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헐외사시의 술 후 재발 및 재수술의 요인 분석
Clinical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and Reoperat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7 = no.331, 2008년, pp.1114 - 1119  

노준호 (가천의과학대학교 안과학교실) ,  백혜정 (가천의과학대학교 안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간헐외사시의 술 후 재발에 관계하는 인자와, 그 중 특히 재수술에 이르게 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로 양안 외직근후전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8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1년째 경과관찰시 일차 안위에서의 사시각이 10PD 이내인 경우를 성공이라 정의하고, 술 후 3개월까지 10PD 이내였으나 술 후 1년째 10PD 이상의 외편위를 보일 때를 재발군, 10PD 이상의 내편위를 보일 때를 과교정군으로 정의하여, 재발군을 술 후 1년에 성공군과 비교하여 재발에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 때 특히 재발군 중 과도한 외편위로 재수술까지 시행받은 군의 양상을 관찰하여 재발 후 재수술에 이르게 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결과: 술 후 1일 사시각이 10~20PD 이내로 과교정 되었을 때 술 후 재발률이 유의하게 낮았고(p<.05), 이때 수술연령, 술 전 사시각, 입체시 등은 재발과 관계가 없었다. 재발군 중 재수술을 시행했던 군은 단순히 재발한 채 추가 수술이 필요하지 않았던 군에 비해 술 전 입체시가 400초 이상인 경우가 많았고(p<.05), 술 후 1일째 사시각은 재수술 여부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재발은 술 후 1일째의 사시각이 관여하였지만, 재발군 중 재수술에 이르렀던 경우는 술 후 1일째의 사시각과 무관하게 술 전 입체시가 관여하였다. 따라서 간헐외사시 수술 후, 특히 재수술여부의 예측에 있어서는 수술을 통한 운동기능의 조정보다 술 전 감각기능의 좋고 나쁨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and reoperat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85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e bilateral lateral recti recessions for intermittent exotropia with at least 1 year of postoperative follow...

주제어

참고문헌 (44)

  1.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Friedmann 17 315 1977 10.3928/0191-3913-19800901-11 

  2.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Friedmann 17 261 1980 10.3928/0191-3913-19800701-16 

  3. Ophthalmology Preslan 103 105 1996 10.1016/S0161-6420(96)30753-7 

  4. J Korean Ophthalmol Soc Nam 31 1089 1990 

  5. J Korean Ophthalmol Soc Yu 32 1092 1991 

  6.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36 1561 1995 

  7. Am J Ophthalmol Pratt-Johnson 84 689 1977 10.1016/0002-9394(77)90385-3 

  8. Arch Ophthalmol Hardesty 96 268 1978 10.1001/archopht.1978.03910050136006 

  9. Ophthalmology Richard 90 1172 1983 10.1016/S0161-6420(83)34410-9 

  10. Arch Ophthalmol Kushner 16 324 1998 10.1001/archopht.116.3.324 

  11. Ophthalmic Surg Lasers Ing 30 110 1999 10.3928/1542-8877-19990201-07 

  12. J Korean Ophthalmol Soc Chang 37 729 1983 

  13. J Korean Ophthalmol Soc Kim 35 1321 1994 

  14. J Korean Ophthalmol Soc Ko 37 179 1996 

  15. Arch Ophthalmol Scott 96 268 1978 10.1001/archopht.1978.03910050136006 

  16. J Korean Ophthalmol Soc Kim 45 1330 2004 

  17. J Korean Ophthalmol Soc Lee 42 624 2001 

  18. J Korean Ophthalmol Soc Hong 47 154 2006 

  19. J Korean Ophthalmol Soc Suh 41 758 2000 

  20. J Korean Ophthalmol Soc Roh 39 578 1998 

  21. Am J Ophthalmol Burian 59 603 1965 10.1016/0002-9394(65)93991-7 

  22. Arch Ophthalmol Baker 97 93 1979 10.1001/archopht.1979.01020010033007 

  23.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therapy and management of strabismus von Noorden 2002 6 

  24. Arch Ophthalmol Jampolsky 54 683 1955 10.1001/archopht.1955.00930020689010 

  25. Symposium on Strabismus Burian 15 1971 

  26. Arch Ophthalmol Hiles 80 436 1968 10.1001/archopht.1968.00980050438006 

  27. J AAPOS Romanchuk 10 225 2006 10.1016/j.jaapos.2006.02.006 

  28. J AAPOS Ruttum 1 88 1997 10.1016/S1091-8531(97)90004-5 

  29. Invest Ophthalmol Vis Sci Scott 14 428 1975 

  30. Eye Keenan 8 632 1994 10.1038/eye.1994.158 

  31.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Stoller 31 89 1994 10.3928/0191-3913-19940301-06 

  32. J AAPOS Gezer 8 56 2004 10.1016/j.jaapos.2003.08.006 

  33. Arch Ophthalmol Rabb 82 203 1969 10.1001/archopht.1969.00990020205010 

  34. Symposium on Strabismus Knapp 233 1971 

  35. J Korean Ophthalmol Soc Hur 31 114 1990 

  36. J Korean Ophthalmol Soc Choi 39 1255 1998 

  37. J Korean Ophthalmol Soc Lee 43 2220 2002 

  38.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Tarsman 1 1991 

  39. International strabismus symposium Cooper 311 1966 

  40. Strabismus Haik 140 1962 

  41. Ophthalmology Schlossman 90 1166 1983 10.1016/S0161-6420(83)34411-0 

  42. J AAPOS Birch 8 146 2004 10.1016/j.jaapos.2003.10.003 

  43. J Korean Ophthalmol Soc Yeo 40 3174 1999 

  44. Can J Ophthalmol Beneish 29 119 19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