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nalysis of Income Effect of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in Seoul
서울 공공임대주택 입주에 따른 소득효과 분석* 원문보기

부동산 분석 =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v.8 no.2, 2022년, pp.39 - 55  

Kim, Yoonjoung ,  Lee, Hoon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21)

  1. 김혜승, 2008, 「최저주거기준과 최저주거비 부담을 고려한 주거복지정책 방향」, 국토정책 Brief 166, 안양: 국토연구원. 

  2. 권대철·최막중, 2012,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소비효율성, 건설, 매입, 전세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20(2):103-124. 

  3. 김윤중·이훈, 2020, 「서울 공공임대주택 입주민 편익 및 소비특성 연구」, 연구보고서 2020-08, 서울: SH도시연구원. 

  4. 남원석, 2007, 「주거복지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 『도시와 빈곤』, 84:93-108. 

  5. 박은철·김수경·진화연·김윤중·서종균·김지은, 2019, 「공공임대주택 유형 통합을 위한 배분체계와 임대료체계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2019-CR-04, 서울: 서울싱크탱크협의체. 

  6. 송건섭, 2007, 「지역수준별 주민복지와 삶의 질 영향 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11(3):35-52. 10.29175/klrea.3.2.200812.35 

  7. 오동훈, 2000, 「우리나라 대도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편익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9(3):237-257. 

  8. 오종현, 2020,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편익 추정과 시사점」, 『재정포럼』, 286:34-63. 

  9. 10.17208/jkpa.2019.04.54.2.67 유동형·진창하, 2019, 「장기전세주택(SHift) 거주자 소비효율성 분석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54(2): 67-75. 10.17208/jkpa.2019.04.54.2.67 

  10. 유승동·김주영, 2017, 「공공임대 주택의 편익: 임대료를 중심으로」, 『입법과 정책』, 9(2):205-223. 

  11. 이선우, 2010,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주거 복지수준 비교: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부담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2):1-21. 

  12. 이호, 2005,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등 주거빈곤층 주거권 보장 개선방안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용역보고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13. 10.17000/kspr.25.3.201809.75 임세희, 2018,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성과 차이」, 『한국사회정책』, 25(3):75-101. 10.17000/kspr.25.3.201809.75 

  14. 정의철, 2006, 「국민임대주택 입주자 편익 추정 및 임대료 조정의 편익배분 효과」, 『주택연구』, 14(3): 5-27. 

  15. 천현숙·김혜승·강미나, 2013, 「장기공공임대주택 단지 삶의 질 구성요소와 실태 연구」, 국토연2013-15, 안양: 국토연구원. 

  16. 최은희·이종권·김수진, 2011, 「국민임대주택 입주에 따른 주거개선효과: 주거비 부담 수준 비교를 중심으로」, 『주택연구』, 19(3):123-147. 

  17. 10.34225/jidc.2011.3.132 하성규, 2011, 『주택정책론』, 서울: 박영사. 10.34225/jidc.2011.3.132 

  18. 10.1111/j.1759-3441.2009.00001.x Abelson, P., 2009, “Affordable housing: Concepts and policies,” Economic Papers: A Journal of Applied Economics and Policy, 28(1):27-38. 10.1111/j.1759-3441.2009.00001.x 

  19. 10.13060/00380288.2000.36.12.07 Kostelecký, T., 2000, “Housing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inequalities in the post-communist Czech Republic,” Czech Sociological Review, 8(2):177-193. 10.13060/00380288.2000.36.12.07 

  20. 10.1080/10511482.1998.9521318 Ong, P., 1998, “Subsidized housing and work among welfare recipients,” Housing Policy Debate, 9(4):775-794. 10.1080/10511482.1998.9521318 

  21. UN Habitat, 2002, “The Global Campaign on Urban Governance”, Accessed March 15, 2022, http://unhabitat.org/books/global-campaign-on-urban-governance-th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