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논문] Beyond conventional nonlinear fracture mechanics in graphene nanoribbons

Nanoscale, v.12 no.35, 2020년, pp.18363 - 18370  

Shimada, Takahiro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Science) ,  Huang, Kai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Science) ,  Van Lich, L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Science) ,  Ozaki, Naoki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Science) ,  Jang, Bongkyun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Science) ,  Kitamura, Takayuki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Scienc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a finite and single-atom-thick two-dimensional structure, graphene nanostructures such as nanoribbons possess outstanding physical properties and unique size-dependent characteristics due to nanoscale defects, especially for mechanical properties. Graphene nanostructures characteristically ...

참고문헌 (40)

  1. Science Novoselov 306 666 2004 10.1126/science.1102896 

  2. Nature Zhang 438 201 2005 10.1038/nature04235 

  3. Nano Lett. Balandin 8 902 2008 10.1021/nl0731872 

  4. Science Nair 320 1308 2008 10.1126/science.1156965 

  5. Science Lee 321 385 2008 10.1126/science.1157996 

  6. Phys. Rev. Lett. Cadelano 102 235502 2009 10.1103/PhysRevLett.102.235502 

  7. Adv. Mater. Jang 28 4184 2016 10.1002/adma.201504245 

  8. Nat. Commun. Jin 4 1663 2013 10.1038/ncomms2690 

  9. Science Rodrigo 349 165 2015 10.1126/science.aab2051 

  10. Science Bunch 315 490 2007 10.1126/science.1136836 

  11. Nature Kosynkin 458 872 2009 10.1038/nature07872 

  12. Nanoscale Chien 3 4307 2011 10.1039/c1nr10664c 

  13. Science Liu 353 364 2016 10.1126/science.aaf4362 

  14. J. Energy Chem. Xu 27 146 2018 10.1016/j.jechem.2017.12.006 

  15. Nature Cai 466 470 2010 10.1038/nature09211 

  16. Phys. Rev. Lett. Son 97 216803 2006 10.1103/PhysRevLett.97.216803 

  17. Phys. Rev. Lett. Han 98 206805 2007 10.1103/PhysRevLett.98.206805 

  18. Nano Lett. Yin 15 1918 2015 10.1021/nl5047686 

  19. Nat. Commun. Zhang 5 3782 2014 10.1038/ncomms4782 

  20. Extreme Mech. Lett. Jang 14 10 2017 10.1016/j.eml.2016.11.001 

  21. Nat. Commun. Shekhawat 7 10546 2016 10.1038/ncomms10546 

  22. Comput. Mater. Sci. Tabarraei 121 151 2016 10.1016/j.commatsci.2016.04.037 

  23. Extreme Mech. Lett. Datta 5 10 2015 10.1016/j.eml.2015.08.005 

  24. Philos. Trans. R. Soc. London, Ser. A Griffith 221 163 1920 

  25. Rep. Prog. Phys. Orowan 12 185 1949 10.1088/0034-4885/12/1/309 

  26. Welding J. Res. Suppl. Irwin 33 193 1954 

  27. Sci. Rep. Shimada 5 8596 2015 10.1038/srep08596 

  28. Int. J. Solids Struct. Huang 128 67 2017 10.1016/j.ijsolstr.2017.08.018 

  29. Adv. Theory Simul. Gallo 2 1900146 2019 10.1002/adts.201900146 

  30. Theor. Appl. Fract. Mech. Gallo 103 102300 2019 10.1016/j.tafmec.2019.102300 

  31. ACS Nano Sumigawa 11 6271 2017 10.1021/acsnano.7b02493 

  32. J. Appl. Mech. Rice 35 379 1968 10.1115/1.3601206 

  33. J. Mech. Phys. Solids Rice 16 1 1968 10.1016/0022-5096(68)90013-6 

  34. J. Mech. Phys. Solids Hutchinson 16 13 1968 10.1016/0022-5096(68)90014-8 

  35. Phys. Rev. Hohenberg 136 B864 1964 10.1103/PhysRev.136.B864 

  36. Phys. Rev. B: Condens. Matter Mater. Phys. Kresse 47 558 1993 10.1103/PhysRevB.47.558 

  37. Phys. Rev. B: Condens. Matter Mater. Phys. Blöchl 50 17953 1994 10.1103/PhysRevB.50.17953 

  38. J. Chem. Phys. Stuart 112 6472 2000 10.1063/1.481208 

  39. J. Comput. Phys. Plimpton 117 1 1995 10.1006/jcph.1995.1039 

  40. NACA, Tech. Note Ramberg 902 1943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