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중이염에서 나타나는 감각신경성난청은 고음역난청이며 이는 중이염의 흔하고 또 중요한 합병증이기도 하다. 자자들은 과거 1년간 경험한 233예의 만성중이염수술례중 187예를 대상으로 수술전 청력소견상 골도치에 대하여 임상소견을 중심으로 통계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또한 기니픽의 자연발생한 만성화농성중이염의 병리조직학적소견을 관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의 평균연령은 24.5재이었다. 1) 일측성만성중이염에서 건측과 환측의 골도치를 이원배치산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건측과 환측간 및 각 주파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들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특히 2KHz와 4KHz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2) 상병기간에 따른 일원배치분산 분석에서는 11∼15연군과 15∼20년군 사이를 제외한 각군간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3) 등골손상유무에 따른 분석에서 골도치를 t 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각 주파수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으며, 등골손상의 주파수에 대한 영향을 일원배치분산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250Hz와 500Hz 사이 및 2KHz와 4KHz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4) 정원창폐쇄유무에 따른 골도변화를 t 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각 주파수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정원창폐쇄의 각 주파수에 대한 효과를 일원배치분산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250Hz와 500Hz사이 및 2KHz와 4KHz사이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5) 진주종유무에 따른 골도변화를 t 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진주종성중이염에서는 2KHz와 4KHz에서만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나 수도평균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기니픽의 만성화농성중이염의 측두골 병리조직학적 병변의 검경상 만성염증성병소의 내이, 특히 와우침입로로서의 정원창의 병변이 뚜렷하여 이로 인한 외임파강내의 염증성병변이 뚜렷이 나타나 있으며 와우관의 특히 기저회전에서의 유모세포의 손실이 심한 것으로 보아 중이염으로 인한 골도의 고음역에서의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만성중이염에서 나타나는 감각신경성난청은 고음역난청이며 이는 중이염의 흔하고 또 중요한 합병증이기도 하다. 자자들은 과거 1년간 경험한 233예의 만성중이염수술례중 187예를 대상으로 수술전 청력소견상 골도치에 대하여 임상소견을 중심으로 통계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또한 기니픽의 자연발생한 만성화농성중이염의 병리조직학적소견을 관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의 평균연령은 24.5재이었다. 1) 일측성만성중이염에서 건측과 환측의 골도치를 이원배치산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건측과 환측간 및 각 주파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들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특히 2KHz와 4KHz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2) 상병기간에 따른 일원배치분산 분석에서는 11∼15연군과 15∼20년군 사이를 제외한 각군간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3) 등골손상유무에 따른 분석에서 골도치를 t 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각 주파수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으며, 등골손상의 주파수에 대한 영향을 일원배치분산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250Hz와 500Hz 사이 및 2KHz와 4KHz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4) 정원창폐쇄유무에 따른 골도변화를 t 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각 주파수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정원창폐쇄의 각 주파수에 대한 효과를 일원배치분산분석법으로 비교한 결과 250Hz와 500Hz사이 및 2KHz와 4KHz사이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5) 진주종유무에 따른 골도변화를 t 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진주종성중이염에서는 2KHz와 4KHz에서만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나 수도평균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기니픽의 만성화농성중이염의 측두골 병리조직학적 병변의 검경상 만성염증성병소의 내이, 특히 와우침입로로서의 정원창의 병변이 뚜렷하여 이로 인한 외임파강내의 염증성병변이 뚜렷이 나타나 있으며 와우관의 특히 기저회전에서의 유모세포의 손실이 심한 것으로 보아 중이염으로 인한 골도의 고음역에서의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Bone conduction loss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chronic otitis media, and is mostly high frequency loss. Of 233 tympanomastoidectomy ears, 187 ears were considered eligible for this study. A histopathological change was examined in the natural otitis media of guinea pigs. It is our ...
Bone conduction loss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chronic otitis media, and is mostly high frequency loss. Of 233 tympanomastoidectomy ears, 187 ears were considered eligible for this study. A histopathological change was examined in the natural otitis media of guinea pigs. It is our intention to analyze the pattern of bone conduction loss in chronic otitis media, and to correlate this findings with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nges in human and animal otitis media. l) In unilateral cas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conduction threshold was observed between normal and diseased ears, and between each frequency with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2KHz and 4KHz (p 0.01). 2)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mean bone conduction was compared with the duration of disease. 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each group of duration, except between 11-15 and 15-20 years group. 3) A comparison of bone conduction between stapes loss group and intact stapes group revealed significant t ratio (p 0.01) at each frequency. The effect of stapes loss on each frequency was evaluated,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p 0.05) between 250Hz and 500Hz. and between 2KHz and 4KHz. 4) A comparison of bone conduction between round window obliteration and nonobliteration group revealed significant t ratio (p 0.01) at each frequency.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effect of round window obliteration was evaluated in each frequency. W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250Hz and 500Hz. and between 2KHz and 4KHz. 5) A comparison of bone conduction between cholesteatoma and non -cholesteatoma group revealed significant t ratio (p 0.01) only in 2KHz and 4KHz. No significant differency was observed in mean bone conduction. 6) In a histopathological study of natural otitis media in guinea pig, we observed inflammatory infiltration of the round window membrane, serofibrinous precipitate in the scala tympani, and degeneration of the organ of Corti most significant near the basal turn. These changes would explain high tone bone conduction loss in the process of chronic otitis media.
Bone conduction loss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chronic otitis media, and is mostly high frequency loss. Of 233 tympanomastoidectomy ears, 187 ears were considered eligible for this study. A histopathological change was examined in the natural otitis media of guinea pigs. It is our intention to analyze the pattern of bone conduction loss in chronic otitis media, and to correlate this findings with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nges in human and animal otitis media. l) In unilateral cas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conduction threshold was observed between normal and diseased ears, and between each frequency with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2KHz and 4KHz (p 0.01). 2)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mean bone conduction was compared with the duration of disease. 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each group of duration, except between 11-15 and 15-20 years group. 3) A comparison of bone conduction between stapes loss group and intact stapes group revealed significant t ratio (p 0.01) at each frequency. The effect of stapes loss on each frequency was evaluated,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p 0.05) between 250Hz and 500Hz. and between 2KHz and 4KHz. 4) A comparison of bone conduction between round window obliteration and nonobliteration group revealed significant t ratio (p 0.01) at each frequency.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effect of round window obliteration was evaluated in each frequency. W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250Hz and 500Hz. and between 2KHz and 4KHz. 5) A comparison of bone conduction between cholesteatoma and non -cholesteatoma group revealed significant t ratio (p 0.01) only in 2KHz and 4KHz. No significant differency was observed in mean bone conduction. 6) In a histopathological study of natural otitis media in guinea pig, we observed inflammatory infiltration of the round window membrane, serofibrinous precipitate in the scala tympani, and degeneration of the organ of Corti most significant near the basal turn. These changes would explain high tone bone conduction loss in the process of chronic otitis medi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