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식 수술 후 악화되는 아벨리노각막이상증의 발견된 숫자, 원인 고찰 및 치료법 제시
The Number of Cases, Cause and Treatment of Avellino Corneal Dystrophy Exacerbated After LASIK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9 = no.333, 2008년, pp.1415 - 1424  

이정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시기능 개발연구소) ,  하병진 (실로암 안과 병원) ,  김상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교 안과학교실) ,  김태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시기능 개발연구소) ,  김응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시기능 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라식을 시행 받은 아벨리노각막이상증(ACD)의 예를 수집, 조사, 분석하여 라식 후 ACD의 악화 기전을 추론하고, 진행을 조사하며, 치료를 시행한 경우 각 방법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악화 방지 및 치료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회원이 속한 병원에서 LASIK 수술을 받은 ACD 환자 28명(56안)을 대상으로 하여 술 전, 후 최대 교정시력, 대비감도, 각막 혼탁 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치료효과 판정을 위해 기계적 각막혼탁제거술 및 각막절편 제거술을 시행한 환자와 심층층판각막이식술(DLKP)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후의 각막혼탁의 호전 여부, 시력, 대비감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레이저기기, 절삭기, 절편의 크기와 두께에 관계없이 라식을 받은 모든 경우에서 술 후 각막혼탁이 악화되어 시력 및 대비감도가 저하되었다. 라식 후 악화된 ACD의 치료로 시도된 DLKP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라식은 ACD에서 각막혼탁을 악화시켜 시력 및 대비감도를 저하시키므로 수술의 절대금기이다. DLKP는 라식 후 악화된 ACD의 치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scribe the number of cases and cause of Avellino corneal dystrophy (ACD) exacerbated after LASIK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to study the possible mechanism of exacerbation, and to suggest possible preventive measures and the most suitable treatment modality. Methods: Twenty-eight ...

주제어

참고문헌 (27)

  1. Ophthalmology Holland 99 1564 1992 10.1016/S0161-6420(92)31766-X 

  2. Br J Ophthalmol Kennedy 80 489 1996 10.1136/bjo.80.5.489 

  3. Can J Ophthalmol Dolmetsch 31 29 1996 

  4. Cornea Kocak-Atlintas 20 64 2001 10.1097/00003226-200101000-00013 

  5. Am J Ophthalmol Klintworth 128 747 1999 10.1016/S0002-9394(99)00358-X 

  6. Cornea Konishi 16 635 1997 10.1097/00003226-199711000-00006 

  7. J Refract Corneal Surg Bas 7 223 1991 10.3928/1081-597X-19910501-07 

  8. J Refract Corneal Surg Pallikaris 10 498 1994 10.3928/1081-597X-19940901-07 

  9. J Refract Surg Fiander 11 S234 1995 10.3928/1081-597X-19950502-07 

  10. Cornea Wan 21 223 2002 10.1097/00003226-200203000-00021 

  11. Ophthalmology Jun 111 463 2004 10.1016/j.ophtha.2003.06.026 

  12. J Korean Ophthalmol Soc Chung 46 938 2005 

  13. J Cell Biochem Song 77 186 2000 10.1002/(SICI)1097-4644(20000501)77:2<186::AID-JCB3>3.0.CO;2-M 

  14. J Cell Biochem Brown 59 57 1995 10.1002/jcb.240590108 

  15. Curr Eye Res Kay 17 286 1998 10.1076/ceyr.17.3.286.5212 

  16. Invest Ophthalmol Vis Sci Chen 41 4108 2000 

  17. Ophthalmology Jun 111 463 2004 10.1016/j.ophtha.2003.06.026 

  18. Cornea Rho 25 306 2006 10.1097/01.ico.0000235942.10279.c4 

  19. Cornea Moon 26 1095 2007 10.1097/ICO.0b013e3181484013 

  20. J Cell Physiol Escribano 160 511 1994 10.1002/jcp.1041600314 

  21. Ophthalmologica Akiya 213 58 1999 10.1159/000027395 

  22. Invest Ophthalmol Vis Sci Korvatska 40 2213 1999 

  23. Cornea Kim 25 220 2006 10.1097/01.ico.0000164830.79970.71 

  24. Nippon Ganka Gakkai Zasshi Kanai 81 145 1977 

  25. Ophthalmologica Wittebol-Post 195 169 1987 10.1159/000309808 

  26. Pathol Biol Menasche 40 871 1992 

  27. Am J Ophthalmol Shimazaki 134 159 2002 10.1016/S0002-9394(02)0152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