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눈꺼풀 피지샘암의 임상 양상 및 치료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Eyelid Sebaceous Gland Carcinoma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2 = no.326, 2008년, pp.183 - 189  

이종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김남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 ,  정호경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안과) ,  곽상인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서울인공안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눈꺼풀 피지샘암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81년 4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눈꺼풀 피지샘암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받은 2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눈꺼풀 피지샘암 28명 중 진단시 주변 침범이나 전이가 있었던 경우는 9명(32.1%)였다. 27명(96.4%)에서 종양을 수술로 절제하였고, 주변 조직 침범이나 전이가 있을 경우 결막 냉동치료, 위턱뼈, 귀밑샘, 목 종양 절제 혹은 방사선치료 등을 추가하였다. 종양이 눈꺼풀에 국한된 눈꺼풀 국한군 19명 중 2명(10.5%)에서 수술 후 평균 30개월이 지나 재발이 있었다. 눈꺼풀 주변 조직을 침범한 주변 침범군 2명 중 1명에서 치료 12개월 후 재발하였다. 원격 전이가 있었던 원격 전이군 7명 중 3명(42.9%)에서 종양의 제거에 실패하였고, 나머지 4명 중 3명(75.0%)에서 수술 후 평균 45개월이 지나 재발이 있었다. 결론: 주변 침범과 전이가 동반된 눈꺼풀 피지샘암은 치료 실패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진행되기 전에 빨리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양이 국소적으로 완전히 제거되었어도 재발이 가능하므로 종양의 범위 파악을 철저히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results in eyelid sebaceous gland carcinoma.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n 28 adult patients that were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eyelid sebaceous gland carcinomas from April 1981 to March 2005 in Seoul Nati...

주제어

참고문헌 (20)

  1. J Korean Ophthalmol Soc Lee 38 1892 1997 

  2. Ophthalmologica Allali 219 57 2005 10.1159/000083263 

  3. Ophthalmology Cook 106 746 1999 10.1016/S0161-6420(99)90161-6 

  4. Ophthalmic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Kim 2004 1 

  5. Br J Ophthalmol Lee 83 595 1999 10.1136/bjo.83.5.595 

  6. Eye Wang 17 216 2003 10.1038/sj.eye.6700231 

  7. J Korean Ophthalmol Soc Lee 38 1700 1997 

  8. Surv Ophthlmol Shields 50 103 2005 10.1016/j.survophthal.2004.12.008 

  9. Ophthalmology Shields 111 2151 2004 10.1016/j.ophtha.2004.07.031 

  10. Ophthalmology Cook 108 2088 2001 10.1016/S0161-6420(01)00796-5 

  11. J Korean Ophthalmic Soc Park 38 1315 1997 

  12. Am J Ophthalmol Folberg 103 817 1987 10.1016/S0002-9394(14)74400-9 

  13. Am J Ophthalmol Putterman 102 87 1986 10.1016/0002-9394(86)90214-X 

  14. Ophthalmology Lisman 96 1021 1989 10.1016/S0161-6420(89)32798-9 

  15. Curr Opin Ophthalmol Esmaeli 13 317 2002 10.1097/00055735-200210000-00005 

  16.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45 893 2004 

  17. Br J Ophthalmol Lederman 60 794 1976 10.1136/bjo.60.12.794 

  18. Am J Ophthalmol Nunrey 96 10 1983 10.1016/0002-9394(83)90449-X 

  19. Cancer Guthrie 55 1629 1985 10.1002/1097-0142(19850415)55:8<1629::AID-CNCR2820550802>3.0.CO;2-I 

  20. J Dermatol Surg Oncol Lippman 14 862 1988 10.1111/j.1524-4725.1988.tb03590.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