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자동기하보정
Automated Geometric Correction of Geostationary Weather Satellite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7 Mar. 29, 2007년, pp.70 - 75  

김현숙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허동석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이수암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김태정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8년 12월에 우리나라 최초의 통신해양기상위성(Communications, Oceanography and Meteorology Satellite, COMS)이 발사될 예정이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영상데이터의 기하보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상위성은 정지궤도상에 위치하여 전지구적인 영상을 얻는다. 영상의 전지구적인 해안선은 구름 등으로 가려져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구름 등으로 방해되지 않는 명확한 해안선 정보를 얻기 위하여 구름 추출을 한다.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얻는 기상위성의 특성상 정합에 전체 영상을 사용하면 수행시간이 다소 소요된다. 정합시 전체 영상에서 정합을 위한 후보점 추출을 위하여 GSHHS(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Shoreline)의 해안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11 개 의 랜드마크 칩들을 구축하였다. 이때 구축된 랜드마크 칩은 실험에 사용한 GOES-9의 위치 동경 155도를 반영하여 구축하였다. 전체 영상에서 구축된 랜드마크 칩들의 위치를 중심으로 구름추출을 수행한다. 전체 211 개의 후보점 중 구름이 제거된 나머지 후보점에 대하여 정합을 수행한다. 랜드마크 칩과 위성영상 간의 정합 중 참정합과 오정합이 존재하는데 자동으로 오정합을 검출하기 위하여 강인추정기법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을 사용한다. 이때 자동으로 판별되어 오정합이 제거된 정합결과로 최종적인 기하보정을 수행한다. 기하보정을 위한 센서모델은 GOES-9 위성의 센서특정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정합 및 RANSAC결과로 얻어진 기준점으로 정밀 센서모델을 수립하여 기하보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일련의 수행과정을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실시간 처리요구사항에 맞도록 속도를 최적화하여 진행되도록 개발하였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랜드마크 칩의 추출을 위해 GSHHS (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 gh-resolution Shoreline) 해안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GOES위성의 위치를 반영한 랜드마크 칩들을 구축하였다.
  • 구축된 랜드마크 칩과 구름 추출로 명확한 해안선 위치를 가지는 위성영상으로 자동정합을 하였다. 정합에는 오정합을 포함하고 있어 오정합을 자동으로 검출하기위한 강인추정기법을 사용하여 참정합점들을 얻는다.
  • 구축된 랜드마크칩들은 실험에 사용한 GOES위성의 위치를 반영하였다. 그림 2와 같이 위성영상의 가시광선채널 1과 적외선 채널2를 반영한 2가지의 칩을 구축하였다.
  • 정합결과 채널 1과 채널2의 정합점을 사용하여 RANSAC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모델은 궤도기반모델이다(허동석, 김태정, 2006).
  • Rrpy는 위성의 자세각, roll, pitch, yaw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행렬을 나타내며, R#는 위성의 자세와 속 도 벡터에 결정되는 회전행렬을 나타낸다. 궤도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모델을 수립하고 총반복횟수는 500, 1000, 5000, 10000, 50000, 100000등으로 하고 문턱치는 2.5, 5, 7.5, 10등을 사용하였다.
  • 자동정합기준점들로 최종목표인 기하보정을 수행하였다.
  • 개선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합에 수행할 때 구름 추출된 지역을 제외하고 채널1의 경우 사용하는 영상의 UTC를 고려하여 위경도 위치에 따른 시간을 계산하여 낮으로 적용되는 지역에만 정합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채널2 의 경우는 구름이 제거된 지역에서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기상위성의 영상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위성영상의 정보를 제공하기위해 기하보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자동 기하보정을 위하여 COMS위성과 지리적으로 유사한 위치에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상위성으로 사용하고 있는 GOES -9의 위성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구름추출을 위해 1단계는 육안으로 보아도 구름임이 확실한 구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채널 2 의 밝기값이 150이상인 지역을 제거한다. 채널 1의 경우 밝기값이 100이상인 지역을 제거한다.
  • 정합에 사용된 영상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상의 채널1과 채널2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 채널1의 경우 240x240의 크기의 서브 영상으로 소벨 필터의 문턱치로 40을 사용하였다. 채널2의 경우 160x160의 크기의 서브영상으로 소벨 필터의 문턱치로 30을 사용하여 해안선을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 실험에 사용된 영상은 GOES-9영상으로 UTC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을 나타내었다.
  • 이때 모델수립에 사용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로 모델에 적용한다. 모델에 적용한 결과값과 관측값과의 차이를 구하고 최대 반복횟수만큼 반복하여 RANSAC의 문턱치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개수 중 최대의 수를 포함하는데이터를 가진 모델을 최종모델로 선택한다(이태윤, 김태정, 최해진, 2005; Taejung Kim and Young-Jo Im, 2003; Tae-Yoon Lee, Taejung Kim and Hae Jin Choi, 2005).

이론/모형

  • 정합에는 오정합을 포함하고 있어 오정합을 자동으로 검출하기위한 강인추정기법을 사용하여 참정합점들을 얻는다. 일련의 자동기하보정을 위한 구름 추출, 정합, 자동 오정합 등의 처리시간은 COMS의 위성정보가 30분 내외의 간격으로 송수신되기에 중요하다.
  • 정합에 ZNCC(the zero mean normalized cross-correlation)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