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의 특성과 장애인 인권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 다음 초등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에서 장애인 인권 관련 내용은 부분적으로 특정학년에 편중되어 있었고, 사회과 성격과 부합하지 않았으며, 장애인 인권에 대한 다양한 시점이 미흡했다. 또한 장애인의 인권보호를 동정과 시혜의 차원에서 기술하거나 국가적 노력의 홍보적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장애인의 인권문제를 사회구조적인 측면과 관련지어 기술하지 않고 있었다. 수업실천에 있어서는 장애인 인권존중에 대한 가치주입, 학생들의 실질적인 참가의 부재, 사회구조와 맥락 속에서 장애인의 인권문제를 다루는 과정의 소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둘째, 사회과에서 장애인 인권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권침해 사례를 중심으로 전 학년 단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애인의 인권을 권리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장애인 문제 발생과 관계가 있는 사회의 구조와 맥락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했다. 수업실천에 있어서는 장애인 인권문제에 대해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와 판단이 가능하도록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과정 중심의 참여형 수업과정을 설계하고, 장애인 인권문제의 발생 메커니즘을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사회탐구의 과정을 도입하되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적절한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의 특성과 장애인 인권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 다음 초등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에서 장애인 인권 관련 내용은 부분적으로 특정학년에 편중되어 있었고, 사회과 성격과 부합하지 않았으며, 장애인 인권에 대한 다양한 시점이 미흡했다. 또한 장애인의 인권보호를 동정과 시혜의 차원에서 기술하거나 국가적 노력의 홍보적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장애인의 인권문제를 사회구조적인 측면과 관련지어 기술하지 않고 있었다. 수업실천에 있어서는 장애인 인권존중에 대한 가치주입, 학생들의 실질적인 참가의 부재, 사회구조와 맥락 속에서 장애인의 인권문제를 다루는 과정의 소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둘째, 사회과에서 장애인 인권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권침해 사례를 중심으로 전 학년 단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애인의 인권을 권리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장애인 문제 발생과 관계가 있는 사회의 구조와 맥락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했다. 수업실천에 있어서는 장애인 인권문제에 대해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와 판단이 가능하도록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과정 중심의 참여형 수업과정을 설계하고, 장애인 인권문제의 발생 메커니즘을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사회탐구의 과정을 도입하되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적절한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out relation to social studies and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and analyzed the problems of social studies textb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out relation to social studies and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and analyzed the problem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nstru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extbooks and instruction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ies human rights contents in textbooks were presented partially on specific grade, did not coincide with characteristic of social studies, and various views about human rights was lacked. Also, it was described disabilities human rights at a view of protection, benefits and national effort. Second, the classroom instruction have problems as value injection about human rights respect, absence of substant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insufficient of process that deal with disabilities problem. In basis of these results I propo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s follows. First, it has to presented gradually instances of violation of disabilities human rights in all grade level and described disabilities human rights in side called right and social mechanism associated with problem occurrence that is violation. Second, it has to designed instruction a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tudents’ various thinking and judgment, and introduced inquire process according to child’s developmental stage so that can understand structurally occurrence mechanism of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out relation to social studies and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and analyzed the problem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nstru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extbooks and instruction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ies human rights contents in textbooks were presented partially on specific grade, did not coincide with characteristic of social studies, and various views about human rights was lacked. Also, it was described disabilities human rights at a view of protection, benefits and national effort. Second, the classroom instruction have problems as value injection about human rights respect, absence of substant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insufficient of process that deal with disabilities problem. In basis of these results I propo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s follows. First, it has to presented gradually instances of violation of disabilities human rights in all grade level and described disabilities human rights in side called right and social mechanism associated with problem occurrence that is violation. Second, it has to designed instruction a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tudents’ various thinking and judgment, and introduced inquire process according to child’s developmental stage so that can understand structurally occurrence mechanism of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blem.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