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형 건축물 외장패널의 시공품질 개선을 위한 데이터 중첩비교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Data Overlap Comparison Method to Enhanc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Free-Form Buildings Facades 원문보기

디자인융복합연구 = Design convergence study, v.11 no.2 = no.33, 2012년, pp.207 - 220  

옥종호 ,  임장식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정형 건축물의 건설에서 가장 어려운 공정은 복잡한 곡률로 이루어진 외장패널을 제작 및 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곡면부재들의 시공 후 품질은 패널을 구획하는 설계기술, 설계서대로 정확하게 제작하는 기술, 패널 재료의 물성을 고려하여 시공하는 기술,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제작과 시공결과를 검측하는 기술에 달려있다. 선진국의 경우는 많은 비정형 건설프로젝트 경험과 선행연구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Know-How 를 축적하여 시공 후 품질 확보에 주력하고 있지만 국내 기술력은 지극히 초보적 수준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건축된 비정형 주택건축물을 대상으로 3D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이용하여 비정형 외장패널의 설계 대비 시공결과를 비교하고 패널부재의 곡면 형태에 따라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 지 파악하며 곡면 형태별로 Mock-Up 패널부재를 제작하여 파악된 문제점의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비정형 패널부재의 제작/시공 시 품질확보를 위해 프로젝트관리자가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st critical issue in free-form buildings is how to construct the free-formed exterior facade panels. Their geometric complexity delivers many difficulties in fabricating and constructing their shapes. The overall construction quality of the panels depends on a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a ...

주제어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