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재 소설교육에서 문체에 대한 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문학〉 교과서와 소설 이론서를 통해 파악하고, 「무진기행」의 문체적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소설 읽기에서 문체가 작용하는 양상을 재검토하여 문체 중심 소설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소설텍스트의 문체를 분석하기 위해 몇 가지 이론적 전제를 구축하고, 이를 구체적인 문학텍스트를 통해 적용해 보는 과정을 거치었다. 문체란 작가, 소설텍스트, 소설텍스트 내부의 구성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문체 분석의 단위는 문장, 담화 차원으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 구체적으로는 문장 단위의 특징이 담론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될 때 이를 문체적 특징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 등을 문체 분석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삼았다.
이러한 이론적 전제를 중심으로 「무진기행」을 분석해 본 바,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전달될 수 없는 부분이 문체적 차원에서 제시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의도하는 바를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작가/서술자는 무엇인가를 선택해야 하고, 그 선택의 과정은 명쾌하게 진행된다기 보다는 매번 모호한 갈등이나 긴장 관계 속에 놓이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문체 중심으로 소설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언어들 사이의 갈등과 긴장을 파악한다는 것이고 발화된 목소리 이면에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목소리를 발견하는 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문체 중심의 읽기를 통해 소설텍스트의 언어적 층위와 반복 및 배치를 통해 의미를 표상하는 반(半) 언어적 층위의 관계를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현재 소설교육에서 문체에 대한 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문학〉 교과서와 소설 이론서를 통해 파악하고, 「무진기행」의 문체적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소설 읽기에서 문체가 작용하는 양상을 재검토하여 문체 중심 소설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소설텍스트의 문체를 분석하기 위해 몇 가지 이론적 전제를 구축하고, 이를 구체적인 문학텍스트를 통해 적용해 보는 과정을 거치었다. 문체란 작가, 소설텍스트, 소설텍스트 내부의 구성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문체 분석의 단위는 문장, 담화 차원으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 구체적으로는 문장 단위의 특징이 담론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될 때 이를 문체적 특징으로 삼을 수 있다는 점 등을 문체 분석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삼았다.
이러한 이론적 전제를 중심으로 「무진기행」을 분석해 본 바,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전달될 수 없는 부분이 문체적 차원에서 제시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의도하는 바를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작가/서술자는 무엇인가를 선택해야 하고, 그 선택의 과정은 명쾌하게 진행된다기 보다는 매번 모호한 갈등이나 긴장 관계 속에 놓이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문체 중심으로 소설텍스트를 읽는다는 것은 언어들 사이의 갈등과 긴장을 파악한다는 것이고 발화된 목소리 이면에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목소리를 발견하는 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문체 중심의 읽기를 통해 소설텍스트의 언어적 층위와 반복 및 배치를 통해 의미를 표상하는 반(半) 언어적 층위의 관계를 조명할 수 있게 된다.
This thesis aims at grasping how the discussion on style is made in the current novel education, looking into style traits of “Mujin Travel”, and groping for the direction of style-centered novel education. So, this thesis constructed some theoretical premises and applied them through concrete liter...
This thesis aims at grasping how the discussion on style is made in the current novel education, looking into style traits of “Mujin Travel”, and groping for the direction of style-centered novel education. So, this thesis constructed some theoretical premises and applied them through concrete literature texts to analyze styles of novel texts. Here, analysis premises for analyzing styles were that styles might be changed, depending on writers, novel texts, and composition methods shown from the inside of novel texts, that styles had to be analyzed at the level of units of sentences and discourse, and concretely that the traits of sentence units could be the traits of styles, repeated continuously. By analyzing “Mujin Travel”, centering on such a theoretical premise, this thesis could grasp the tendency that some of the parts, hard to be delivered through linguistic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at the level of style.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intention to readers, writers/describers have to select something and have to be in conflict or strain, rather than in a soft progress for selection processes. In the meaning, reading novel texts, centering on style, mean grasping conflict and strain, and in addition finding voices latent in the different side of uttered voices. That is, it is possible to view the relationship among semi-linguistic layers expressing meanings through repetition and arrangement of linguistic layers in reading, centering on style.
This thesis aims at grasping how the discussion on style is made in the current novel education, looking into style traits of “Mujin Travel”, and groping for the direction of style-centered novel education. So, this thesis constructed some theoretical premises and applied them through concrete literature texts to analyze styles of novel texts. Here, analysis premises for analyzing styles were that styles might be changed, depending on writers, novel texts, and composition methods shown from the inside of novel texts, that styles had to be analyzed at the level of units of sentences and discourse, and concretely that the traits of sentence units could be the traits of styles, repeated continuously. By analyzing “Mujin Travel”, centering on such a theoretical premise, this thesis could grasp the tendency that some of the parts, hard to be delivered through linguistic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at the level of style.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intention to readers, writers/describers have to select something and have to be in conflict or strain, rather than in a soft progress for selection processes. In the meaning, reading novel texts, centering on style, mean grasping conflict and strain, and in addition finding voices latent in the different side of uttered voices. That is, it is possible to view the relationship among semi-linguistic layers expressing meanings through repetition and arrangement of linguistic layers in reading, centering on style.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