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복촌의 역사적 실태 연구
The Study of Fortune-Tellers Village before modern times

한국무속학 = Korean shamanism, v.13, 2006년, pp.233 - 271  

이기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한국의 점복자들이 일반적으로 겪었을 역사와 사회문화적 배경을 간단히 살피면서, 점복자들이 집단거주지를 형성하면서,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이득을 성취하였던 점복촌의 존재를 역사 속에서 추정하기 위한 작업이다. 또한 이 작업은 현대사회에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점복촌의 본격적인 조사 및 점복에 관한 현대인의 심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작업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집단거주하면서 점복을 행하였을 점복의 주체를 무격점복자와 맹인점복자로 나누어서 살폈다.

맹인 점복촌의 존재는 명통사와 맹청의 존재를 통해서 이들 기관과 가까운 곳에서 집단 거주했을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지만, 호의적인 사회환경과 함께 복술업의 특성상 집단거주의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였다.

무격 점복자가 집단거주했던 것은 고려시대부터 지속되었으며, 점복촌을 형성할 수 있었던 이유와 그 위치를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도성 밖으로 쫓겨난 무격이 기회를 틈타서 도성으로 진입하기 쉬운 곳이었던 지금의 한강대교 용산 쪽 부근의 노들과 강 건너 지금의 동작구 본동의 산기슭 및 서울 남대문 밖 소머리고개(牛首峴)등, 巫系 전승과 관련해서 홍제동 고개 너머인 구파발과 신당5동의 神堂인 왕십리 수풀당과 남대문 밖 우수현, 巫籍 작성과 무稅 납부를 통한 무격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서 실시한 계획적 집단거주지로써는 동활인원이 있던 성북구 동소문동 4가와서활인원이 있던 마포구 아현동(중구 신당동으로 이전) 일대, 巫團으로써 師巫廳이있던 함경북도 경성과 神房廳이 있던 제주도 및 神廳이 있던 전라도의 나주·장흥·우수영·진도·완도 등지가 있으며, 그리고 세습무의 京畿道唱才都廳이 있던 경기도 수원과 노량진풍류방이 있던 노량진에서는 재인촌이나 광대촌에 무격들이 함께 집단 거주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현재 흔적조차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무격 점복촌의 입지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역이나 시장, 또는 나루터나 특정한 종교적 의미가 깊은 곳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현대사회의 점복촌의 입지와도 유사하다. 즉, 그 입지는 주로 도시 주변에 위치하면서도 시장과 같이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현대사회의 점복촌은 6·25 이후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급격한 사회변동 과정을 겪고 있는 현대인 모두는 점복촌의 주민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이러한 경향을 이해하는 것은 현대인의 심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래서 앞으로의 연구는 기존의 점복촌 조사와 함께 점복문화에 관한 총체적인 현지조사에 집중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presume the existence of fortune-tellers village, understanding an outline history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Korean fortune-tellers had experienced. Also this paper is basic work to understand full scale survey and modern mentality about fortune-telling. I analys...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