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n Exploratory Study 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협동학습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탐색 연구 원문보기

국제이해교육연구 = Journal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v.13 no.1, 2018년, pp.105 - 145  

Kim, Jong-hun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73)

  1. 강명옥(2016). 협동학습을 통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박사학위 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2. 강순원(2010).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평생교육학연구 16(2). 69-91. 

  3. 강순원(2014).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국제이해교육연구 9(2). 1-31. 

  4.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5. 김경은, 이나라(2012).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6(1). 231-256. 

  6. 김원겸(2006). 사회과 협동학습이 민주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교육연구 13(2). 213-247. 

  7. 김윤성(2012). 찬반논쟁 협동학습모형(Pro-Con)을 활용한 사회과 국제이해교육의 수업설계 연구- 평화교육의 핵(核) 이용 찬반논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8. 김종욱, 남정권(2013).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실과교육연구 19(4). 319-337. 10.17055/jpaer.2013.19.4.319 

  9. 김진희(2015).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시민교육연구 47(1). 59-88. 

  10. 김진희, 허영식(2013).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담론과 함의 고찰. 한국교육 40(3). 155-181. 

  11. 김현욱, 김종민(2014). ESD 관점을 통한 초등학교 세계유산교육의 접근 가능성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353-371. 

  12. 나희연, 김효정(2016).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디자인수업개발 방안: 고등학생용 LT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 문화예술교육연구 11(3). 57-79. 10.15815/kjcaes.2016.11.3.57 

  13. 모경환, 임정수(2014). 사회과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동향과 과제. 시민교육연구 46(2). 73-108. 

  14. 모경환, 김선아(2018).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시민교육연구 50(1). 29~51. 

  15. 문호준, 박종률(2009). 직소 협동학습 모형의 체육수업 적용 사례연구. 교원교육 25(2). 414-433. 

  16. 박소영(2014). 문화교육에서 협동학습 모형이 학생의 문화 이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7. 박정혜(2009). 협동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경험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8. 박환보, 조혜승(2016).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54(2). 197-227. 

  19. 변영계, 이인자(1996). 협동학습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Jigsaw Ⅰ 기법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 6. 87-104. 

  20. 배명훈, 채창목, 김영식(2017).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체육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적용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223-245. 

  21. 성열관(2010). 세계시민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 37(2). 109-130. 

  22. 양소영(2016). 초등학교 3·4학년군 기악 합주 수업을 위한 직소(JIGSAW) 협동학습 적용 방안 연구. 미래음악교육연구 1(1). 83-100. 

  23. 옥일남(2014).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시민교육연구 46(3). 105-140. 

  24. 양소영(2016). 초등학교 3·4학년군 기악 합주 수업을 위한 직소(JIGSAW) 협동학습 적용 방안 연구. 미래음악교육연구 1(1). 83-100. 

  25.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7). 세계시민교육 정책 개발을 위한 가이드.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6. 유상은, 손홍찬(2016). Jigsaw 모형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 309-328. 

  27. 이삼열(2003). 국제이해교육의 철학과 역사적 발전.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 서울: 도서출판 한울. 8-29. 

  28. 이성회, 김미숙, 정바울, 박영, 조윤정, 송수희(2015).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이소연, 성경희, 이정우(2017).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시민교육연구 49(3). 79-103. 

  30. 이은정, 이보영(2007).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Co-op Co-op 모형의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3). 247-263. 10.17279/jkagee.2007.15.3.247 

  31. 이정우(2017).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제68집. 57-88. 

  32. 정문성(2006).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개정판). 서울: 교육과학사. 

  33. 정문성(2016). 협동학습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장인실, 김경근, 모경환, 민병곤, 박성혁, 박철희, 성상환, 오은순, 이윤정, 정문성, 차경희, 차윤경, 최일선, 함승환, 허창수, 황매향. 서울: 학지사. 433-459. 

  34. 전성연, 최병연, 이흔정, 고영남, 이영미(2010). 협동학습 모형 탐색. 서울: 학지사. 

  35. 정우탁(2015). 세계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후마니타스포럼 1(2). 9-30. 

  36. 지은림, 선광식(2007).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인 탐색 및 관련 변인 분석. 시민교육연구 39(4). 115-134. 

  37. 한경구, 김종훈, 이규영, 조대훈(2015). SDGs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추진 방안.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38. 윤노아, 최윤정(2015). 한국 사회과 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적 연구 분석: 1993-2015. 사회과교육 54(4). 35-48. 

  39. 허권(2012). 세계유산의 국제이해교육으로의 가치. 국제이해교육연구 7(1). 1-37. 

  40. 차윤경(2008). 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 교육. 다문화교육연구 1(1). 1~23. 

  41. 차윤경,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송륜진,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이삼형, 이선경, 이은연, 주미경, 함승환, 황세영(2014).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42. 최준호(2016).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사례연구: 난민문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6(3). 239-266. 10.21024/pnuedi.26.3.201612.239 

  43. 황인숙, 이자원(2012). JigsawⅠ모형으로 분석한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55. 103-149. 10.17253/swueri.2012.55..004 

  44. Andreotti, V.(2006). Soft versus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A Development Education Revie.. 3. 40-51. 

  45. Cha, Y. K.(2016). GCDE in Korea Challenges and New Possibilities. Paper presentied at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CED, Seoul, KOREA. 

  46. Evans, M., Ineram, L. A., Macdonald, A., & Weber, N.(2009). Mapping the "global dimen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Canada: The complex interplay of theory, practice and context. Citizenship Teaching and Learnin.. 5(2). 16-33. 

  47. Gaudelli, W.(2009). Heu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Discourses towards Curriculum Enhancement,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g. 25(1). 68-84. 

  48. 10.1016/j.ijer.2017.02.004 Goren, H., & Yemini, M.(2017).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defined -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studie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82. 170-183. 10.1016/j.ijer.2017.02.004 

  49. Gunter, M. A., Estes, T. H., & Mintz, S. L.(2010). 수업모형 제5판. 권낙연(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Gunter, M. A., Estes, T. H., & Mintz, S. L.(2007). Instruction : A Models Approach 5th Editio.. Pearson Education〕 

  50. 10.3102/00346543044002213 Johnson, D. W & Johnson, R. T(1974). Instructional Goal Structure: Cooperative, Competitive, or Individualistic.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2). 213-240. 10.3102/00346543044002213 

  51. Johnson, R. T., & Johnson, D. W.(1994). An Overview of Cooperative Learning. In J. Thousand, A. Villa and A. Nevin (Eds),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Learning. Baltimore: Brookes Press. 

  52. 10.1080/00405849909543834 Johnson, D. W., & Johnson, R. T.(1999). Making cooperative learning work. Theory into Practice. 38(2). 67-73. 10.1080/00405849909543834 

  53. Johnson, D. W., Johnson, R. T., & Roseth, C.(2010), Cooperative Learning in middle schools: Interrelationship of relationships and achievement. Middle Grades Research Journal. 5(1). 1-18. 

  54. Kagan, S.(1994). Cooperative Learning. San Clemente: Publications. 

  55. Kilban, C. R,, & Milman, M. B.(2014). Teaching Models : Designing Instruction for 21st Century. Pearson. 

  56. 10.1080/00933104.1998.10505855 Merryfield, M. M.(1998). Pedagogy for global perspectives in education: studies of teachers' thinking and practice.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26(3). 342-379. 10.1080/00933104.1998.10505855 

  57. 10.1177/1028315310375308 Morais, D. B. & Ogden, A. C.(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scale. Journal of Studies in International Education. 15(5). 445-466. 10.1177/1028315310375308 

  58. 10.1080/03050068.2011.637766 Niens, U., & Reilly, J.(2012).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in a divided society? Young people's views and experiences. Comparative Education. 48(1). 103-118. 10.1080/03050068.2011.637766 

  59. Pike, G. & Selby, D.(2000). Civil global education: relevant learning for the twenty-first century. Convergence. 33(1/2). 138-149. 

  60. Oxfam(2015).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UK: Oxfam. 

  61. 10.1007/978-981-10-2222-7_3 Ramirez, F. O., Bromley, P., & Russell, S. G.(2017). The Valorization of Humanity and Diversity. In Y.-K. Cha et al.(Eds). Multicultural Education in Glocal Perspectives, 22-39. Singapore: Springer Nature. 10.1007/978-981-10-2222-7_3 

  62. Shultz, L.(2007). Educating for global citizenship: Conflicting agendas and understandings. The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3). 248-258. 

  63. 10.1007/s10734-015-9959-6 Sklad, M., Friedman, J., Park, E., & Oomen, B.(2016). ‘Going Glocal’: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a Dutch liberal arts and sciences college. High Educ. 72. 323-340. 10.1007/s10734-015-9959-6 

  64. Slavin E. R.(1987). Cooperative learning & cooperative school. Educational leadership. 45(3). 7-13. 

  65. Slavin E. R.(1991). Synthesis of research of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48(5). 71-82. 

  66. Torres, C.A.(2015).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Universities. The Age of Global Interdependence and Cosmopolitanism.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50(3). 262-279. 10.1111/ejed.12129 

  67. UNESCO(2002). World Heritage in Young Hands Kit. Paris: UNESCO 

  68. UNESCO(2014a). 글로벌시민교육: 새로운 교육의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옮김).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UNESCO(2013).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 Emerging Perspective..Paris: UNESCO.〕 

  69. UNESCO(2014b). 글로벌시민교육: 21세기 새로운 인재기르기.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옮김).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UNESCO(2014).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Paris: UNESCO.〕 

  70. UNESCO(2015). 세계시민교육: 학습주제 및 학습목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옮김).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UNESCO(201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 Paris: UNESCO.〕 

  71. UNESCO(2018). 다시 생각하는 교육.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옮김). 서울: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UNESCO (2015). Rethinking Education..Paris: UNESCO.〕 

  72. 10.1080/14767724.2011.605329 Veugelers, W.(2011). The moral and the political in Global Citizenship: Appreciating differences in education. Globalisation, Societies and Education. 9. 473-485. 10.1080/14767724.2011.605329 

  73. Wintersteiner, W., Grobbauer, H., Diendorfer, G., & Reitmair, S. (201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for Globalizing Societies. Klagenfurt, Salzburg, Vienn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