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공명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비성도 검사문형의 타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NasalView®를 사용하여 비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경상도 지역에서 18년 이상 거주한 남녀 10명씩 총 20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문형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11개로 하였으며 검사문형에 따른 상관관계와 성별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차이를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실험 전,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실험 조건과 실험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모음 /a/를 이용하여 선행 연습을 실시하였다. 검사어는 무작위 순서로 제시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녹음하였고, NasalView®를 이용하여 평균 비성도(%)를 구하였다. 피검자마다 걸린 시간은 약 20분이었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문형 모두는 성별 간 비성도가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고, 타당도 또한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공명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비성도 검사문형의 타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NasalView®를 사용하여 비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경상도 지역에서 18년 이상 거주한 남녀 10명씩 총 20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문형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11개로 하였으며 검사문형에 따른 상관관계와 성별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차이를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실험 전,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실험 조건과 실험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모음 /a/를 이용하여 선행 연습을 실시하였다. 검사어는 무작위 순서로 제시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녹음하였고, NasalView®를 이용하여 평균 비성도(%)를 구하였다. 피검자마다 걸린 시간은 약 20분이었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문형 모두는 성별 간 비성도가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고, 타당도 또한 유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reading sentences for resonance evaluation and normative nasalance scores and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gender. The NasalView® (Tiger Electronics Inc., Seattle, USA) was used to obtain nasalance values.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recor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reading sentences for resonance evaluation and normative nasalance scores and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gender. The NasalView® (Tiger Electronics Inc., Seattle, USA) was used to obtain nasalance values.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recording session for 20 minutes. The experimenter explained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ocedures and demonstrated the procedures, prior to the experiment. The stimuli were presented in a random order. The procedure took approximately 20 minutes.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in all the sentences.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findings advocating that the females showed a higher nasalance than males by Van Lierde et al., (2001), Seaver et al., (1991), Leeper et al., (1992), and Kim et al., (2000). Furthermore, the 4 sentence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smaller standard error and each sentence equally contained 19 syllables. Therefore, the newly developed 4 sentences with relatively short length could be used effectively not only in adults but in childre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reading sentences for resonance evaluation and normative nasalance scores and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gender. The NasalView® (Tiger Electronics Inc., Seattle, USA) was used to obtain nasalance values.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recording session for 20 minutes. The experimenter explained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ocedures and demonstrated the procedures, prior to the experiment. The stimuli were presented in a random order. The procedure took approximately 20 minutes.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in all the sentences.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findings advocating that the females showed a higher nasalance than males by Van Lierde et al., (2001), Seaver et al., (1991), Leeper et al., (1992), and Kim et al., (2000). Furthermore, the 4 sentence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smaller standard error and each sentence equally contained 19 syllables. Therefore, the newly developed 4 sentences with relatively short length could be used effectively not only in adults but in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