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반부종을 동반한 비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Anthocyanoside 복용 후 임상변화
Clinical Evaluation of Patients with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Following Medication of Anthocyanoside: Multicenter Study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10 = no.334, 2008년, pp.1629 - 1633  

김응석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유승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권순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권오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김시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김태완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안과) ,  안재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엄부섭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유영주 (건양대학교 김안과병원 안과학교실) ,  이지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정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곽형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황반부종을 동반한 비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Anthocyanoside 제제를 복용하고 이에 따르는 임상양상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5개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한 당뇨망막병증환자 88명 175안을 대상으로 타겐-에프®정(Vaccinium myrtillus extract, 국제약품)을 1회 1정, 1일 3회 용량으로 복용하도록 하고 1년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첫 방문 후 2개월 간격으로 교정시력과 대비감도검사를 시행하였고 첫 방문과 6개월, 12개월에는 안저검사, 형광안저혈관조영,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각각 미세혈관류, 경성삼출물, 누출점, 황반두께를 검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중 2개월 간격으로 측정한 교정시력은 투여 전과 12개월 후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비감도검사는 12개월 동안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미세혈관류, 경성삼출물, 누출점, 황반두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황반부종을 동반한 비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타겐-에프®정 복용 1년 동안 대비감도가 호전되어 시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미세혈관류, 경성삼출물, 누출점, 황반두께는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prospectively investigate the change of clinical manifestations after 1 year of administration of anthocyanoside (Tagen-F®) to patients with NPDR-associated macular edema. Methods: One hundred seventy-five eyes in 8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t 5 centers, from March, 2005 to...

주제어

참고문헌 (18)

  1. Diabetic Med Amos 14 S1 1997 10.1002/(SICI)1096-9136(199712)14:5+<S7::AID-DIA522>3.3.CO;2-I 

  2. Diabetes Care Aiello 21 143 1998 10.2337/diacare.21.1.143 

  3. Nature Brownlee 414 813 2001 10.1038/414813a 

  4. Curr Pharm Des Yamagishi 11 2279 2005 10.2174/1381612054367300 

  5. Nature Nishikawa 404 787 2000 10.1038/35008121 

  6. J Clin Invest Feldman 111 431 2003 10.1172/JCI200317863 

  7. J Intern Med Vessby 251 69 2002 10.1046/j.1365-2796.2002.00927.x 

  8. Diabetes Care Marra 25 370 2002 10.2337/diacare.25.2.370 

  9. Eur J Clin Nutr Reunanen 52 89 1998 10.1038/sj.ejcn.1600519 

  10. Biomed Pharmacother Rahimi 59 365 2005 10.1016/j.biopha.2005.07.002 

  11. Cardiovas Res Dell'Agli 63 593 2004 10.1016/j.cardiores.2004.03.019 

  12. Biochem Biophys Res Commun Amano 299 183 2002 10.1016/S0006-291X(02)02584-6 

  13.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Lekakis 12 596 2005 

  14. J Agric Food Chem Burns 48 220 2000 10.1021/jf9909757 

  15. J Cataract Refract Surg Jindra 14 141 1989 10.1016/S0886-3350(89)80002-1 

  16. J Korean Ophthalmol Soc Kim 36 1523 1995 

  17. Invest Ophthalmol Vis Sci Arend 38 1819 1997 

  18. Arch Ophthalmol Klein 113 1386 1995 10.1001/archopht.1995.011001100460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