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최성호
나는 이 글에서 인과 진술을 반사실적 조건문을 통하여 분석하는 루이스의 인과 이론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종류의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논변하고자 한다. 언뜻 그의 이론은 우리의 일상적인 인과적 진술에 대하여 명확한 진리조건을 제공해 주는 듯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인과적 진술을 분석한 반 사실적 조건문에 명확한 진리조건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건이 어떤 다른 사건에 상대역 관계에 있는지를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루이스는 어떤 사건의 상대역이 원래의 사건과 공유하는 사건 본질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그러나, 사건 본질이라는 개념은 상당히 애매하고, 그 애매성은 인과 진술에 대하여 루이스가 제시하는 진리 조건 역시 애매하게 만든다. 하지만, 루이스가 제시하는 진리 조건의 애매성에 비해서 우리의 일상적인 인과적 진술은 매우 명확한 진리 조건을 갖는다는 점에서 루이스의 인과 이론은 인과적 진술에 대한 만족스러운 분석을 제공하지 않는다.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