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남가족은 한국사회의 노인돌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집단이다. 이 연구에서는 네 사례의 3세대 확대가족 12명(각각 장남, 며느리, 노부모. 한 사례는 차남가족)의 생애서사를 토대로, 노인돌봄 실천의 내용과 방식, 노인돌봄의 질을 분석하였다. 이것은 양적인 분석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가족돌봄의 경험과 의미부여 과정, 부양규범이 실행되는 구체적인 맥락과 가족관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돌봄제공자인 장남 부부뿐 아니라 돌봄이용자인 노부(모)의 어느 한편을 배제하지 않은 돌봄의 가족적 상황, 즉 ‘가족세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돌봄을 둘러싼 다성성(polyvocality)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네 가족을 인터뷰한 결과 장남가족의 노부모 돌봄은 규범적인 효의식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보다는, 다양한 가족적 배경과의 협상을 거친 도덕적 합리화의 대상으로 재구성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개별가족마다 다양한 돌봄서사가 드러났지만, 가족관계의 역사, 애정적ㆍ경제적 자원의 역할, 친족집단 등으로부터의 사회적 압력 등이 협상의 계기들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돌봄제공자 간의 세대 간 차이, 성별차이와 결합해서 작용하였는데, 특히 전통적 부양규범과 도덕적 논거 양자를 큰 갈등 없이 결합하고 있는 아들에 비해, 며느리들은 돌봄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의 논리가 부재할 경우 갈등의 서사를 보였다. 한편 돌봄의 경험에서는 노동의 차원보다는 관계적 속성이 강하게 드러났는데, 전통적인 부양기대를 받고 있는 장남가족에서 돌봄의 관계적 속성은 오히려 돌봄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보였다. 돌봄의 질을 중심으로 볼 때 이들 가족은 양질의 돌봄에 기본적인 요소인 “신뢰”의 관계를 보여주지도 않았으며, 돌봄이용자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살필 수 있는 “관심”과 같은, 돌봄 정의(定意)의 기본적인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돌봄에 대한 강력한 문화규범에 의해 제약받고 구성되는 이들의 생애서사에는, 특히 경제적, (가족)관계적 자원을 갖지 못한 노인과 규범적 제약이 강한 며느리의 경우, 자신의 갈등경험과 해석을 말로 하기 어려운 ‘서사 이전단계의 서사’(pre-narrative)와 자기검열에 의한 소극적인 서사방식 등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역설적으로 돌봄의 필요에 대한 “인정”과, 돌봄자원의 사회적 배분에 대한 정치적 동의를 필요로 하는 관계적 자율성과 같은 대안적 돌봄개념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장남가족은 한국사회의 노인돌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집단이다. 이 연구에서는 네 사례의 3세대 확대가족 12명(각각 장남, 며느리, 노부모. 한 사례는 차남가족)의 생애서사를 토대로, 노인돌봄 실천의 내용과 방식, 노인돌봄의 질을 분석하였다. 이것은 양적인 분석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가족돌봄의 경험과 의미부여 과정, 부양규범이 실행되는 구체적인 맥락과 가족관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돌봄제공자인 장남 부부뿐 아니라 돌봄이용자인 노부(모)의 어느 한편을 배제하지 않은 돌봄의 가족적 상황, 즉 ‘가족세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돌봄을 둘러싼 다성성(polyvocality)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네 가족을 인터뷰한 결과 장남가족의 노부모 돌봄은 규범적인 효의식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보다는, 다양한 가족적 배경과의 협상을 거친 도덕적 합리화의 대상으로 재구성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개별가족마다 다양한 돌봄서사가 드러났지만, 가족관계의 역사, 애정적ㆍ경제적 자원의 역할, 친족집단 등으로부터의 사회적 압력 등이 협상의 계기들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돌봄제공자 간의 세대 간 차이, 성별차이와 결합해서 작용하였는데, 특히 전통적 부양규범과 도덕적 논거 양자를 큰 갈등 없이 결합하고 있는 아들에 비해, 며느리들은 돌봄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의 논리가 부재할 경우 갈등의 서사를 보였다. 한편 돌봄의 경험에서는 노동의 차원보다는 관계적 속성이 강하게 드러났는데, 전통적인 부양기대를 받고 있는 장남가족에서 돌봄의 관계적 속성은 오히려 돌봄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보였다. 돌봄의 질을 중심으로 볼 때 이들 가족은 양질의 돌봄에 기본적인 요소인 “신뢰”의 관계를 보여주지도 않았으며, 돌봄이용자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살필 수 있는 “관심”과 같은, 돌봄 정의(定意)의 기본적인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돌봄에 대한 강력한 문화규범에 의해 제약받고 구성되는 이들의 생애서사에는, 특히 경제적, (가족)관계적 자원을 갖지 못한 노인과 규범적 제약이 강한 며느리의 경우, 자신의 갈등경험과 해석을 말로 하기 어려운 ‘서사 이전단계의 서사’(pre-narrative)와 자기검열에 의한 소극적인 서사방식 등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역설적으로 돌봄의 필요에 대한 “인정”과, 돌봄자원의 사회적 배분에 대한 정치적 동의를 필요로 하는 관계적 자율성과 같은 대안적 돌봄개념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Elderly care by the eldest son’s family is characteristic of family care in Korea. But filial norm in Korea has been changing, and came to be something that has to be reexamined. This study, reviewing the narratives of 12 members of 4 families(eldest son, his wife, and his sick old parent in each fa...
Elderly care by the eldest son’s family is characteristic of family care in Korea. But filial norm in Korea has been changing, and came to be something that has to be reexamined. This study, reviewing the narratives of 12 members of 4 families(eldest son, his wife, and his sick old parent in each family living together) analyzes the care practices and their negotiations with the norm of the filial responsibility, and the quality of care resulted from them. The method of family setting analysis was introduced to show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dynamics and to allow the polyvocality both for the care giver, and the care user who have usually been regarded as dependent and also silenced in the elderly care studies and polic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re practice of the eldest son’s family is a very contextual one and is related to the concrete family conditions. That means the filial responsibility is not any more a taken-for-granted thing in Korea. It is not simply determined by abstract norm of familialism but morally reasoned by combining the history of the family relationship, extent of the intimacy, economic consideration, and the social expectations especially from the relatives. Moreover the characteristic of care proved more a relationship than a work or physical activity. How they feel towards the old parent(in law) was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are, than how much work they do for care. But the traditional familial attitudes still tend to emphasize the parents care responsibility of the eldest son’s family. Those social environments bear some tensions among the families concerned, and paradoxically make the care as a relation more difficult. In consequence the quality of care in that setting couldn’t be evaluated to be a good one. It doesn’t have the element of trust and attentivenes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quality care. Meanwhile the narratives on the care histories were very different among the family members. Especially those of the old parents and the daughters in law have a kind of pre-narratives which were the results of their low positions 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e voices of the old parents with little economic, relational, and narrative resources tend to be silenced. The findings suggest the strong need of interest at policy level which recognizes and guarantees the autonomy of both the care-giver and care-user in the family care setting. It requires the broader social redistribution of resource for the elderly care, guaranteeing the relational autonomy. But defamilialization of care doesn’tseem to be the best alternative because the conflicting needs were found among family members. What we have to do first is to expose the changing needs and the care practices in families to the object of public discourse.
Elderly care by the eldest son’s family is characteristic of family care in Korea. But filial norm in Korea has been changing, and came to be something that has to be reexamined. This study, reviewing the narratives of 12 members of 4 families(eldest son, his wife, and his sick old parent in each family living together) analyzes the care practices and their negotiations with the norm of the filial responsibility, and the quality of care resulted from them. The method of family setting analysis was introduced to show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dynamics and to allow the polyvocality both for the care giver, and the care user who have usually been regarded as dependent and also silenced in the elderly care studies and polic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re practice of the eldest son’s family is a very contextual one and is related to the concrete family conditions. That means the filial responsibility is not any more a taken-for-granted thing in Korea. It is not simply determined by abstract norm of familialism but morally reasoned by combining the history of the family relationship, extent of the intimacy, economic consideration, and the social expectations especially from the relatives. Moreover the characteristic of care proved more a relationship than a work or physical activity. How they feel towards the old parent(in law) was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are, than how much work they do for care. But the traditional familial attitudes still tend to emphasize the parents care responsibility of the eldest son’s family. Those social environments bear some tensions among the families concerned, and paradoxically make the care as a relation more difficult. In consequence the quality of care in that setting couldn’t be evaluated to be a good one. It doesn’t have the element of trust and attentivenes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quality care. Meanwhile the narratives on the care histories were very different among the family members. Especially those of the old parents and the daughters in law have a kind of pre-narratives which were the results of their low positions 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e voices of the old parents with little economic, relational, and narrative resources tend to be silenced. The findings suggest the strong need of interest at policy level which recognizes and guarantees the autonomy of both the care-giver and care-user in the family care setting. It requires the broader social redistribution of resource for the elderly care, guaranteeing the relational autonomy. But defamilialization of care doesn’tseem to be the best alternative because the conflicting needs were found among family members. What we have to do first is to expose the changing needs and the care practices in families to the object of public discour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