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우리 사회정책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비교적 관점의 수용과 그에 기초한 방법론적 각성을 촉구한다. 비교 복지국가론 혹은 비교 사회정책학의 이론적ㆍ인식론적 발전은 사실상 방법론적 발전과 맥을 같이 하여왔으며, 사회적 책임성을 확보한 사회정책연구를 위해서는 비교연구의 채택이 필수적인 측면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국가간 사회정책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유사성과 차별성의 의미를 논하고, 변수중심적 접근과 사례 혹은 맥락중심적 접근의 분기와 용처를 설명하고 있다. 사회정책 비교연구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이론적 견지와 분석 사례수를 토대로 개별화, 유형화, 일반화의 세 가지 종류의 연구가 가능함을 밝히고, 각각의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비록 연구목적과 자료의 상황에 따라 개별연구가 수행되는 맥락은 상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국가간 비교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내적 분석과 외적 분석의 조응을 통한 순환과정적 연구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비교연구가 가능함을 역설하면서 결론을 대신하고 있다.
이 글은 우리 사회정책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비교적 관점의 수용과 그에 기초한 방법론적 각성을 촉구한다. 비교 복지국가론 혹은 비교 사회정책학의 이론적ㆍ인식론적 발전은 사실상 방법론적 발전과 맥을 같이 하여왔으며, 사회적 책임성을 확보한 사회정책연구를 위해서는 비교연구의 채택이 필수적인 측면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국가간 사회정책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유사성과 차별성의 의미를 논하고, 변수중심적 접근과 사례 혹은 맥락중심적 접근의 분기와 용처를 설명하고 있다. 사회정책 비교연구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이론적 견지와 분석 사례수를 토대로 개별화, 유형화, 일반화의 세 가지 종류의 연구가 가능함을 밝히고, 각각의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비록 연구목적과 자료의 상황에 따라 개별연구가 수행되는 맥락은 상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국가간 비교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내적 분석과 외적 분석의 조응을 통한 순환과정적 연구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비교연구가 가능함을 역설하면서 결론을 대신하고 있다.
This article asserts that utilization of comparative method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by contemporary researchers of social policy, which is because the only way to upgrade the level of our research field. In effect,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branch of social policy or welfare state was p...
This article asserts that utilization of comparative method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by contemporary researchers of social policy, which is because the only way to upgrade the level of our research field. In effect,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branch of social policy or welfare state was parallel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ical debates and innovations. At the same time, the utilization of comparative methods can provide and strengthen the social accountability which should be the basis of social policy interventions. This paper starts its journey by discerning the concepts of similarity and difference,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what is to be analyzed between the country cases at hand. Another important aspect of related concepts is to be the distinction between variable-oriented approach versus case- or context- oriented approach. In relation to these concepts, substantial examples of specific methods are also described in terms of different objectives of comparative researches, i.e. individualization, classification, and generaliz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linking internal and external analysis and simultaneous use of them although individual researches cannot fulfill the requirements. Only when doing this, a plausible and desirable type of comparative research will be done.
This article asserts that utilization of comparative method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by contemporary researchers of social policy, which is because the only way to upgrade the level of our research field. In effect,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branch of social policy or welfare state was parallel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ical debates and innovations. At the same time, the utilization of comparative methods can provide and strengthen the social accountability which should be the basis of social policy interventions. This paper starts its journey by discerning the concepts of similarity and difference,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what is to be analyzed between the country cases at hand. Another important aspect of related concepts is to be the distinction between variable-oriented approach versus case- or context- oriented approach. In relation to these concepts, substantial examples of specific methods are also described in terms of different objectives of comparative researches, i.e. individualization, classification, and generaliz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linking internal and external analysis and simultaneous use of them although individual researches cannot fulfill the requirements. Only when doing this, a plausible and desirable type of comparative research will be don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