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민지 시기 역사극의 동학농민운동 형상화 방식 연구
Study on the way of Portraying Donghak Movement in Historical Plays during Colonial Era

드라마연구 = The Journal of drama, no.32, 2010년, pp.145 - 180  

전지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1920년대부터 40년대까지 동학을 소재로 한 역사극이 지속적으로 발표된 것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 동학농민운동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조명되는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동학농민운동은 계층구조 변화, 내정개혁, 반식민주의와 반제국주의 등 다양한 투쟁목표를 지니고 있었는데, 각 시기별로 작가가 강조하는 바가 달라지는 것을 박길수의 〈그날밤〉(1927), 조용만의 〈가보세〉(1931), 임선규의 〈동학당〉(19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년대 중반 카프 결성 이후, 신경향파 작가 박길수는 〈그날밤〉에서 동학농민운동의 계급투쟁적 측면을 부각시켰다. 또한 만주사변을 기점으로 제국이 ‘準전시체제화’되었던 30년대 초반 이후, 이념투쟁과 거리를 두었던 조용만은 〈가보세〉에서 농민봉기의 계급혁명적 측면보다 정치개혁적 측면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국가가 본격적인 전시체제에 돌입한 40년대 이후, 임선규는 〈동학당〉에서 사건의 계급투쟁적 측면을 부각시켜 이조사회를 비판함으로써 일제의 검열망을 피하고, 그 이면에 민족주의적 색채를 드러냈다.

이러한 차이는 작가의 역사의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관련되는데, 세 편의 역사극은 사건의 구체적 형상화와는 별개로 역사와 현재적 삶의 관련성을 인식하는 역사의식이 투영되어 있기에 리얼리티를 확보하게 된다. 즉 세작품은 작가가 역사적 사건을 환기시켜 식민지 현실과 투쟁하고, 자주적 근대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how to Donghak Movement were portrayed differently through each period in colonial times since historical plays which were focused on this historical movement were continuously published from 1920"s to 1940"s. Donghak movement had its various goals such as change of str...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