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奎章閣 ‘地方官衙 記錄物群’의 構造와 記錄物의 再整 方向
The Structure of ‘Record Group of Local Government Office(地方官衙)’ in Kyujanggak Archives(奎章閣) and the Direction of Rearranging the Archives of this Record Group

奎章閣, v.31, 2007년, pp.237 - 259  

김태웅

초록

본고는 규장각에서 史部-政法-官署文案-地方官衙로 편제된 ‘地方官衙 記錄物群’의 실태와 문제점을 검토하는 한편 재정리의 원칙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우선 일제 강점 이래 오늘날까지 규장각의 자료 분류방식은 전통적 도서 분류법인 四部分類法을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처리기관별 분류법을 일부 가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지방관아가 생산한 기록물임에도 불구하고 여타 기록물군으로 분류되는가 하면 지방관아의 업무가 아니라 중앙 행정기관의 업무와 관련되어 생산된 기록물임에도 내용이 지방 사정을 반영하고 있다는 이유로 ‘地方官衙 記錄物群’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기록물의 기원과 계통을 모호하게 하고 기록물과 생산기관의 관계 뿐만 아니라 동일 행정기관에서 생산한 기록물 사이의 연계성을 단절시킴으로써 기록물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도를 떨어뜨렸다. 기록물은 일반 도서나 논문처럼 지적 창작이라는 의식적인 활동이 아니라 국가와 공공단체가 일정 기간에 공무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되었음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 ‘지방관아 기록물군’의 형성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듯이 이러한 분류상의 구조적 특징은 규장각 전체 자료 분류 방식과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방관아 기록물군의 문제점은 규장각의 기록물군 전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방관아 기록물군’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차후 모색해야 할 기록물의 재정리 원칙과 방향은 규장각 역사기록물의 분류 방식 일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분류 방식의 기준을 재설정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첫째, 현재의 주제별 분류 방식을 한편으로 두면서도 처리기관별 분류 방식을 적극 검토하여 처리기관별 기록물 목록을 별도로 구축해야 한다. 물론 일반 古圖書와 私記錄物을 공기록물에서 분리해야 함은 당연하다. 아울러이 과정에서 기록물의 원질서를 복원하는 작업이 수반해야 한다. 둘째, 생산자와 편저자가 미상인 경우, 이를 조사하여 바로 잡은 뒤 해당 기록물군으로 분류하고 하위 군에 배열해야 한다. 셋째,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처리기관별 분류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리 분류 체계와 별개로 검색 분류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처리기관별 기록물군 분류방식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다양한 기록물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주제별ㆍ기능별 분류 방식을 적극 검토하여 검색 도구를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 끝으로 역사기록물이 규장각과 함께 국립도서관, 장서각, 국사편찬위원회, 대학 도서관 등에 분산 소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규장각 소장 기록물과 타기관 소장 기록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원래 해당 처리기 관에서 생산하고 보존하여 오다가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이곳 저곳으로 분산되고 이관됨으로써 본래 기록물군의 구조가 형해화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규장각 자료는 강고한 식민 잔재와 열악한 연구 여건에도 불구하고 선학들이 기울인 각고의 정리 작업에 힘입어 民族文化의 遺産이자 國學硏究의 基幹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학계 및 일반인들의 관심과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기록관리학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규장각은 이런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새로운 전환점에 서 있다. 역사기록물의 체계적인 정리 과정에서 출처의 원칙에 입각하여 분류하고 원질서를 복원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make clear the structure of ‘Record Group of Local Government Office’ in Kyujanggak Archives and grope the direction of rearranging the archives of this group. To begin with, I verified that the four-part classification mode as the traditional library classification mode forms the...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