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면적 $406.5km^2$인 진천군의 도심하천에 맑은 물 공급을 위해 상류에 위치한 배곡지의 높이를 높여 도심구간의 하천유지유량이 얼마나 증가되는지 진단하기 위해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일별로 유량을 모의하여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하천의 저폭, 수심, 유속 등을 고려하여 목표유량을 $0.43m^3/s$로 설정하였으며, 유량은 백곡지 방류량과 지류 유입량으로 한다. 둘째, 증고후 총저수량 26.65백만 $m^3$, 유효저수량 26.40백만 $m^3$, 수혜면적 1530 ha, 유역면적 $84.79km^2$인 백곡지의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한 결과, 유입량은 53.84백만 $m^3$, 634.9 $mm/d/km^2$였고, 유출률은 52.0 %였다. 저수면 증발량은 1.26백만 $m^3$였고, 이를 저수면적으로 나누면 765.3 mm으로 강우량의 62.7 %에 이르렀다. 용수공급량은 33.54백만 $m^3$, 9.2만 $m^3$/일 였고, 하천유지유량은 7.57백만 $m^3$, 월류량은 9.69백만 $m^3$, 저수량은 14.78백만 $m^3$였다. 셋째, 백곡천의 평균갈수량은 $0.815m^3/s$로 목표유량 $0.43m^3/s$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곡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하류하천의 유지유량 공급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면적 $406.5km^2$인 진천군의 도심하천에 맑은 물 공급을 위해 상류에 위치한 배곡지의 높이를 높여 도심구간의 하천유지유량이 얼마나 증가되는지 진단하기 위해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일별로 유량을 모의하여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하천의 저폭, 수심, 유속 등을 고려하여 목표유량을 $0.43m^3/s$로 설정하였으며, 유량은 백곡지 방류량과 지류 유입량으로 한다. 둘째, 증고후 총저수량 26.65백만 $m^3$, 유효저수량 26.40백만 $m^3$, 수혜면적 1530 ha, 유역면적 $84.79km^2$인 백곡지의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한 결과, 유입량은 53.84백만 $m^3$, 634.9 $mm/d/km^2$였고, 유출률은 52.0 %였다. 저수면 증발량은 1.26백만 $m^3$였고, 이를 저수면적으로 나누면 765.3 mm으로 강우량의 62.7 %에 이르렀다. 용수공급량은 33.54백만 $m^3$, 9.2만 $m^3$/일 였고, 하천유지유량은 7.57백만 $m^3$, 월류량은 9.69백만 $m^3$, 저수량은 14.78백만 $m^3$였다. 셋째, 백곡천의 평균갈수량은 $0.815m^3/s$로 목표유량 $0.43m^3/s$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곡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하류하천의 유지유량 공급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평갈수기 유량이 크게 부족하여, 맑은 수량과 수질의 하천공간 조성에 근본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기왕 조성된 하천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하천 자체의 건전한 생태 서식처 마련뿐 아니라 도시민의 정서와 건강을 위해 하천유지유량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저수지를 이용한 유량증가 효과를 분석한다.
제안 방법
진천의 도심하천 지점에서 목표유량을 설정하고, 식(1)-(3)에 의해 저수지 방류를 고려한 하천유량을 모의하고 유황을 분석한다. 저수지 운영 조건은 현재 규모와 2 m 증고한 규모로 구분하여 이수안전도가 90 %인 방류량을 고려하여 목표 지점의 유황을 분석한다. 여기서 유량 모의는 용수수요를 고려한 방법(노재경, 2003)으로 한다.
대상 데이터
대상유역의 하천망은 그림 1와 같으며, 상류에 백곡지가 위치하며 총저수량 21.75백만㎥, 만수위 EL.100.10 m, 사수위 EL.83.00 m, 수혜면적 1,530 ha, 유역면적 84.8 ㎢에 이른다. 토지이용은 그림 2, 3과 같으며, 백곡지의 내용적 곡선은 그림 4와 같다.
토지이용은 그림 2, 3과 같으며, 백곡지의 내용적 곡선은 그림 4와 같다. 기상자료는 청주관측소의 자료를, 강우자료는 유역조사의 표준유역 강우량을 사용하며 1966년부터 2007년까지 분석한다.
성능/효과
첫째, 백곡지가 유입량을 일별로 모의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강우량은 1220.0 mm, 유역증발산량은 672.6 mm, 유출량은 634.9 mm, 유출률은 52.0 %였다.
둘째, 백곡지로부터 1,530 ha의 논에 관개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용수공급량/유역면적은 445.3 mm, 단위유역 용수공급량/강우량 비율은 39.1 %, 용수공급량/유입량 비율은 96.5 %, 용수공급량/저수량 비율은 163.7 %, 유입량/저수량 비율은 226.5 %였으며, 이수안전도는 일단위 52.4 %, 일단위 96.9%였다.
셋째, 백곡지 규모를 2 m 더 높인 경우 진천 도심하천의 유황은 풍수량 1.073 ㎥/s, 평수량 1.016 ㎥/s, 저수량 0.910 ㎥/s, 갈수량 0.815 ㎥/s로 분석되어 목표유량 0.43 ㎥/s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의 저수지의 높이를 높여 도심구간의 하천 유량이 얼마나 증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천 상류에 위치한 유역면적 93.12 ㎢인 진천의 도심하천 위치에서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유량을 모의하고, 목표유량을 0.43 ㎥/s로 설정하여 상류에 위치한 유역면적 84.9 ㎢, 저수량 13.1백만 ㎥인 백곡지의 숭상으로 방류량 증가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가효과를 분석한 결과 백곡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하류하천의 유지유량 공급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