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난소과자극증후군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혈전성향증의 임상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이나 체외수정시술을 위해 과배란유도를 시행한 후 발생한 난소과자극증후군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25명의 불임 여성을 대상으로 입원 당시 혈액을 채취하여 항트롬빈 III, C단백, S단백 등 세 가지 혈전성향 인자를 검사하였다. 환자들을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 (n=18) 과 경증 난소과자극증후군 (n=7) 으로 나누어 세 가지 혈전성향 인자를 포함한 혈중 지표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항트롬빈 III는 대상 환자 중 40%에서 정상보다 낮은 소견을 보였고, C단백은 12%, S단백은 72%에서 비정상치를 보였다. 항트롬빈 III가 정상인 군 (n=15)과 감소한 군 (n=10) 사이에 혈중 지표들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항트롬빈 III가 낮은 군에서 정상인 군에 비해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많았다 (100% vs 55.6%, P=0.013). 또한 세 가지 혈전성향 인자 중 적어도 한 가지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자들에서 세 가지 인자가 모두 정상인 환자들에 비해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많았다 (94.4% vs 42.9%, P=0.012). 결론: 혈전성향 인자, 특히 항트롬빈 III는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중증도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난소과자극증후군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혈전성향증의 임상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이나 체외수정시술을 위해 과배란유도를 시행한 후 발생한 난소과자극증후군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25명의 불임 여성을 대상으로 입원 당시 혈액을 채취하여 항트롬빈 III, C단백, S단백 등 세 가지 혈전성향 인자를 검사하였다. 환자들을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 (n=18) 과 경증 난소과자극증후군 (n=7) 으로 나누어 세 가지 혈전성향 인자를 포함한 혈중 지표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항트롬빈 III는 대상 환자 중 40%에서 정상보다 낮은 소견을 보였고, C단백은 12%, S단백은 72%에서 비정상치를 보였다. 항트롬빈 III가 정상인 군 (n=15)과 감소한 군 (n=10) 사이에 혈중 지표들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항트롬빈 III가 낮은 군에서 정상인 군에 비해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많았다 (100% vs 55.6%, P=0.013). 또한 세 가지 혈전성향 인자 중 적어도 한 가지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자들에서 세 가지 인자가 모두 정상인 환자들에 비해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많았다 (94.4% vs 42.9%, P=0.012). 결론: 혈전성향 인자, 특히 항트롬빈 III는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중증도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rombophilia in patients admitted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Methods: Twenty-five infertile women who were admitted into university hospital due to OHSS after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 or in vitr...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rombophilia in patients admitted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Methods: Twenty-five infertile women who were admitted into university hospital due to OHSS after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 or in vitro fertilization. Blood samples were drawn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three thrombophilic factors were assayed; antithrombin III, protein C and protein S. Subjects were divided into severe (n=18) and mild-to-moderate (n=7) OHSS, and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three thrombophilic factors were compared. Results: Antithrombin III level was abnormal in 40% of subjects, protein C in 12%, and protein S in 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boratory parameters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n=15) and abnormal antithrombin III levels (n=10). However, the patients with abnormal antithrombin III levels had significantly more severe OHSS than those with normal value (100% vs 55.6%, P=0.013). The patients with at least one abnormal thrombophilic factor had significantly more severe OHSS than those with all normal value (94.4% vs 42.9%, P=0.012). Conclusions: Thrombophilic factors, particularly antithrombin III, may be associated with disease severity in patients with OHSS.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rombophilia in patients admitted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Methods: Twenty-five infertile women who were admitted into university hospital due to OHSS after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 or in vitro fertilization. Blood samples were drawn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three thrombophilic factors were assayed; antithrombin III, protein C and protein S. Subjects were divided into severe (n=18) and mild-to-moderate (n=7) OHSS, and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three thrombophilic factors were compared. Results: Antithrombin III level was abnormal in 40% of subjects, protein C in 12%, and protein S in 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boratory parameters between the patients with normal (n=15) and abnormal antithrombin III levels (n=10). However, the patients with abnormal antithrombin III levels had significantly more severe OHSS than those with normal value (100% vs 55.6%, P=0.013). The patients with at least one abnormal thrombophilic factor had significantly more severe OHSS than those with all normal value (94.4% vs 42.9%, P=0.012). Conclusions: Thrombophilic factors, particularly antithrombin III, may be associated with disease severity in patients with OH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