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농도 포도당조건에서 활성산소족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High Glucose is Reactive Oxygen Dependent

Korean diabetes journal : kdj, v.32 no.3 = no.107, 2008년, pp.185 - 195  

안용성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권지혜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강양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인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용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손석만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산화스트레스는 당뇨병환자의 혈관 합병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대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산화스트레스가 고혈당 유발성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Sprague-Dawley쥐의 대동맥평활근세포를 5.5 mM D-glucose (정상 농도 포도당). 30 mM D-glucose (고농도 포도당), 5.5 mM D-glucose + 24.5 mM mannitol (삼투압 대조군) 을 포함하는 배지에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superoxide 음이온 생성, PKC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농도 포도당 조건에서 배양된 군에서 정상 포도당 조건보다 혈관평활근세포 이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DPI (10 μmol/L)와 SOD (500 U/mL)로 처치하였을 때 고혈당 유발성 혈관평활근세포 이동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고농도 포도당 조건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superoxide 음이온 생성은 DPISOD 처치 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고농도 포도당은 PKC-δ 활성도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KC-δ siRNA 핵내 주입 또는 선택적 PKC-δ 억제제인 rottlerin으로 처치된 혈관평활근세포는 고농도 포도당 조건에서의 NBT 염색과 NAD(P)H oxidase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PKC-δ 억제는 고농도 포도당 조건에서 증가되었던 혈관평활근세포 이동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결론: 고농도 포도당에 의해 증가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 활성산소족이 중요하게 관여되어 있으며 고농도 포도당에 의해 유발된 NAD(P)H oxidase의 활성화가 PKC-δ 의존성 경로에 의해 매개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Oxidative stress contributes to vascular diseases in patients with diabetes. As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s i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potential role of hyperglycemia-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o determi...

주제어

참고문헌 (36)

  1. Diabetes Garcia 23 105 1974 10.2337/diab.23.2.105 

  2. N. Engl. J. Med Ross 314 488 1986 10.1056/NEJM198602203140806 

  3. Biochem Biophys Res Commun Natarajan 87 552 1992 10.1016/S0006-291X(05)81529-3 

  4. Virchows Arch B Cell Pathol Incl Mol Pathol Hayashi 60 245 1991 10.1007/BF02899553 

  5. Circ Res Yasunari 81 953 1997 10.1161/01.RES.81.6.953 

  6. Circulation Griendling 108 2034 2003 10.1161/01.CIR.0000093661.90582.c4 

  7. Circ Res Hink 88 E14 2001 10.1161/01.RES.88.2.e14 

  8. Endocr Rev Evans 23 599 2002 10.1210/er.2001-0039 

  9. Exp Biol Med (Maywood) Ardanaz 231 237 2006 10.1177/153537020623100302 

  10. Free Radic Biol Med Chisolm 28 1815 2000 10.1016/S0891-5849(00)00344-0 

  11. Circulation Yasunari 99 1370 1999 10.1161/01.CIR.99.10.1370 

  12. Diabetologia Park 48 1022 2005 10.1007/s00125-005-1712-8 

  13. Life Sci Lee 72 2719 2003 10.1016/S0024-3205(03)00186-3 

  14. J Clin Invest Schwartz 99 2814 1997 10.1172/JCI119472 

  15. J Clin Invest Jawien 89 507 1992 10.1172/JCI115613 

  16. Arterioscler Thromb Jackson 13 1218 1993 10.1161/01.ATV.13.8.1218 

  17. Am J Pathol Bell 137 7 1990 

  18. J Clin Invest Bornfeldt 93 1266 1994 10.1172/JCI117081 

  19. J Vasc Surg Nelson 24 25 1996 10.1016/S0741-5214(96)70141-6 

  20. Circ Res Bell 65 1057 1989 10.1161/01.RES.65.4.1057 

  21. Circ Res Gerthoffer 100 607 2007 10.1161/01.RES.0000258492.96097.47 

  22. Diabetes Inoguchi 49 1939 2000 10.2337/diabetes.49.11.1939 

  23. Circ Res Griendling 86 494 2000 10.1161/01.RES.86.5.494 

  24. Circulation Creager 108 1527 2003 10.1161/01.CIR.0000091257.27563.32 

  25. Br J Pharmacol Nishio 121 665 1997 10.1038/sj.bjp.0701171 

  26. Biochem Biophys Res Commun Wang 285 669 2001 10.1006/bbrc.2001.5232 

  27. J Mol Cell Cardiol Wang 36 49 2004 10.1016/j.yjmcc.2003.09.014 

  28. Mol Cell Biol Taniyama 23 8019 2003 10.1128/MCB.23.22.8019-8029.2003 

  29.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Ushio-Fukai 21 489 2001 10.1161/01.ATV.21.4.489 

  30. Hypertension Eguchi 33 201 1999 10.1161/01.HYP.33.1.201 

  31. J Biol Chem Leduc 270 4401 1995 10.1074/jbc.270.9.4401 

  32. FEBS Lett Okuda 368 343 1995 10.1016/0014-5793(95)00693-4 

  33. Physiology (Bethesda) Lyle 21 269 2006 10.1152/physiol.00004.2006 

  34. Diabetes King 45 Suppl 3 S105 1996 10.2337/diab.45.3.S105 

  35. Diabetes Inoguchi 49 1939 2000 10.2337/diabetes.49.11.1939 

  36. FASEB J Li 17 2106 2003 10.1096/fj.03-0150fje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