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RD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하부에서 매우 낮은 비저항대가 관측되었다. 일반적으로 CFRD 형식의 댐은 내부 포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번 조사에서 하부 20m 깊이에서 일정하게 저비저항대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검토를 위해 3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탐사 당시의 수위는 댐 정상부에서 10m 정도 내려가 있는 상태였다. 첫 탐사 이후 6개월이 지난 후에 이루어진 탐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조사 댐의 모양을 대상으로 3차원 순산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을 적용하여 기존 해석 방법의 오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비저항 조사가 많이 적용된 중심코아 형 댐의 경우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3차원 댐체 구조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은 저수부의 수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3차원의 사다리꼴 기하구조로 인하여 댐 내부에 비저항의 이상대가 존재할 경우에도 그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FRD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하부에서 매우 낮은 비저항대가 관측되었다. 일반적으로 CFRD 형식의 댐은 내부 포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번 조사에서 하부 20m 깊이에서 일정하게 저비저항대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검토를 위해 3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탐사 당시의 수위는 댐 정상부에서 10m 정도 내려가 있는 상태였다. 첫 탐사 이후 6개월이 지난 후에 이루어진 탐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조사 댐의 모양을 대상으로 3차원 순산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을 적용하여 기존 해석 방법의 오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비저항 조사가 많이 적용된 중심코아 형 댐의 경우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3차원 댐체 구조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은 저수부의 수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3차원의 사다리꼴 기하구조로 인하여 댐 내부에 비저항의 이상대가 존재할 경우에도 그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Low resistivity zone is observed at the lower part of a CFRD (Concrete Face Rockfill Dam). Generally, CFRD tends not to have any saturated zone within the body, but the result of resistivity survey show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dam to be saturated under 20m depth with water. The level of reservo...
Low resistivity zone is observed at the lower part of a CFRD (Concrete Face Rockfill Dam). Generally, CFRD tends not to have any saturated zone within the body, but the result of resistivity survey show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dam to be saturated under 20m depth with water. The level of reservoir was under 10m from the crest. We suspect that this result may come from the wrong 2D inversion process ignoring the 3D geometry of dams. For the analysis of possibility of distortion by different geometry, we perform the 3D forward modeling for the dam and apply the 2D inversion process. And then we check the point of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resistivity data. By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result of 2D inversion process of 3D geometry of dams, seems to have deep relation with the reservoir level, and the complex 3D structure hide some internal electrical anomaly of dams from resistivity information.
Low resistivity zone is observed at the lower part of a CFRD (Concrete Face Rockfill Dam). Generally, CFRD tends not to have any saturated zone within the body, but the result of resistivity survey show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dam to be saturated under 20m depth with water. The level of reservoir was under 10m from the crest. We suspect that this result may come from the wrong 2D inversion process ignoring the 3D geometry of dams. For the analysis of possibility of distortion by different geometry, we perform the 3D forward modeling for the dam and apply the 2D inversion process. And then we check the point of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resistivity data. By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result of 2D inversion process of 3D geometry of dams, seems to have deep relation with the reservoir level, and the complex 3D structure hide some internal electrical anomaly of dams from resistivity inform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모델링에서의 관심사항은 댐체의 하부가 포화되거나 저비저항대의 물성을 갖지 않을 경우, 저수부의 저비저항 대역에 의해 기하학적인 이유로 하부에 저비저항대가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댐체에는 아무런 침투수가 존재하지 않으며. 1,000 Ohm-m 의 일정한 비저항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림에서 보듯이 가단면도 상에서 천부에서는 주변 공기층의 영향으로 주어진 물성 (300 Ohm-m)보다 높은 비저항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 n=6 이하에서는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제안 방법
그러나 본 연구 지역의 CFRD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한 결과, 하부 20m 깊이에서 일정하게 저비저항대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위해 3차원 해석 및 이의 2차원 역산을 수행하였다.
특히 금번 문제의 경우, 탐사 당시 수위는 댐 정상부에서 약 10m 정도 내려가 있는 상태였으므로, 20m 부근에서 나타나는 저비저항대가 3차원의 기하학적 왜곡에 의한 저수 부의 효과가 반영된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 후의 3차원 모델링에서는 대상 댐의 대표단면과 기하학적 형태를 최대한 고려하여 입력 모델을 작성하였다.
특히 금번 문제의 경우, 탐사 당시 수위는 댐 정상부에서 약 10m 정도 내려가 있는 상태였으므로, 20m 부근에서 나타나는 저비저항대가 3차원의 기하학적 왜곡에 의한 저수 부의 효과가 반영된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 후의 3차원 모델링에서는 대상 댐의 대표단면과 기하학적 형태를 최대한 고려하여 입력 모델을 작성하였다.
2는 대상댐의 물성을 반영한 입력 모델을 단순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상부의 비저항이 200~300 Ohm-m 정도의 분포를 보였으므로 이를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공기층과 저수부의 비저항을 각각 100,000 Ohm—m와 30 Ohm—m로 하였다.
62 를 사용하였으며 (Spitzer, 1995), 격자 구조는 70(x) X56(y) X17(z)로 분할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스케일은 실제 댐의 형상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경계부에서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x, y, z 방향으로 각각 관심 대상의 크기에 대해 10배 이상 벌려 모델링을 하였다. 3ddcxh 프로그램이 주어진 소스에 대한 포텐셜만을 제공하므로 이를 쌍극자 배열에 의한 비저항 값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추가하였고, 이렇게 획득한 자료를 2차원 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res2dinv v.
대상 데이터
현장 탐사는 2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각각 탐사 당시의 수위는 39m (2004년 10월 1차 조사 당시), 33m (2005년 5월 2차 조사 당시)였으며, 댐 정상부의 고도는 49m 이다. 조사 시 기온은 각각 섭씨 18도, 25도 정도였으며, 탐사 전에 일주일간 강우는 없었다.
데이터처리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스케일은 실제 댐의 형상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경계부에서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x, y, z 방향으로 각각 관심 대상의 크기에 대해 10배 이상 벌려 모델링을 하였다. 3ddcxh 프로그램이 주어진 소스에 대한 포텐셜만을 제공하므로 이를 쌍극자 배열에 의한 비저항 값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추가하였고, 이렇게 획득한 자료를 2차원 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res2dinv v.3.5를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일반적으로 CFRD 형식의 댐은 상류사면에 콘크리트 페이스를 타설하여 차수를 하고, 댐체는 석괴를 이용하여 쌓아가므로 내부에 포화된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 지역의 CFRD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한 결과, 하부 20m 깊이에서 일정하게 저비저항대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위해 3차원 해석 및 이의 2차원 역산을 수행하였다.
조사 시 기온은 각각 섭씨 18도, 25도 정도였으며, 탐사 전에 일주일간 강우는 없었다. 두 탐사 결과 모두 비슷하게 18~20m 깊이에서 10~30 Ohm-m 정도의 매우 낮은 비저항을 일정하게 나타내고 있었으며, 댐의 우안부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료의 질도 매우 양호하였다. 두 탐사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결과, 전체적인 양상은 매우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이 3차원적인 효과로 보이는데, 공기층의 높은 비저항 보 다는 저수부의 낮은 비저항에 의한 효과가 반영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가단면도 상에서 이 정도의 깊이에서의 비저항 저하는 2차원 역산에서는 좀 더 극단적인 비저항 값으로 반영되어 깊이 약 27m부터 낮은 비저항대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후속연구
댐과 같은 3차원 구조에 대하여 2차원 역산 해석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을 모델링을 통해 짚어보았다. 실제 관측자료를 정확히 반영하는 해석은 3차원 역산을 통해서도 매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며, 물리탐사 자료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른 자료의 확보를 통해서 보다 객관적인 해석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댐의 경우, 일반적으로 3차원의 기하학적 효과로 인해 대상체의 이상대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