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수원 프로축구장과 잠실 프로야구장 관중의 구매형태에 따른 경기장 시설환경 요인에 대한 기대치 조사 Analysis on the Spectators" Expectation of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Based on Different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in Jamsil and Suwon
관람종목별(수원 프로축구 관중과 잠실 프로야구 관중)과 관중의 구매형태(소량, 중간, 다량구매자)에 따른 경기장 시설환경 요인에 대한 기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잠실 프로야구장과 수원 프로축구장에서 각 4경기씩을 표집하여 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Wakefield, Sloan(1995)이 개발한 설문지를 근거로 최창호(1998), 김정식(2001)에 의해 국내 사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부합하도록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신뢰도계수가 α=.713~.875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조사도구의 신뢰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신뢰도검증. 그리고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잠실 야구장 및 수원 프로축구경기장 관중의 구매형태는 중간구매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잠실 야구장 및 수원 프로축구경기장 관중이 지각하는 시설환경에 대한 기대수준은 회장실, 전광판, 좌석, 매점, 접근용이성, 주차장, 매표소 요인 등의 순으로 높았다.
셋째, 관림종목별에 따른 좌석, 접근용이성, 매표소. 그리고 화장실 요인 등에 대한 기대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야구 관중은 좌석, 매표소, 회장실 요인에 대한 기대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축구관중의 경우 접근용이성에 대한 기대치가 야구관중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관중의 구매형태에 따른 주차장, 매점, 매표소 요인 등에 대한 기대치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차장 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에서는 다량구매자가 소량 및 중간구매자보다 높은 기대치를 보였으며, 매점 및 매표소 요인에 있어서는 소량 구매자가 중ㆍ다량구매자보다 높은 기대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관람종목별과 구매형태에 따라 관중들이 지각하는 경기장 시설환경 요인에 대한 기대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많은 관중의 확보와 소량구매자를 중ㆍ다량구매자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스포츠 관중들을 위한 최적의 시설환경 제공을 통한 관중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경영 전략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즉 화장실, 좌석, 매점, 주차장 등에 대한 충분한 확보 및 청결성 유지와 더불어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한 접근용이성의 확보가 스포츠 관중의 입장에서 강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관람종목별(수원 프로축구 관중과 잠실 프로야구 관중)과 관중의 구매형태(소량, 중간, 다량구매자)에 따른 경기장 시설환경 요인에 대한 기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잠실 프로야구장과 수원 프로축구장에서 각 4경기씩을 표집하여 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Wakefield, Sloan(1995)이 개발한 설문지를 근거로 최창호(1998), 김정식(2001)에 의해 국내 사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부합하도록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신뢰도계수가 α=.713~.875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조사도구의 신뢰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신뢰도검증. 그리고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잠실 야구장 및 수원 프로축구경기장 관중의 구매형태는 중간구매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잠실 야구장 및 수원 프로축구경기장 관중이 지각하는 시설환경에 대한 기대수준은 회장실, 전광판, 좌석, 매점, 접근용이성, 주차장, 매표소 요인 등의 순으로 높았다.
셋째, 관림종목별에 따른 좌석, 접근용이성, 매표소. 그리고 화장실 요인 등에 대한 기대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야구 관중은 좌석, 매표소, 회장실 요인에 대한 기대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축구관중의 경우 접근용이성에 대한 기대치가 야구관중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관중의 구매형태에 따른 주차장, 매점, 매표소 요인 등에 대한 기대치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차장 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에서는 다량구매자가 소량 및 중간구매자보다 높은 기대치를 보였으며, 매점 및 매표소 요인에 있어서는 소량 구매자가 중ㆍ다량구매자보다 높은 기대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관람종목별과 구매형태에 따라 관중들이 지각하는 경기장 시설환경 요인에 대한 기대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많은 관중의 확보와 소량구매자를 중ㆍ다량구매자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스포츠 관중들을 위한 최적의 시설환경 제공을 통한 관중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경영 전략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즉 화장실, 좌석, 매점, 주차장 등에 대한 충분한 확보 및 청결성 유지와 더불어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한 접근용이성의 확보가 스포츠 관중의 입장에서 강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tators" expectation of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based on different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in Jamsil and Suw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800 spectators from eight selected stadium(ballparks) were surveyed by m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tators" expectation of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based on different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in Jamsil and Suw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800 spectators from eight selected stadium(ballparks) were survey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s, which was revised from the one originally used in the United States by Wakefield & Sloan(1995).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questionnaires were found to be α=.713-.875. The used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d two-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following: First, the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at Jamsil and Suwon were shown as medium users, heavy users, and light users by order. Second, the expectations of pro-sport spectators at Jamsil and Suwon were shown as toilet, score board, seat, boots, accessability, parking lot, and ticket office by order.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xpectations of pro-sport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between pro-baseball spectators and pro-soccer spectators as seat, accessability, ticket office, and toilet factor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xpectations of pro-sport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among different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as parking lot, boots, and ticket office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tators" expectation of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based on different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in Jamsil and Suw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800 spectators from eight selected stadium(ballparks) were survey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s, which was revised from the one originally used in the United States by Wakefield & Sloan(1995).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questionnaires were found to be α=.713-.875. The used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d two-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following: First, the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at Jamsil and Suwon were shown as medium users, heavy users, and light users by order. Second, the expectations of pro-sport spectators at Jamsil and Suwon were shown as toilet, score board, seat, boots, accessability, parking lot, and ticket office by order.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xpectations of pro-sport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between pro-baseball spectators and pro-soccer spectators as seat, accessability, ticket office, and toilet factor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xpectations of pro-sport stadium"s physical environments among different purchase types of pro-sport spectators as parking lot, boots, and ticket office facto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