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리정보체계의구축및활용등에관한 법률(이하 NGIS법)에 따라 국가GIS의 효과적인 구축 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기본지리정보가 구축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는 국가공간정보기반으로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이며, 법적 근거에 따라 중첩활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지리정보 중첩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민간기업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기관, 정부투자기관, 연구기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본지리정보 활용목적은 기술관련 업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연구관련 업무용, 부가가치생산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수요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고,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 수요에 있어서도 '교통-시설물' 중첩활용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구역-교통', '행정구역-지적', '행정구역-시설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을 1순위부터 5순위까지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 결과 데이터품질이 가장 높았으며, 데이터포맷, 데이터모델, 데이터구축지침, 데이터생산사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범구축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호호환성이 확보된 기본지리정보의 공급이 요구된다.
국가지리정보체계의구축및활용등에관한 법률(이하 NGIS법)에 따라 국가GIS의 효과적인 구축 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기본지리정보가 구축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는 국가공간정보기반으로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이며, 법적 근거에 따라 중첩활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지리정보 중첩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민간기업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기관, 정부투자기관, 연구기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본지리정보 활용목적은 기술관련 업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연구관련 업무용, 부가가치생산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수요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고,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 수요에 있어서도 '교통-시설물' 중첩활용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구역-교통', '행정구역-지적', '행정구역-시설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을 1순위부터 5순위까지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 결과 데이터품질이 가장 높았으며, 데이터포맷, 데이터모델, 데이터구축지침, 데이터생산사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범구축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호호환성이 확보된 기본지리정보의 공급이 요구된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지리 정보 중첩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지리 정보 중첩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 및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본지리정보는 중첩의 기준이 되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와 상호 이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기본지리 정보 중첩활용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첫째, 설문 응답자의 소속을 조사하고, 이를 기준으로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한다. 둘째, 기본지리정보 사용여부를 조사한 후 사용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기본지리 정보 활용목적을 조사한다.
첫째, 설문 응답자의 소속을 조사하고, 이를 기준으로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한다. 둘째, 기본지리정보 사용여부를 조사한 후 사용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기본지리 정보 활용목적을 조사한다. 셋째, 기본지리 정보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향후 활용이 예상되는 기본지리정보를 조사하여 활용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둘째, 기본지리정보 사용여부를 조사한 후 사용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기본지리 정보 활용목적을 조사한다. 셋째, 기본지리 정보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향후 활용이 예상되는 기본지리정보를 조사하여 활용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넷째, 기본지리 정보 분야별 중첩활용 수요를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중첩활용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셋째, 기본지리 정보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향후 활용이 예상되는 기본지리정보를 조사하여 활용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넷째, 기본지리 정보 분야별 중첩활용 수요를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중첩활용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다섯째,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시 필요한 사항을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넷째, 기본지리 정보 분야별 중첩활용 수요를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중첩활용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다섯째,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시 필요한 사항을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기본지리정보 10대 분야에 대해 향후 공공 및 민간 GIS, 각종 연구 및 일반사업에서 활용이 예상되는 기본지리정보를 3순위까지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를 재분석하기 위하여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조사된 각 분야별 결과에 1순위는 3점, 2순위는 2점, 3순위는 1점으로 가중치를 주어 합산하였다 그 결과<그림 1>과 같이 교통분야가 97점으로 활용 예상 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각 분야별 중첩활용 수요를 조사한 후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을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기본지리정보를 중첩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데이터모델, 데이터포앳, 데이터품질, 데이터 생산사양, 데이터 구축지침을 제시하고 응답자에게 1순위부터 5순위까지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기본지리정보를 중첩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데이터모델, 데이터포앳, 데이터품질, 데이터 생산사양, 데이터 구축지침을 제시하고 응답자에게 1순위부터 5순위까지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47.
대상 데이터
기본지리정보의 대상은 NGIS법 제14 조에 따라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초적인 주요 지리 정보가 해당되며,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초적인 주요 지리정보의 대상은 동법 시행령 제 15조에 근거한다. 이에 따르면 행정구역, 교통, 해양 및 수자원, 지적, 측량기준점, 지형, 시설물,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기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선정하는 지리정보가 포함된다.
3.2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조사대상은 기본지리정보를 구축 및 활용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연구기관, 민간기업 및 일반 사용자를 포함한다. 조사방법은 온라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조사방법은 온라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설문지는 총 89부가 회수되어 응답률은 35.
조사방법은 온라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설문지는 총 89부가 회수되어 응답률은 35.6%로 나타났다.
성능/효과
설문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와 같이 민간기업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기관 (14.6%), 정부투자기관(13.5%), 연구기관(124%), 중앙행정기관(9.0%), 지방자치단체(5.6%)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본지리정보 사용여부를 조사한 후 사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기본지리 정보 활용목적을 조사한 결과고} 같이 기술 관련 업무용(375%)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연구관련 업무용(292%), 부가가치생산용(1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적 등과의 중첩활용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시설물 분야는 해양과 기준점을 제외한 모든 분야와 중첩수요가 발생하였으며 , 지형과 공간영상 분야와의 중첩활용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지적분야는 해양을 제외한 모든 분야와 중첩수요가 발생하였으며, 수자원분야는 기준점과 공간 영상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와 중첩수요가 발생하였다.
기준점 등과 중첩수요가 나타났다. 지형분야는 모든 분야와 중첩 수요가 발생하였으며 공간영 상분야와의 중첩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준점분야는 중첩수요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기준점분야는 중첩수요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공간영상 분야는 많은 분야와 중첩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분야는 행정구역과 많은 중첩수요가 예상되나 기타 다른 분야와는 중첩수요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기본지리 정보 분야별 중첩수요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표 4>와 같다.
다음으로 중첩활용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행정구역과 교통분야 기본지 리정보를 중첩 분석한 결과 와 같이 도로가 행정경계 밖에 위치하는 등 지적기반 데이터와 지형기반 데이터의 불부합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고, 지적 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 수요에 있어서도 '교통-시설물' 중첩활용 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구역-교통', '행정구역-지적', '행정구역- 시설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를 재분석하기 위하여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조사된 각 분야별 결과에 1순위는 3점, 2순위는 2점, 3순위는 1점으로 가중치를 주어 합산하였다 그 결과과 같이 교통분야가 97점으로 활용 예상 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이러한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기본지리 정보 중첩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범 구축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호호환성이 확보된 기본지리 정보의 공급이 요구된다.
수요 우선순위가 높은 기본지리정보는 구축과 동시에 조속히 사용자에게 유통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데이터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여 중첩활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