은 그 원리가 작용하는 각 단계와 차원에 따라 ①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사상(四相), ② 삼세육추(三細六麁), ③오의(五意) 및 의식(意識), ④ 육염심(六染心)의 네 가지 범주로 전변되는데, 원효는 이 네 범주에 팔식(八識)의 분위를 배대하여 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사상과 삼세육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Numerous Researches on the Buddhist perspective of Wonhyo agree that the Mind is the core principle of Wonhyo's Buddihist perspective.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paper identifies the philosophy of Mind-only(vijñaptimātratā) in the broader perspective, that is, "Mind is the fi...
Numerous Researches on the Buddhist perspective of Wonhyo agree that the Mind is the core principle of Wonhyo's Buddihist perspective.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paper identifies the philosophy of Mind-only(vijñaptimātratā) in the broader perspective, that is, "Mind is the first principle of the existence", as the core thought of Wonhy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organize the systematic theories of consciousness, one of the principle sectors of Wonhyo's philosophy of vijñaptimātratā. One can find most systematic texts of consciousness of Wonhyo in 『GiSilRonSo』 and 『GiSilRonByeolGi』. Although 『GeumGang SamMaeGyeongRon』 includes some interpretations of consciousness,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 consistent structure based on it. Beside tā.JangEui』, which discusses the meaning of vijñaptimātratā centering around affliction, Wonhyo's opinion about important issues of vijñaptimātratā philosophy such as ālayavijñāna, permeation, bījadharma, and aspects of perception appears in fragments. Thus, this paper focuses on 『GiSilRonSo』 and 『GiSilRon ByeolGi』, Wonhyo's interpretation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大乘起信論), as well as 『IJangEui』, 『PanBiRyangRon』 and 『Geum GangSamMaeGyeongRon』. The researcher examines how one-mind,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become the principles of 'neither arising nor ceasing'(不生滅) and 'arising and ceasing'(生滅) of all beings. The process of how one-mind develops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and its ontological structure are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Wonhyo's interpretation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analyzed. Besides, the method how various theories about vijñāna from Tathāgatagarbha's and Yogācāra's philosophy can be synthesized is examined based on Wonhyo's arguments. The four aspects of existence(caturākāra 四相) -arising(生), abiding(住), changing(異), and ceasing(滅)- which is transformed according to stages and dimensions of 'arising and ceasing', and phases of mind such as delusion of three fine states(三細) and six rough states(六麤), five consciousness(五意), and six defiled states(六染) are interpreted based on Tathāgatagarbha's and Yogācāra's philosophical system.
Numerous Researches on the Buddhist perspective of Wonhyo agree that the Mind is the core principle of Wonhyo's Buddihist perspective.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paper identifies the philosophy of Mind-only(vijñaptimātratā) in the broader perspective, that is, "Mind is the first principle of the existence", as the core thought of Wonhy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organize the systematic theories of consciousness, one of the principle sectors of Wonhyo's philosophy of vijñaptimātratā. One can find most systematic texts of consciousness of Wonhyo in 『GiSilRonSo』 and 『GiSilRonByeolGi』. Although 『GeumGang SamMaeGyeongRon』 includes some interpretations of consciousness,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 consistent structure based on it. Beside tā.JangEui』, which discusses the meaning of vijñaptimātratā centering around affliction, Wonhyo's opinion about important issues of vijñaptimātratā philosophy such as ālayavijñāna, permeation, bījadharma, and aspects of perception appears in fragments. Thus, this paper focuses on 『GiSilRonSo』 and 『GiSilRon ByeolGi』, Wonhyo's interpretation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大乘起信論), as well as 『IJangEui』, 『PanBiRyangRon』 and 『Geum GangSamMaeGyeongRon』. The researcher examines how one-mind,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become the principles of 'neither arising nor ceasing'(不生滅) and 'arising and ceasing'(生滅) of all beings. The process of how one-mind develops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and its ontological structure are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Wonhyo's interpretation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analyzed. Besides, the method how various theories about vijñāna from Tathāgatagarbha's and Yogācāra's philosophy can be synthesized is examined based on Wonhyo's arguments. The four aspects of existence(caturākāra 四相) -arising(生), abiding(住), changing(異), and ceasing(滅)- which is transformed according to stages and dimensions of 'arising and ceasing', and phases of mind such as delusion of three fine states(三細) and six rough states(六麤), five consciousness(五意), and six defiled states(六染) are interpreted based on Tathāgatagarbha's and Yogācāra's philosophical system.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