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진민주사회에서 군의 역할과 위상-민군관계발전을 위한 방안-
"The Role and Status of the Military in the Advanced Democratic Society"-The Scheme for Development of the Civil-Military Relations-

戰略論叢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戰略論叢, v.8, 1996년, pp.7 - 65  

임용순 ,  이정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정치에서의 냉전체제의 종식과 함께 국내적으로 문민정부가 수립되면서 군의 위상 및 역할에 관한 재평가가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체제 및 이데올로기의 경쟁시대를 넘어 경제전쟁의 시대에 접어든 현재, 과거와는 다른 군의 역할과 위상이 요구되고 있다. 물론 국가안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군의 기본적 역할은 시대를 막론하고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국제정치의 비중이 군사, 안보(high politics)에서 경제, 환경 등(low politics)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군이 과거의 역할과 위상에만 연연한다면 시대의 조류에 벗어나는 소외집단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이 글은 위와 같은 시대적 조건을 중시하여 우리의 군이 전향성(前向性)을 가지기 위해서는 세계사적 조류에 부응하여 민과의 신뢰가 우선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조직구성 및 규칙상에 커다란 차이가 있는 양자간에는 항상 일정한 긴장관계가 존재해 왔다. 이러한 긴장관계가 유연성을 가질 때에는 양자간에 상호신뢰를 가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때에는 신뢰를 상실하고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설정된다. 후자의 경우 군과 및 모두의 사기를 저하시켜 국가적으로 큰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신국제질서속의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한국이 선진민주산업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군사문화의 부정적 요소들은 민간사회에서 해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21세기 정보화사회의 작동원리와 군사문화의 원리는 서로가 대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군의 조직원리가 상하명령체계에 의한 경직성인데 반해 수평적 자율성을 가진 정보화사회라는 비경직성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구성상에 있어서 민과 군이 서로에게 접근할 수 없는 존재가 될 수는 없다. 양자에게 서로의 존재는 불가피한 것이고 군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건실하게 기여할 때 국가의 발전원동력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사고의 틀속에서 민과 군이 이분법적 분리가 아닌 상호의 장점이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려고 노력하였다. 군사문화라는 용어는 사회 일반문화와의 차이를 부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는 양자간의 대립적이고 異質的인 면을 강조하였다. 일반 사회문화에 대한 군사문화가 가지고 있는 차이점은 권위적, 획일적, 집단성, 공공조직적 성격, 형식주의, 부수성 등을 들 수 있다. 이같은 군사문화의 특징은 과거(현재)의 한국군사문화에 대부분 그대로 접목될 수 있다. 일제시기를 통하여 근대적 의미의 군대문화가 한국에 최초로 형성되었고 그것은 일본군국주의의 경직되고 ‘딱딱한’ 군사문화였다. 이 땅에 처음으로 소개된 이러한 군사문화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어졌다. 국제적인 냉전의 시작과 함께 특히 국내적으로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엄격한 규율과 이데올로기적 정신무장 등이 강조되어 군사문화의 성격은 여전히 ‘딱딱함’을 유지했다. 이러한 군사문화는 각 공화국시기에 따라 일반사회(특히 정치체제)와 조금씩 다른 연관관계를 가지고 발전해 왔다. 제1공화국에서 제6공화국에 이르기까지 군은 정치체제와 많은 관련을 가지면서 한국정치의 주요한 행위자로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제6공화국에 들어서 군의 ‘정치적 중립화’가 공식적으로 진행되었고 1992년 김영삼 문민정부의 탄생 이후 군의 변화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여러 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what is the appropriate civilmilitary relations and how the relationship has been changed in Korea particularly in the post-cold war era. Particula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to build up civil-military confidence. Therefore this paper has two main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