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유역의 수량과 수질관계 분석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the Han-River Basin 원문보기

한국수자원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2002 May 01, 2002년, pp.473 - 478  

정규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가뭄지수는 강수, 융설, 하천유량, 저수지 저류량 등 다양한 수문성분들을 고려하여 정량화한 지표로써 습윤 혹은 가뭄의 정도를 나타내며, 가뭄자료의 기본자료로 이용된다. 대표적인 가뭄지수에는 표준강수지수(SPI)와 Palmer 가뭄심도지수가 있으며, 선형적으로 강수부족에 비례하며, 확률분 포형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가뭄뿐만 아니라 가뭄의 종료에 필요한 강수의 확률을 결정할 수 있는 SPI를 활용하여 수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여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질측정망 지점과 건설교 통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량관측소 지점 중 일부를 선정하여 유량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량(SS), 용존산소량(DO), 총인(TP), 총질소(TN)의 오염물질농도 곡선을 비교 분석하고, 수량과 수질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유량과의 상관성은 하천 및 호소의 수질환경기준에 중요한 인자인 용존산소량(DO),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량(SS), 총인(TP), 총질소(TN)에 대해 1997년에서 2000년까지의 월별 수질자료와 채수일자와 같은 날의 유량자료를 발췌하여 실시하였으며, 계절별 수질동향은 1995년~ 2001 년, 가뭄과 수질의 관계는 1990년~2001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질은 환경부 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질측정망자료, 유량은 건설교통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량측정소자료, 가뭄 자료는 기상청자료를 각각 이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측정지점 중 수질측정망 운영계획에 명시되어 있는 수위관측소지점을 우선으로 하여 선정 하였다. 유량측정지점이 있는 곳은 그 지점으로 하였으며, 없는 곳은 가장 인접한 곳을 선택하여 본류, 지류, 댐으로 분류하여 지점을 결정하였다. 각 지점의 수질측정지점과 유량측정지점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 한강유역의 수량과 수질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질측정망지점과 유량관측지점 중 일부를 선 정하여 유량과 수질항목간 상관분석, 계절별 수질동향, 가뭄과 수질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대상 데이터

  • 우리나라는 전국에 1, 800여개 지점의 수질측정망이 하천수, 호소수, 상수원수, 농업용수 등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이는 건설교통부의 유량측정지점과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측정지점 중 수질측정망 운영계획에 명시되어 있는 수위관측소지점을 우선으로 하여 선정 하였다. 유량측정지점이 있는 곳은 그 지점으로 하였으며, 없는 곳은 가장 인접한 곳을 선택하여 본류, 지류, 댐으로 분류하여 지점을 결정하였다.
  • 유량과의 상관성은 하천 및 호소의 수질환경기준에 중요한 인자인 용존산소량(DO),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량(SS), 총인(TP), 총질소(TN)에 대해 1997년에서 2000년까지의 월별 수질자료와 채수일자와 같은 날의 유량자료를 발췌하여 실시하였으며, 계절별 수질동향은 1995년~ 2001 년, 가뭄과 수질의 관계는 1990년~2001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질은 환경부 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질측정망자료, 유량은 건설교통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량측정소자료, 가뭄 자료는 기상청자료를 각각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