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실규모 기둥의 발파실험 및 발파해체용 최적전색재료 선정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9 Oct. 30, 2009년, pp.3 - 7  

조상호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민형동 ((주)한화 화약기술팀) ,  김학만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김승곤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박종호 ((주)한화 화약기술팀) ,  송영석 ((주)한화 화약기술팀) ,  양정훈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전색재의 분출 및 비산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공구부분을 촬영하였다. 기폭시간을 유추하기 위하여 전기뇌관에 시그널튜브를 연결하여 공구까지 노출되도록 하였다.
  • 여기서 폭발하중에 의한 전색재의 붕괴속도 및 비산속도는 충격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Nakamura, 1999; Cho, 2008)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전색재의 비산양상관찰, 방호재 팽창정도, 기둥표면의 손상정도를 측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기둥별 최적의 전색재를 선정한다.
  • 기폭시간을 유추하기 위하여 전기뇌관에 시그널튜브를 연결하여 공구까지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림 2에는 무수축 그라우트 몰탈, 백시맨트, 자연사와 쇄석 혼합재를 사용한 기둥 공시체의 발파에서 촬영된 고속화상을 보여주고 있다.
  • 실험에 사용된 화약은 메가마이트(28mm)와 전기 뇌관을 사용하였다. 방호에 따른표준장약량을 선정하기 위해 발파계수의 변화에 따른 기준장약량을 변화 시키면서 공시체 Tyg별 실험을 5회씩 수행하였고, 표준장약량으로 표 1과 같이 표준장약량을 선정하였다.
  • 제작하였다. 본 발파실험에서는 그림 1과 같이 동적데이터 측정법을 적용해 이온 게이지 법에 의한 뇌관의 정밀한 기폭초시측정, 레이져 속도계에 의한 전색재 분출속도를 측정하여 전색재에 대한 구속효과를 평가한다. 여기서 이온게이지법은 고속 오실로스코프에 트리거 신호를 제공하여 정확한 뇌관의 기폭초시와 전색재의 분출시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 본연구에 앞서 발파현장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적용되는 전색재를 대상으로 실내 전색재 저항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전색재 중 성적이 좋은 자연사와 쇄석의 혼합재, 무수축그라우트몰탈, 백시멘트를 선정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선정된 전색재를 벽체와 정방형 기둥 공 시체 발파실험에 적용하여 최적의 전색재를 선정하는데 특히 폭발하중에 대한 전색재 저항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적데이터 획득시스템을 적용하여 기폭시간과 전색재의 압출 시작 시간 계측하였다. 여기서 폭발하중에 의한 전색재의 붕괴속도 및 비산속도는 충격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Nakamura, 1999; Cho, 2008)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 2.2 표준장약량산정 실험

    실험발파에 앞서 벽체형과 정방형 기둥공시체의 표준장약량을 산정하기 위해 발파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화약은 메가마이트(28mm)와 전기 뇌관을 사용하였다.

  • 최적의 전색재료를 선정하기 위하여 실규모 기둥발파실험결과를 방호재 팽창, 파쇄범위, 파쇄면적, 분출속도, 비산속도, 시공성, 사전준비성, 경제성 철근 횜, 손상체적으로 구분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방호재 팽창정도는 자연사와 쇄석의 혼합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분출속도와 비산속도에서는 벽체형 공시체의 경우는 무수축 그라우트몰탈이 가장 낮은 전색재 붕괴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정방형 기둥공시체의 경우에는 백시멘트가 가장 낮은 붕괴속도를 나타냈다.

대상 데이터

  • 기둥공시체는 두 가지 타입으로 제작하였으며, 250X 700 x1500mm(가로X세로X높이 TYPE I)의 벽체형 공시체는 규모로 넓은 면을 정면으로 하여 중심부에 직경 ©45mm, 길이 150mm의 원형공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였고 550x550xl500mm(TYPE II) 정방형 기둥공시체는 직경 ©45mm, 천공길이 360mm 의 원형공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하였다. 본 발파실험에서는 그림 1과 같이 동적데이터 측정법을 적용해 이온 게이지 법에 의한 뇌관의 정밀한 기폭초시측정, 레이져 속도계에 의한 전색재 분출속도를 측정하여 전색재에 대한 구속효과를 평가한다.
  • 그러나 발파해체 작업은 노천발파나 터널발파와는 달리 전색장이 짧아서 공발 및 비산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강추원, 2000; kojovic, 2005) 김재극(1964)은 전색물의 종류를 달리하여 암반발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사용된 전색물은 물, 입자가 다른 모래와 점토로 실험을하였다. 본연구에 앞서 발파현장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적용되는 전색재를 대상으로 실내 전색재 저항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전색재 중 성적이 좋은 자연사와 쇄석의 혼합재, 무수축그라우트몰탈, 백시멘트를 선정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선정된 전색재를 벽체와 정방형 기둥 공 시체 발파실험에 적용하여 최적의 전색재를 선정하는데 특히 폭발하중에 대한 전색재 저항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적데이터 획득시스템을 적용하여 기폭시간과 전색재의 압출 시작 시간 계측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화약은 메가마이트(28mm)와 전기 뇌관을 사용하였다. 방호에 따른표준장약량을 선정하기 위해 발파계수의 변화에 따른 기준장약량을 변화 시키면서 공시체 Tyg별 실험을 5회씩 수행하였고, 표준장약량으로 표 1과 같이 표준장약량을 선정하였다.

이론/모형

  • 선정된 전색재를 벽체와 정방형 기둥 공 시체 발파실험에 적용하여 최적의 전색재를 선정하는데 특히 폭발하중에 대한 전색재 저항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적데이터 획득시스템을 적용하여 기폭시간과 전색재의 압출 시작 시간 계측하였다. 여기서 폭발하중에 의한 전색재의 붕괴속도 및 비산속도는 충격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Nakamura, 1999; Cho, 2008)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전색재의 비산양상관찰, 방호재 팽창정도, 기둥표면의 손상정도를 측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기둥별 최적의 전색재를 선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