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50~60년대 신비평의 수용과 새로운 비평의 모색
The acceptance of New Criticism and search for new criticism in 1950s and 1960s

한국근대문학연구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v.5 no.1 = no.9, 2004년, pp.253 - 279  

주영중

초록

이 글의 목적은 1950~60년대의 신비평 수용과정과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우리 문단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백철, 김용권을 비롯한 여러 비평가들에 의해 소개되고 수용된 신비평은 그 초기에는 이론적이고 방법적인 측면에서만 고찰되었을 뿐 작품과 연계된 실제분석이 다양하게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송욱, 김종길 등의 비평가들이 신비평을 중심으로 한 작품분석을 하게 되면서 실제비평 또한 활기를 띠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비평의 특징들은 우리 비평의 지평 속으로 자연스럽게 체화되기 시작한다. 우선 이 시기의 비평은 작품 외적인 요소들 - 사회·정치·작가의 전기 - 보다는 작품 자체에 충실하려 노력한다. 또한 의미와 내용보다는 언어와 형식을 중시하면서 언어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분석의 중심에 놓으려 했다. 이러한 비평 경향은 객관적이고도 합리적인 비평기준을 마련하려는 노력과 맞닿아 있었다. 신비평은 이러한 영향과 더불어 우리에게 새로운 비평이론에 대한 방향을 시사하게 된다. 신비평의 영향을 받은 송욱, 김종길, 김수영과 같은 비평가들이 점차 새로운 비평이론을 찾으려 시도하게 된다. 이들은 모두 시에 있어서 예술성과 비판적 지성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그러면서도 송욱은 시가 지니는 초월성과 보편성을, 김종길은 전통의 수용과 변혁을, 김수영은 혁명성과 전위를 중시하게 된다. 신비평의 비평 개념과 용어들은 현재까지도 비평 속에서 그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언어나 형식을 중시하는 현대문학의 비평 경향과 관련이 있다. 또한 문학 작품을 자세하고 꼼꼼히 읽는다는 것이란 엄밀한 비평의 기본적인 전제이기 때문이다. 비평이 전적으로 과학적인 논리에만 의존할 수는 없지만, 또한 비평은 과학적인 논리가 필요한 분야인 것이다. 물론 신비평이 문학외적인 다양한 요소들을 배제하려 했던 경향은 문학작품해석의 다양한 가능성을 닫아놓은 측면도 있다. 어쨌든 신비평은 새로운 문학의 방향이 요구되던 시기인 1950~60년대에 우리의 현대 비평의 전환점을 마련하는데 하나의 축을 형성했으며 새로운 비평 이론으로 나아가는 길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ssay was written to study the process of receiving New Criticism in 1950s and 1960s, its aspect of development and its influence o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The New Criticism was introduced and accepted by critics such as Baek Cheol and Kim Yong-gwon. In the early period, the New Criticism...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