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가족 의사소통 패턴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ffsprings" Self-esteem, Self-disclosure, Locus of Control,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이 연구는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방식이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보고 가족 의사소통 유형과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자녀들이 사회화하는 데 있어 가족 의사소통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가족구성원들 간의 대인관계에서 강조하는 것에 따라 구분되는 의사소통 패턴(Family Communication Pattern: FCP)을 사용하여 이를 대화지향과 일치지향 차원으로 나눈 후 이 같은 각각의 패턴이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가족 의사소통 패턴의 두 가지 차원을 평균을 중심으로 이분한 뒤 상호교차시켜 네 가지 가족 유형인 다원적, 합의적, 보호적, 방임적 가족으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별로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화지향성이 높은 가정일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치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원적 가족에 속한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및 의사소통능력이 여타 가족에 속한 자녀의 것들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보호적 가족에 속한 자녀의 것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가족 의사소통 패턴이 자녀의 사회화 과정에서 자녀들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말해준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방식이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보고 가족 의사소통 유형과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자녀들이 사회화하는 데 있어 가족 의사소통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가족구성원들 간의 대인관계에서 강조하는 것에 따라 구분되는 의사소통 패턴(Family Communication Pattern: FCP)을 사용하여 이를 대화지향과 일치지향 차원으로 나눈 후 이 같은 각각의 패턴이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가족 의사소통 패턴의 두 가지 차원을 평균을 중심으로 이분한 뒤 상호교차시켜 네 가지 가족 유형인 다원적, 합의적, 보호적, 방임적 가족으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별로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화지향성이 높은 가정일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치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원적 가족에 속한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및 의사소통능력이 여타 가족에 속한 자녀의 것들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보호적 가족에 속한 자녀의 것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가족 의사소통 패턴이 자녀의 사회화 과정에서 자녀들의 성격 및 의사소통능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말해준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ffsprings" personalit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irst, we divided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into the two by using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FCP) reflecting the different aspects of communicativ...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ffsprings" personalit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irst, we divided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into the two by using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FCP) reflecting the different aspects of communicative features of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The first pattern emphasizes the conversation-orientation whereas the second one indicates the confirmity-orientation. We then examined how the two patterns are related with the offspring-related variables. Second, after dividing the two patterns into the four based on the average point of each pattern, we identified the four family communication types, consensual, protective, pluralistic, and laissez-fare families. We then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offspring-related variables among each type. Results showed the higher the conversation-orientation was, the stronger the offsprings" self-esteem, self-disclosur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whereas the higher the conformity was, the lower their self-esteem, self-disclosu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Finally the offsprings" self-esteem, self-disclosu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pluralistic family were higher than the other family types whereas the same variables of the protective family were lower than the other family type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in shaping its offsprings" persona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ffsprings" personalitie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irst, we divided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into the two by using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FCP) reflecting the different aspects of communicative features of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The first pattern emphasizes the conversation-orientation whereas the second one indicates the confirmity-orientation. We then examined how the two patterns are related with the offspring-related variables. Second, after dividing the two patterns into the four based on the average point of each pattern, we identified the four family communication types, consensual, protective, pluralistic, and laissez-fare families. We then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offspring-related variables among each type. Results showed the higher the conversation-orientation was, the stronger the offsprings" self-esteem, self-disclosur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whereas the higher the conformity was, the lower their self-esteem, self-disclosu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Finally the offsprings" self-esteem, self-disclosu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pluralistic family were higher than the other family types whereas the same variables of the protective family were lower than the other family type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in shaping its offsprings" persona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