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지역에 대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통계적 상세화
A Statistically Downscaling for Projecting Climate Chang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2009 May 21, 2009년, pp.1191 - 1196  

신진호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  이효신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  권원태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  김민지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구기후모델(AOGCM)의 기온과 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지역에 대한 통계적 규모 상세화(statistical downsacaling, SDS)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CSEOF) 분석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것으로 관측과 AOGCM 시계열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고 있다. 20세기말(1973-2000) 동안의 광역규모의 기온(ECMWF)과 강수량(CMAP) 및 AOGCM의 기온과 강수량 자료에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적용하고 비교함으로써 이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는데, 상세화된 기온과 강수량 자료는 관측된 계절변동성과 월변동성을 잘 모사하였다. 특히, 여름철 관측에 비해 저평가된 AOGCM의 강수량 크기와 변동성이 상세화를 통해 관측치에 근접하게 되었다. AOGCM의 미래 강수량 변화는 21세기 후반에 계절적으로 봄과 여름에 증가할 것을 예상되었다. 상세화된 AOGCM의 강수는 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특히 여름철에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AOGCM의 미래 기온변화는 21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하며, 계절적으로 겨울철의 기온 상승폭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되는데, AOGCM을 상세화한 결과에서는 겨울과 더불어 여름에도 기온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개발된 기법은 역학적 결과와 관측과의 통계적 상관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역규모의 기후적 특성뿐만 아니라 한반도 지형 등 지역적 특성도 모두 반영함과 더불어 광역규모의 자료를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상세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지닌다. 한편 상세화에 사용된 CSEOF의 모드수 등에 따른 불확실성 등은 통계적 상세화 과정에 개선될 여지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7)은 미국 남동부지역에 대한 기온의 단기 계절 예측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대해 AOGCM이 모의한 미래 강수량과 기온자료를 상세화하였다.

가설 설정

  • 상세화된 MME13의 경우, 겨울철 강수량이 감소하는 전망은 20세기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겨울철 강수량이 감소하는 경향과 관련지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은 20세기의 한반도 관측 강수량의 통계적 특성 (여름철 다우와 겨울철 소우, 강수의 지역적 편중성 등)이 21세기에도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20세기에 대해 AOGCM가 모의하는 강수의 계절적 양상이 한반도의 강수의 계절적 양상이 일치하지 않는 불확실성은 통계적 상세화 과정에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지만, 이런 특성은 미래에 더욱 커지기 때문에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상세화는 한계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SEOF 분석은 무엇에 유용한가? 현재 이용되고 있는 통계적 상세화 기법중 가장 최근에 개발된 CSEOF 분석(Kim and North, 1997)을 이용하였다. CSEOF 분석은 순환 정상상태를 가정함으로써 주기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대기 현상의 물리적 성분들을 서로 분리하여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시공간을 가지는 관측과 광역규모 강수자료, PCP(r,t)에 대해 CSEOF 분석 방법을 각각 하였다.
CSEOF 분석과 다중회귀기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은 역학적 상세화에 비해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CSEOF 분석과 다중회귀기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은 관측 강수와 모델간의 통계적 특성을 잘 반영하여 모델의 강수량과 기온 공간패턴을 재생성하여 모델 자료를 상세화시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역학적 상세화에 비해 계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성이 뛰어나다. 단, 회귀식을 결정할 때, 관측과 모델간의 기후민감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CSEOF 모드수를 결정해야 한다.
AOGCM과 같이 수평분해능이 낮은 격자 체계에서 한반도는 어떠한 한계점을 가지는가? 장래의 수자원 계획 수립에 절대적으로 요구되어지는 수문-기상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4차 평가보고서(Fourth Assessment Report, AR4)에 참여한 대기해양결합모델들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그 전망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AOGCM과 같이 수평분해능이 낮은 격자 체계에서 한반도는 충분한 격자점으로 표현되지 못하고 있어 지형적 영향에 따른 기후 예측과 분석에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지구 광역규모의 모델에서 모의된 대기 순환과 지역 기후간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모델의 정보를 규모 축소화하여 세밀한 공간격자를 가지는 지역기후로의 통계적 상세화 기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